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은령,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 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99-417, 2005
2 홍주희, "학생과 가족을 위한 전환지원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9 (29): 135-162, 2019
3 조윤기,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학생의 여가생활 만족도와 학교생활 만족도 및 취업욕구와의 관계" 한국특수교육학회 52 (52): 109-132, 2018
4 조상미, "취업장애인의 임금 결정 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75-96, 2010
5 박영숙, "지체장애학생의 여가활동에 대한 연구" 삼육대학교 재활연구소 18 : 81-101, 1997
6 이달엽, "지체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5 : 131-153, 2003
7 박영근, "지적장애학생의 취업 및 고용 유지를 위한 주요기술 관련 특수교사 인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7 (17): 245-265, 2013
8 박영준,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직업기술능력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9) : 209-229, 2011
9 이선우,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자기효능감을 통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6 (46): 29-58, 2019
10 류현주, "장애학생의 지역 사회 여가 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1 : 87-102, 2003
1 송은령,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 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99-417, 2005
2 홍주희, "학생과 가족을 위한 전환지원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9 (29): 135-162, 2019
3 조윤기,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학생의 여가생활 만족도와 학교생활 만족도 및 취업욕구와의 관계" 한국특수교육학회 52 (52): 109-132, 2018
4 조상미, "취업장애인의 임금 결정 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75-96, 2010
5 박영숙, "지체장애학생의 여가활동에 대한 연구" 삼육대학교 재활연구소 18 : 81-101, 1997
6 이달엽, "지체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5 : 131-153, 2003
7 박영근, "지적장애학생의 취업 및 고용 유지를 위한 주요기술 관련 특수교사 인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7 (17): 245-265, 2013
8 박영준,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직업기술능력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9) : 209-229, 2011
9 이선우,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자기효능감을 통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6 (46): 29-58, 2019
10 류현주, "장애학생의 지역 사회 여가 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1 : 87-102, 2003
11 김수연, "장애학생을 위한 여가교육의 개념화와 지역사회 중심의 여가 교수" 한국특수교육학회 35 (35): 163-193, 2000
12 전리상, "장애인 여가활동 유형이 자기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885-900, 2017
13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8
14 이문정, "장애대학생의 장애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다중매개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99-222, 2014
15 김미희, "임시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업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어우러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6 유광수, "임금근로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32) : 33-51, 2019
17 박수경, "성인발달장애인의 문화ㆍ여가활동이 긍정적 대인관계를 매개로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로 인한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0 (40): 123-149, 2018
18 박승희, "발달장애인의 성공적 성인기 전환에 영향을 준 요소와 전환 지원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41-175, 2012
19 강수연, "발달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취업 여부의 관계: 여가 및 사회활동 참여와 취업 관련 조력자 여부의 인과 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0 (30): 5-24, 2020
20 박주영, "발달장애인근로자 고용현황과 직업유지 요인" 한국발달장애학회 21 (21): 51-68, 2017
21 고명균,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고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직업재활학회 69-75, 2016
22 이종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연구성과의비교분석" 한국취업진로학회 3 (3): 49-66, 2013
23 Lent, R. W.,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45 (45): 79-122, 1994
24 O’Reilly, M. F., "Teaching leisure social skills to adults with moderate mental retardation : An analysis of acquisi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35 (35): 250-258, 2000
25 Lee, Y. M., "Korean adaptation of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26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2017
27 Schwarzer, R.,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Measures in health psychology : A user’s portfolio" 1 (1): 35-37, 1995
28 Clayton, K. 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of long-term spinal cord injured persons" 75 (75): 633-638, 1994
29 Braun, K. V. N., "Factors associated with leisure activity among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7 (27): 567-583, 2006
30 Betz, N. E.,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4 (4): 47-57, 1996
31 Brown, T. J., "Beyond accessibility : Preference for natural areas" 33 (33): 209-221, 1999
32 Zigler, E., "Assessing personality traits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107 (107): 181-193, 2002
33 Brown, S. D., "A social cognitive framework for career choice counseling" 44 (44): 354-366,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