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전기 아동의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급격한 언어발달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해야 하며 언어이전 단계로부터 유창한 언어사용 단계까지 폭넓게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68801
경산 : 대구대학교, 2017
학위논문(박사) -- 대구대학교 대학원 , 재활과학과 언어치료전공 , 2017
2017
한국어
512.516 판사항(6)
616.855 판사항(23)
경상북도
vi, 88 p.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김화수
권말부록: 연구 참여 동의서 등
참고문헌: p. 62-7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령전기 아동의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급격한 언어발달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해야 하며 언어이전 단계로부터 유창한 언어사용 단계까지 폭넓게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
학령전기 아동의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급격한 언어발달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해야 하며 언어이전 단계로부터 유창한 언어사용 단계까지 폭넓게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특정영역의 언어발달 수준뿐만 아니라 인지수준, 언어 이외의 능력에 대한 평가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표준화된 검사도구는 특정한 언어적 측면만을 측정하며 일상생활의 문맥을 반영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즉 언어결함이 있는 아동들은 각 언어영역의 순수한 언어발달이 측정되기 보다는 다른 언어영역의 부족한 부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언어 이외의 다른 평가 영역들을 구분해 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추후 표준화 검사로 활용될 수 있는 실행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언어능력과의 관계를 탐색하려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실행기능에 대한 국내 문헌을 고찰하여 실행기능의 하위요인을 파악하였으며, 학령전기 아동의 언어능력과 실행기능의 특성 및 언어능력과 실행기능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기능의 하위요인을 살펴본 결과, 최근 10년간의 국내 실행기능 관련 논문 192편 중에서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41편이었으며 이 중 언어와 실행기능을 다루는 연구는 단 8편에 불과했다. 또한 베리멕스 회전을 이용하여 8개 실행기능 하위요인을 ‘유동적이고 신속한 반응’, ‘작업기억’, ‘계획’의 3가지 구성요인으로 추출하였고 구성요인들 간에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령전기 아동의 언어능력과 실행기능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5세 아동이 6세 아동에 비해 전환기능 중 아동 색 선로 과제와 억제 기능 중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과제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났다. 5세의 경우 언어능력과 구성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6세의 경우 ‘작업기억’ 구성요인과 어휘표현력, 음운인식능력 간에 상관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행기능은 기억, 전환, 억제, 계획 등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 전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상의 결과는 표준화 언어평가 과정은 특정한 언어영역을 평가하며 이미 구어지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학령전기 아동의 순수한 언어발달을 측정하다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제한점으로 언어이외의 다른 평가영역들을 구분해 낼 필요가 있고 실행기능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행기능의 하위과제를 사용하여 언어 및 관련요인들을 살펴보는 표준화 검사들이 개발되어지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nguage of preschool children, it is necessary to 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apid language development and to be able to evaluate widely from the preverbal stage to the stage of fluent language use. It is a...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nguage of preschool children, it is necessary to 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apid language development and to be able to evaluate widely from the preverbal stage to the stage of fluent language use. It is also desirable to evaluate not only the language development level of a specific area but also the recognition level and the ability other than the language. However, standardized testing tools are measure only specific linguistic aspects and have difficulty reflecting the context of daily life. Therefore, children with language deficits are affected by the deficiencies of other language areas, so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evaluation areas other than language, rather than measuring pure languag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ecutive function that can be used as a standardized test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with language ability. To this end, investigate the subfactors of the executive function by review of Korean literatur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guage ability and the character of executive function and between executive function and the language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among the 192 domestic articles of executive function for the past 10 years, 41 studies were conducted for preschool children, and only 8 studies dealt with language and executive functions did. Also, using Verimex rotation, eight subfactors were extracted as the three components of 'dynamic and rapid reaction', 'work memory' and 'pla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tituent factors was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 of preschool children, five years old children showed higher mean scores than six years old in the Children's Color Trails Test(CCTT) among the shifting function and in the Stroop color and word test among inhibition function. In the case of five years old, language ability and constitutional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n case of six years ol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ork memory' factor and vocabulary expressive ability an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Third, the executive fun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whole process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memory, conversion, suppression, and planning.
The standardized language evaluate process is difficult to assessment the pure languag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because of it evaluates a specific language area and already contains spoken directions. Therefore, assessment the executive function for measuring the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aged 5 and 6 years old could be used as a meaningful alterna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tandardized tests will be developed to examine language and its related factors using sub tasks of executive func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1 구훈정, 신민섭, "아동 색 선로 검사", 서울: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11
2 배소영, 장혜성, 임선숙, 이지희, "구문의미이해력 검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서울장애 인종합복지관, 2004
3 김경희, 홍경훈, 장혜성, 이주현, 김영태,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4 조수철, 도례미, 김재원, 신민섭, 김붕년,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한국심리치료학회, 한국 심리치료학회지,2(2),1-12, 2010
5 정은정, "ADHD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2003
6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서울: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7 곽금주, 박혜원, 박광배,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서울:도서출판 특수교육, 1995
8 구훈정, 신민섭,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 서울:학지사 심리검사 연구소, 2012
9 공영숙, 임지영, "국내 실행기능연구의 동향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 61-75, 2011
10 조명한, "작업기억과 언어처리의 개인차",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16(1),18-39, 1997
1 구훈정, 신민섭, "아동 색 선로 검사", 서울: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11
2 배소영, 장혜성, 임선숙, 이지희, "구문의미이해력 검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서울장애 인종합복지관, 2004
3 김경희, 홍경훈, 장혜성, 이주현, 김영태,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4 조수철, 도례미, 김재원, 신민섭, 김붕년,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한국심리치료학회, 한국 심리치료학회지,2(2),1-12, 2010
5 정은정, "ADHD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2003
6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서울: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7 곽금주, 박혜원, 박광배,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서울:도서출판 특수교육, 1995
8 구훈정, 신민섭,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 서울:학지사 심리검사 연구소, 2012
9 공영숙, 임지영, "국내 실행기능연구의 동향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 61-75, 2011
10 조명한, "작업기억과 언어처리의 개인차",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16(1),18-39, 1997
11 이명주, 홍창희, "실행기능의 차원과 영역별 발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임 상,25(2),587-602, 2006
12 이윤미, "학습장애 학생의 실행기능 특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13 구훈정, 신민섭, "아동 색 선로 검사의 표준화 연구",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소아청소년정신의 학,19(1),28-37, 2008
14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2판", 서울:학지사, 2014
15 문수백, 조석희, 이영재, 여광응, "종합인지기능 진단검사 실시요강", 서 울:학지사, 2007
16 송찬원 ( Chan Won Song ), 변찬석 ( Chan Suk Byun ), "실행기능 관련 국내 연구의 최근 동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정서 행동장애 연구,23(1),143-162, 2007
17 김정민, 김지현, "3,5세 아동의 실행기능과 언어능력의 관계", 한국지역 사회생활과학회지,24(3),289-300, 2013
18 김홍근,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서울:도서출 판 신경심리, 2001
19 박혜정, 유경숙, "아동의 틀린 믿음과 실행기능의 발달 및 관계", 아동교 육,71(3),149-159, 2008
20 조수철, 신민섭, 김붕년, "웅진씽크빅 TECS 두뇌관리검사 package 최종보고서", 2009
21 민윤기, "불안이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지기제",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 구,15,55-80, 2004
22 김홍근, "Wechsler지능검사에서 관리기능과 비관리기능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한국심 리학회지:임상,25(1),257-272, 2006
23 장혜인,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 학회지:발달,23(3),19-35, 2010
24 이현진, "마음이론과 실행기능의 발달 및 관계.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4),99-113, 2011
25 백수진, 안성우, 신영주, 서유경,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비교 연구",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정서 행동장애연구,24(3),65-81, 2007
26 송찬원, "학습장애 아동과 ADHD아동 및 일반아동의 실행기능 특성", 대 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7 조은아, "아동의 실행기능,초기문해능력,초기수학능력 간의 관계", 영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8 권미경, 정윤경, 김지은, "연속적 자극의 크기 부호화 발달 및 실행기능 과의 관련",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발달,25(1),43-62, 2012
29 박량규, 서은주,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발달과의 관계:연령차를 중심 으로", 한국놀이치료학회, 한국놀이치료학회지,10(1),73-87, 2007
30 곽금주, 김연수, "4세 실행기능과 6세 읽기 능력간 관련성 :단기종단적 탐색",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발달.27(2),23-37, 2014
31 이정란, "아동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덕 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2 김인애,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능력의 예측변인으로서의 실행기능", 덕성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3 권명옥, 이효신, 윤주연, 신윤희, 김경서, "ADHD 및 자폐 아동의 실행기 능 연구 및 측정도구 동향 분석",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한국정서 행동장애아 교육학회지, 25(4),21-45, 2009
34 손현주, "학령전기 아동의 문장 처리 능력과 실행 기능 간의 관련성", 중 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5 손현주, 최영은, "학령전기 아동의 문장처리능력과 실행 기능의 관련성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발달,24(3),87-104, 2011
36 이현진, 권은영, "한국 아동의 속임수,틀린 믿음,실행기능의 발달 및 상호 관계성",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발달,25(2),165-184, 2012
37 지경진, 이강이, "‘머리/발 과제’로 측정한 유아의 행동조절능력과 사회적 적응",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30(6),591-605, 2009
38 김기예,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능력에 따른 유아의 실행기능과 또래작 용", 미래유아교육학회지,14(1),167-197, 2006
39 김동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초기문해(Basic Academic SkillsAssessment:EL)", 서울: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11
40 김기예, 이소은,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에 따른 유아의 실행기능과 또래상호작용",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14(1),167-197, 2007
41 김혜원,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의력 향상 훈련이 실행기능에 미치 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2 김소희, "이중언어사용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유아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3 조수철, 온싱글, 신민섭, 황준원, 김붕년, 김현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스퍼거장애, 학습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비교",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소아청소년정신의 학,17(2),131-140, 2006
44 신윤희, 이상복, 윤주연, "학교부적응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기능 및 문제 행동 유형간의 관계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49(1),197-213, 2010
45 김지연, 백용매,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8(1),333-349, 2007
46 박현정, 안제원, 방희정,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빠른 이름대기 및 실 행기능과 읽기능력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발달,23(1),85-102, 2013
47 주나래, 최영은, 조증열, "초기 한글 읽기발달에서 실행기능의 역할:억 제능력 및 전환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2), 125-144, 2015
48 김채윤, 임지영,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연령 및 이중언어사용정도에 따른 실행기능의 차이", 아동교육,22(2),87-102, 2013
49 이임주, "3∼7세 아동의 비언어성 지능과 실행기능의 발달:일반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0 송찬원,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교육적 탐색:이론적 특성 및 개별교수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학습장애연구,7(3),81-104, 2010
51 김영태, 이희란, 박소현, "학령전 언어장애아동 진단모델 정립을 위한 질 적 연구:핵심요소 및 평가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언어청각장애연구,10(3). 24-40, 2005
52 최영은, "아동 언어 처리에서 문장 정보 위치 및 실행 기능의 역할-영어 와 한국어 습득 아동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발달,22(4),91-109, 2009
53 박새롬, 박해준, "만 5세 아동의 인지과정 특성 분석:성별,월령,과잉행 동성향에 따른 CAS 수행결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31(4),139-157, 2010
54 박혜원, 이귀옥, 원영미, "이중언어 사용이 선택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 연변 조선족과 한족아동의 선택적 주의수행 비교.", 이중언어학회,23, 113-135., 2003
55 신은수, "3,4,5세 아동의 마음이론 발달과 가장놀이,언어의 표상 능력, 실행기능,그리고 중앙통합 능력과의 관계", 아동교육연구,25(1),65-90,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