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교육 학위과정에 참여하는 북한이탈(탈북)중년여성의 ‘전환학습’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ransformative Learning’ for Middle-aged North Korea Woman Refugees Attending in Higher Education Degree(Bachelor Cou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378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learning process of middle-aged wome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who have attended or are attending in higher education courses for bachelor degree. It intends to explore the meaning of learning in their bachelor degree-a...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learning process of middle-aged wome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who have attended or are attending in higher education courses for bachelor degree. It intends to explore the meaning of learning in their bachelor degree-acquisition process and to see the life changes and the fundamental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Furthermore, this study inquire how do the changes affect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unified Kore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ing in depth interview, is applied. Eight participants who are middle-age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aking or have taken courses at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es were interviewed for this study.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Extraction from the interview text reveled 1,316 meaning unit. After comparing codes, six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from the data. The categories were: 1) hard and thorny journey - defected from North Korea, 2) settlement between relief and insecurity, 3) learning to live, 4) learning accomplishment and transformative learning, 5) unification practice of two generations, 6) self-realization and its meaning. Learning process of the higher education courses of the middle-aged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first changed the human life, second influenced mental stability with the improvement of the intellectual,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Third, the research found that learning is the process of realizing ‘humanity’throughout their lives. Therefore, the research have implications for new North Korean defectors policies and their lifelong learning pract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교육 학위과정에 참여하는 탈북중년여성의 학습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은, 탈북중년여성의 학위 취득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의미를 알아내고, 전환학습...

      본 연구는 고등교육 학위과정에 참여하는 탈북중년여성의 학습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은, 탈북중년여성의 학위 취득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의미를 알아내고, 전환학습의 관점에서 학습 성과로 얻어진 삶의 변화, 그리고 그 의미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들의 변화가 자녀교육 및 미래 통일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주제의 특성에 따라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고등교육 학위과정을 공부하거나 학위과정을 마친 8명의 탈북중년여성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연구를 통하여 1,316개의 의미 단위를 발견하였고, 이를 통하여 22개의 하위구성요소, 여섯 가지의 의미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의미구성요소는 <어렵고도 험난한 길-탈북>, <안도와 불안의 교차점 뿌리내리기>, <배워야 사는 세상>, <배움의 성취와 전환학습>, <두 세대의 통일연습>. 마지막으로 <자아실현과 그 의미>이다. 탈북중년여성의 고등교육 학위과정 학습은 첫째, 평생학습은 인간의 삶을 변화 시키고, 둘째, 탈북중년여성의 고등교육 경험은 심리적 안정과 지적․사회적․경제적 지위를 향상시켰으며, 셋째, 삶은 배움을 통하여 ‘인간다움’을 만들어 가는 과정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탈북자를 위한 정책과정에 반영되고, 평생학습의 장을 넓히는 역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2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한국현상학회 (24) : 91-122, 2005

      3 Giorgi, Amedeo.,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현문사 2004

      4 정민승, "한국의 민주화와 전환학습: 386세대의 경험이 학습논의에 던지는 메시지" 한국성인교육학회 20 (20): 151-169, 2017

      5 박영주, "학점은행제 참여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A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중년 여성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9 (19): 179-206, 2016

      6 이상오, "학습혁명-H사고-" 북코리아 2017

      7 이영선,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47-194, 2011

      8 "통일연구원"

      9 "통일부"

      10 정유성, "탈북청소년의 대학교육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및 정책 연구" 서강대학교 2009

      1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2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한국현상학회 (24) : 91-122, 2005

      3 Giorgi, Amedeo.,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현문사 2004

      4 정민승, "한국의 민주화와 전환학습: 386세대의 경험이 학습논의에 던지는 메시지" 한국성인교육학회 20 (20): 151-169, 2017

      5 박영주, "학점은행제 참여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A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중년 여성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9 (19): 179-206, 2016

      6 이상오, "학습혁명-H사고-" 북코리아 2017

      7 이영선,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47-194, 2011

      8 "통일연구원"

      9 "통일부"

      10 정유성, "탈북청소년의 대학교육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및 정책 연구" 서강대학교 2009

      11 이희원, "탈북청소년을 위한 학습전략 프로그램 모델 개발 및 평가" 한국교육개발원 2011

      12 윤혜순, "탈북청소년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5-149, 2014

      13 송은희, "탈북자의 남한사회에서의 경제적 적응에 관한 연구: 정보 접근성 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9 (19): 197-214, 2014

      14 조정아, "탈북이주민의 학습경험과 정체성 재구성" 통일연구원 19 (19): 175-212, 2010

      15 박경호, "전환학습이론: 고등교육기관에서 중년여성학습자의 의미구조의 변화" 한국성인교육학회 12 (12): 31-60, 2009

      16 노경란, "입국 초기 새터민의 취업지원교육요구 진단과 연령에 따른 차이 분석" 안암교육학회 14 (14): 61-83, 2008

      17 박상옥, "인문학 교육에서 북한이탈주민의 학습경험: 치유와 자립의 학습과정"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143-179, 2014

      18 이상오, "역사 조건 전망 평생교육론" 문음사 2005

      19 김예란, "여성 탈북민에 대한 감정경제: 여성 탈북민 출연 프로그램의 생산 및 수용의 회로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3 (53): 105-148, 2016

      20 Elias, J. L., "성인교육의 철학적 기초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adult education)" 학지사 2002

      21 김현아, "새터민의 남한 사이버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1 (1): 275-336, 2009

      22 이선표, "새터민 여성의 조기 정착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구축"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325-331, 2014

      23 "새조위"

      24 엄미란, "산업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숭실대학교대학원 2013

      25 노희숙, "북한이탈주민의 학습경험을 통한 의미관점 전환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2

      26 박은숙, "북한이탈주민의 직장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27 이윤진, "북한이탈주민의 직업교육훈련에 관한 비판적 고찰" 교육문제연구소 27 (27): 27-52, 2014

      28 엄태완,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이주 과정의 외상적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89-213, 2009

      29 박성정, "북한이탈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경험과 개선 과제"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135-152, 2012

      30 전주람, "북한이탈여성들의 심리사회적자원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20 (20): 47-72, 2016

      31 이덕정, "북한이탈 중년여성의 남한 정착과정에서의 평생학습 경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32 김재영, "북한 이탈주민의 적응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5

      33 이령자, "발달과업과 교육프로그램" 3 : 101-115, 1995

      34 변종헌, "다문화 사회에서의 통일담론"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339-359, 2014

      35 김현경,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 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6 김연정, "기업 중견비서의 이직 경험 및 전환학습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37 Belenky, M. F., "Woman’s ways of knowing: The development o self, voice, and mind" Basic Books 1986

      38 Kegan, R., "What “form” transforms?" Jossey-Bass 2000

      39 Baumgartner, L. M., "Transformative learning: Fundamental concepts" ERIC Clearinghouse on Adult, Career and Vocationa Education, Center on Training for Employment 2003

      40 Mezirow, J., "Transformative dimensions of adult learning" Jossey-Bass 1991

      41 Habermas, J.,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 1" Beacon Press 1981

      42 Spiegelberg, H., "The Context of the Phenomenological Movement" 1965

      43 김윤선, "Multiculturalism Is Good, But We Are Not Multicultural: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ism" 안암교육학회 21 (21): 325-350, 2015

      44 McCoy, V. R., "Lifelong learning: The adult years" Adult Life Resource Center, Division of continuing education, University of Kansas 1997

      45 Fenwick, T. J., "Learning through experience" Krieger Pub 2003

      46 Merriam, S. B., "Learning in adulthood" Jossey-Bass 2007

      47 Taylor, K., "Learning as transforma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a theory in progress" Jossey-Bass 151-180, 2000

      48 Mezirow, J., "Learning as transforma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a theory in Progress" Jossey-Bass 2000

      49 Elias, J. L., "Krieger Pub"

      50 McLeod, S. A., "Erik Erikson" Saul McLeod pub 2013

      51 Mezirow, J., "Education for perspective transformation: Woman’s re-entry programs in community colleges"

      52 Havighurst, R. J.,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David Mckay 1972

      53 Illeris, Knud., "Contemporary theorists of learning: learning theorists in their own word" Routledge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6 1.5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4 1.97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