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single on the quality of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84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single on the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elderly single household caregivers living in Daegu.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causality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single,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factor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quality of life. Second,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single, only evaluative support factor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quality of life. Third,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single,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factor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socio-economic quality of lif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design a practical intervention plan with its produced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single household caregiv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single on the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elderly single household caregivers living in Daegu. Frequency analysi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single on the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elderly single household caregivers living in Daegu.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causality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single,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factor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quality of life. Second,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single, only evaluative support factor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quality of life. Third,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single,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factor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socio-economic quality of lif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design a practical intervention plan with its produced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single household caregiv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의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요인은 신체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평가적 지지 요인만 정신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요인은 사회경제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의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의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요인은 신체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평가적 지지 요인만 정신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요인은 사회경제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록, "재가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489-511, 2012

      2 임종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사, 동료 및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151-166, 2010

      3 원영희,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9) : 403-427, 2014

      4 "http://www.mohw.go.kr/"

      5 "http://kostat.go.kr/"

      6 C. Y. Lee,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f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2017

      7 T. C. Kim,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ur of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2019

      8 G. S. Kim,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Family Health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Dongbang Culture University 2017

      9 N. Y. Kim,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 Seminary 2015

      10 S. K. Jung, "Th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 depending on Work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The Graduate School Hanseo University 2013

      1 이병록, "재가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489-511, 2012

      2 임종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사, 동료 및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151-166, 2010

      3 원영희,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9) : 403-427, 2014

      4 "http://www.mohw.go.kr/"

      5 "http://kostat.go.kr/"

      6 C. Y. Lee,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f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2017

      7 T. C. Kim,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ur of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2019

      8 G. S. Kim,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Family Health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Dongbang Culture University 2017

      9 N. Y. Kim,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 Seminary 2015

      10 S. K. Jung, "Th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 depending on Work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The Graduate School Hanseo University 2013

      11 T. H. GU, "Influence of social workers’ job characteristics on quality of lif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Graduate School, Daegu Haany University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