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들이 자녀 양육에서 경험하는 4가지의 상황들 즉, 자기성취, 형제간 싸움, 떼쓰기, 소외 속에서 자녀들과 사용하는 언어적 반응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자녀와의 효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들이 자녀 양육에서 경험하는 4가지의 상황들 즉, 자기성취, 형제간 싸움, 떼쓰기, 소외 속에서 자녀들과 사용하는 언어적 반응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자녀와의 효율...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들이 자녀 양육에서 경험하는 4가지의 상황들 즉, 자기성취, 형제간 싸움, 떼쓰기, 소외 속에서 자녀들과 사용하는 언어적 반응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자녀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를 둔 5명의 아버지들을 선정하였으며, 서울시에 소재한 P어린이집 원장실에서 2012년 11월 17일 오전 10시에서 12시까지, 자료분석은 질문지, 심층면담, 면담노트, 녹화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녀가 성취한 상황에서는 칭찬과 같은 촉진적 언어반응을, 형제간 싸움에서는 공감과 같은 촉진적 언어반응을, 떼쓰기 상황에서는 화제 바꾸기와 같은 무관심 언어반응을, 소외된 상황에서는 촉진적 언어반응 유형인 격려와 공감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아버지가 효율적인 언어반응 양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칭찬법과 함께 공감교육에 관한 연구 및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parent and child by investigating father's verbal response types in his conversation with his child under such situations as self-achievement, sibling q...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parent and child by investigating father's verbal response types in his conversation with his child under such situations as self-achievement, sibling quarrel, nagging and isolation. For this research five fathers with children ages 3 to 5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from 10 to 12 A..M. on Nov. 17, 2012 in the director's room at P day care center in Seoul. For material analysis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 interview note, recording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athers tend to use stimulating verbal response types like praise in the situation of self-achievement; stimulating verbal response types like empathy in the situation of sibling quarrel; indifference response types like changing topic in the situation of nagging and lastly, stimulating verbal response types like encouragement and empathy in the situation of isolation. The result of this paper is to lead to discuss, for effective verbal response of father, methods and programs as to detailed praise strategies and empathy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희, "현대사회와 부모교육 : 디지털시대 부모자녀관계의 이해" 교육아카데미 2003
2 이옥, "한국아동의 발달 현황과 세대간 부모양육행동 비교" 한국아동권리학회 6 (6): 385-414, 2002
3 정윤경, "한국 부모의 정서발달에 대한 신념과 이에 따른 정서 관련 양육 행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5 (25): 107-128, 2012
4 우수경, "출생순위에 따른 유아의 정서능력과 가정환경변인간 구조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45-264, 2012
5 서보윤, "초등학교에서 외톨이 아동을 위한 또래 지원 방법의 개발과 그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209-227, 2007
6 김혜영,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7 윤선영,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7-54, 2010
8 윤소정, "유아의 공격성이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49-68, 2011
9 유정이, "외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특성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365-378, 2003
10 문미옥, "예비부모교육" 양서원 2006
1 김명희, "현대사회와 부모교육 : 디지털시대 부모자녀관계의 이해" 교육아카데미 2003
2 이옥, "한국아동의 발달 현황과 세대간 부모양육행동 비교" 한국아동권리학회 6 (6): 385-414, 2002
3 정윤경, "한국 부모의 정서발달에 대한 신념과 이에 따른 정서 관련 양육 행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5 (25): 107-128, 2012
4 우수경, "출생순위에 따른 유아의 정서능력과 가정환경변인간 구조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45-264, 2012
5 서보윤, "초등학교에서 외톨이 아동을 위한 또래 지원 방법의 개발과 그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209-227, 2007
6 김혜영,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7 윤선영,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7-54, 2010
8 윤소정, "유아의 공격성이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49-68, 2011
9 유정이, "외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특성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365-378, 2003
10 문미옥, "예비부모교육" 양서원 2006
11 조형숙,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추구하는 아버지상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39-264, 2008
12 기현주, "어머니의 형제대우, 형제 상호작용, 그리고 또래 유능성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5-32, 2004
13 최금희, "어머니의 성취목표지향성, 양육태도와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과정지향성, 유능감의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0
14 김재희, "어머니와 교사의 합리적 지도가 유아의 도덕적 정서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11 (11): 1-19, 2007
15 전은희,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탄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6 장진영,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2 (42): 79-107, 2011
17 최옥하, "아버지의 배경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9
18 곽선정, "아버지와 의사소통 수준, 정서적 교육지원, 학업기대수준이 청소년의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9 조선화, "아버지-청소년 자녀에 관한 연구동향과 특성분석-1970년부터 2002년까지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6 (6): 129-145, 2004
20 김민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1 류진영, "아동의 부모 언어통제유형 지각과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2 조주연, "숙제를 돕는 성공적 대화법 : 자녀의 숙제에 관해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기술" 시그마프레스 2008
23 박외숙, "상황자극에 대한 어머니의 언어반응 유형과 자녀의 신경증 경향성과의 관계" 15 (15): 197-213, 2001
24 곽경련, "사회적 기술향상 집단상담이 아동의 공감능력, 자기노출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5 김양자, "부와 모의 격려가 이타행동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공감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6 조은영,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양심간의 관계 : 유아의 두려운 기질의 중재적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7 임미옥, "부모의 정서표현 및 자녀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6
28 이상미,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심리적 가정환경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6 (46): 147-157, 2008
29 김충현,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 및 자녀의 정서교양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0 김용상, "부모의 양육유형과 아동의 과잉행동 및 자아개념과의 관계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1 조성연, "부모와 초등학생이 지각한 공부압력, 성공압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47-67, 2011
32 김재연, "부모역할 훈련에서의 자아개념 및 태도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상담연구소 43-106, 1993
33 김명희, "부모교육과 상담 : 생애발달특성과 부모자녀관계 & 특수아동가정 이혼가정의 부모상담" 동문사 2009
34 박성연, "부모교육 : 자녀와의 진정한 만남을 위한" 교육과학사 2003
35 최혜순, "부모교육" 동문사 2011
36 이경우,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수 있다" 창지사 2010
37 김순복, "교우관계증진 집단상담이 외톨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공감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효과" 3 (3): 1-25, 2011
38 Hecht, 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tatus and depressive sym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6 : 153-160, 1998
39 Asher, S., "Recent advances in the study of peer rejection In Peer rejection in childh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40 Kostelnik, M.,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Thomson 2009
41 Kuczynski, L., "Function and content of maternal demands :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early demands for competent action" 66 : 616-628, 1995
42 Levin, K., "Family structure, mother-child communication,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110 (110): 152-168, 2010
43 Batson, C., "Distress and empathy: Two qualitatively distinct vicarious emotions with different motivational consequences" 5 : 15-39, 1987
44 Gumperz, J., "Directions in sociolingguistics :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Holt, Reinhart & Winston 1973
45 Jolliffe,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asic empathy scale" 29 : 589-611, 2006
46 Gilman, R, "A review of life satisfaction research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18 (18): 192-205, 2003
부모 참여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 공공기관 직장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5-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6 | 1.72 | 1.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