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예방 및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Guiding Conduct Problem of Multicultural infant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64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예방 및 지도를 위한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다문화 유아를 지도하고 있는 유아교사 중 연구...

      본 연구는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예방 및 지도를 위한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다문화 유아를 지도하고 있는 유아교사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유아교사 30명(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오리엔테이션 1주 교육프로그램 4주 총 5주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프로그램(2019년 1월 10일부터 2월 14일까지 실시)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과 다문화효능감 그리고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공분산분석(ANCOVA)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과 다문화효능감이 비교집단 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아졌으며,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 및 다문화효능감 신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 교사들은 본 프로그램이 만족스럽고 효과적이라는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예방 및 지도를 위한 지원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guide conduct problem of multicultural infant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containing 14 infant teachers and control group con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guide conduct problem of multicultural infant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containing 14 infant teachers and control group containing 16 infant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ready trained in positive teaching behavior with 5 guidance training sessions.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for two groups and evaluation test was conducted for only experimental group to test the effects of thi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enhanced teacher efficacy of guiding infant conduct problems, improved multicultural efficacy of teachers, and reduced the infant conduct problems. Also the experimental group was satisfied with this progr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요약 및 논의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요약 및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명희, "행동수정이론에 기초한 행동지원" 학지사 2018

      2 경기도교육청, "학교 다문화교육의 이해"

      3 조윤경, "특수아 행동지도 : 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아동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공동체 2017

      4 송나리,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97-126, 2016

      5 안영필, "청소년 비행 예방을 위한 여가활동 프로그램 개발" 14 : 57-69, 1996

      6 유성경, "적응유연성 발달을 통한 청소년 비행의 예방 및 개입" 7 (7): 26-40, 1999

      7 여성가족부, "이젠 아이교육·한국말 문제 없어요"

      8 김경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인간발달학회 20 (20): 1-21, 2013

      9 김현경,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 격차인식, 문화적응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29-254, 2009

      10 정진화, "유아교사의 행동지도 교수효능감, 낙관성,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175-198, 2017

      1 양명희, "행동수정이론에 기초한 행동지원" 학지사 2018

      2 경기도교육청, "학교 다문화교육의 이해"

      3 조윤경, "특수아 행동지도 : 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아동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공동체 2017

      4 송나리,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97-126, 2016

      5 안영필, "청소년 비행 예방을 위한 여가활동 프로그램 개발" 14 : 57-69, 1996

      6 유성경, "적응유연성 발달을 통한 청소년 비행의 예방 및 개입" 7 (7): 26-40, 1999

      7 여성가족부, "이젠 아이교육·한국말 문제 없어요"

      8 김경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인간발달학회 20 (20): 1-21, 2013

      9 김현경,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 격차인식, 문화적응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29-254, 2009

      10 정진화, "유아교사의 행동지도 교수효능감, 낙관성,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175-198, 2017

      11 조영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개인적 변인과대인관계 변인의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437-448, 2009

      12 최형성, "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문제행동지도효능감이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75-393, 2018

      13 최형성, "여성결혼이민자 집단과 한국어머니 집단의 양육 및 아동 관련 변인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65-183, 2011

      14 교육인적자원부,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지원"

      15 김선희, "아동의 문제행동과 관련변인 간의 인과관계" 17 (17): 156-166, 1998

      16 정옥분, "세계화를 위한 ‘효’가치관 정립과 자녀양육 방향 모색" 학진 1995

      17 전명희, "새터민 아동-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8 (8): 101-123, 2011

      18 송혜승, "빈곤청소년의 비행예방을 위한 또래집단 프로그램 개발 : 자아개념 향상을 중심으로" 5 : 222-261, 1996

      19 구수연, "보육교사들이 인식하는 다문화 가정 영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특성"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19-146, 2010

      20 정지현, "미디어리터러시 접근법을 활용한 소그룹 다문화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09-337, 2014

      21 최형성, "동남아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부모훈련 프로그램 개발(1): 필리핀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8 (48): 57-70, 2010

      22 최충옥, "다문화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1 (1): 1-20, 2010

      23 모경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75-99, 2009

      24 김연수,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한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적용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4) : 189-222, 2008

      25 강기정, "다문화가족 모(母)의 부모역량강화를 위한 부모코칭 경험 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4 (14): 111-125, 2009

      26 이철원,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능력 및 비행예방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정복지학회 (31) : 59-84, 2013

      27 김병순, "다문화가정 자녀의 유치원 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8 교육인적자원부,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계획"

      29 박미단,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비교"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83-103, 2013

      30 박선옥, "다문화 아동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에 관한 연구 -프로그램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4) : 45-78, 2013

      31 김환남,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의 발달 및 어린이집 부적응행동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29-252, 2013

      32 심성경, "다문화 가정 유아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183-200, 2008

      33 노용택, "높은 언어·문화장벽에 ‘왕따·가출’… 비상구가 없다"

      34 백용매, "농촌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자아발달수준과 문제행동증후 비교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39-57, 2015

      35 교육인적자원부, "교육부, “다문화가정” 품어 안는 교육지원 대책 발표"

      36 김경숙,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행동특성과 이들을 위한교수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1-24, 2008

      37 방소영, "가정형태에 따른 유아의 발달수준 비교 연구: 다문화 저소득 일반가정의 유아를 대상으로" 육아정책연구소 5 (5): 1-22, 2011

      38 여성가족부,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결과 발표"

      39 여성가족부, "[정책현장] 결혼이민자·자녀 모두 소중한 한국인. 초대마당"

      40 Guyton, E. M.,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 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7 : 21-29, 2005

      41 Almong, O., "Teachers’ democratic and efficacy beliefs and styles of coping with behavioral problems of pupils with special needs" 22 (22): 115-127, 2007

      42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Capturing elusive construct" 17 : 783-805, 2001

      43 Sisson, K. J., "Teacher and school characteristics as protective factors: An investigation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among rural, at–risk children" Alfred University 2014

      44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45 Coleman, P. K.,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18 : 47-85, 1997

      46 Siwatu, K. O., "Preservice teachers'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beliefs" 23 : 1086-1101, 2007

      47 Barra, F., "Prediction of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schoolchildren" 35 (35): 227-243, 2005

      48 Scheuermann, B. K.,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for the classroom" Pearson Education Inc 2016

      49 Hoigaard, R., "Newly qualified teachers' work 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he intention to quit" 35 (35): 347-357, 2012

      50 Bandura, A., "Much ado over a faulty conception of perceived self-efficacy grounded in faulty experimentation" 26 : 641-658, 2007

      51 Meral, A., "Misbehavior in British and Turkish primary classrooms" 19 (19): 32-39, 2001

      52 Sabatell, R. M., "Measuring issues in the experiences of parenthood" 38 : 15-28, 1995

      53 Ashton, P. T.,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Longman 1986

      54 Webster-Stratton, C., "Incredible years: A trouble-shooting guide for parents of children aged 2-8" Incredible Years, Inc 2006

      55 Webster-Stratton, C., "Incredible teachers : Nurturi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and academic competence" Incredible Years, Inc 2012

      56 Lee, G. H., "In search of wholeness: African American teachers and their culturally specific classroom practice" Palgrave 67-86, 2002

      57 Webster-Stratton, C., "How to promote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British Library Cataloguing in Publication data 2011

      58 Berman, P., "Federal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al change: Vol VII.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continuation" RAND 1997

      59 Cunningham, B., "Factors contributions to preservice teachers’ management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26 : 370-379, 1989

      60 Bower-Russa, M. E., "Disciplinary history, adult disciplinary attitudes, and risk for abusive parenting" 29 (29): 219-240, 2001

      61 Bullis, M., "Comprehensive school based systems for troubled youth" University of Oregon, Center on Human Development 1994

      62 Jenklins, C. A., "Common instructional problems in multucutural classrooms" 1990

      63 Kail, R. V., "Children and their development" Pearson Education Inc 2015

      64 Kaiser, B.,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 Understanding, preventing, & responding effectively" Pearson Education Inc 2012

      65 Francis, D. J., "Analysis of change : Modeling individual growth" 59 : 27-37, 1991

      66 Sleeter, C. E.,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57 : 421-444, 1987

      67 조형숙, "Action-Learning에 기초한 영유아교사 건강교육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431-459, 2014

      68 교육부, "2015년 다문화 학생 교육지원 계획 발표"

      69 행정안전부, "2010년 지방자치단체 외국계주민 현황 조사결과"

      70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계획"

      71 조태현, "'연쇄 방화' 다문화 10대 청소년 검거"

      72 Havighurst, S. S., ""Tuning into kids" : Reducing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using an emotion coaching parenting program" 44 : 247-264,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