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현수(絃首)의 신분과 음악 활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atus and the musical role of Hyunsu(絃首) during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6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yunsu(絃首) is the class who had played a specific role both in the royal palace and civil culture. Their official records have shown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reign of king Sejong to the reign of king Youngjo. They had played a role both as a f...

      Hyunsu(絃首) is the class who had played a specific role both in the royal palace and civil culture. Their official records have shown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reign of king Sejong to the reign of king Youngjo. They had played a role both as a folk musician on the stage of shaman ritual, and sometimes as a civil banquet musician. Also, they had often took part in the royal ritual or banquet in case which was the occasional need to perform with clowns or to fill up vacancy of female dancers of the royal palace.
      In case of when they played clowns’ accompaniment was Narye(儺禮), the year end ceremony or for the reception performance for Chinese ambassadors. The other case was the time when nation had a grand ritual, in which they were called into and participated in the royal banquet as a performer or a ritual assistant with royal female dancers.
      They, in generally speaking, were had good features, and were good at folk musics. Because of which, they could participated in the royal ceremony until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whenever nation had big ceremonies. Finally, after the 16th reign year of king Yongjo who was the 21st king of Joseon dynasty had allowed the participation of Hyunsu, their record of royal banquet’s participation had not be found. Stil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yunsu had a role at the reception ceremony with Jaein(才人, clowns) on the road for Chinese ambassador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book [Binryuchongram(1819)], the royal protocol for the diplomatic ceremony.
      Generally, the idea that the only classical musics had performed in the royal palace during Joseon dynasty was regarded as a fact until now, however folk musics and dances were also played by the specific class who was called Hyunsu in a small number and their music was called as Poongmul(風物) inside the royal court. The fact that instrumental folk music had also been presented at the royal palace or on the road as a royal ceremony have proved through the study of Hyunsu during Joseon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수(絃首)는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조선 초기 세종때부터 조선 후기 영조때까지 그 기록이 보이는 특수한 집단이다. 기존에는 관기나 무녀를 따라다니며 현가를 연주하는 인물로 어림잡...

      현수(絃首)는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조선 초기 세종때부터 조선 후기 영조때까지 그 기록이 보이는 특수한 집단이다. 기존에는 관기나 무녀를 따라다니며 현가를 연주하는 인물로 어림잡아 해석되어 왔다. 살펴본 결과 조선시대 현수는 주로 천인 계급의 신분으로 민간의 연향이나 무당을 따라 신사(神祀)에 참여하는 등의 역할을 맡았던 여성 민속 음악인이었다. 민간에서 현악기를 업으로 삼아 전문적으로 연주하던 여인들을 국가에서는 이처럼 현수(絃首), 혹은 현수(絃手)로 불렀다.
      현수는 조선 전기부터 나례를 위해 남녀광대들과 함께 차출되어 입궁하였는데, 비단 궁정안에서 행해졌던 관나때뿐 아니라 도상에서 펼쳐졌던 어가환궁의식과 조칙사 영접의식을 위한 도상나례에도 참여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현수의 차출은 나례 외에도 국가의 대규모 연향의 부족여기수를 채우기 위한 경우가 더욱 늘어났다.
      현수는 음악적으로는 이미 궁에 상주하며 악을 익혀온 여기들보다는 낮은 평가를 받기도 하였으나 본래 음악을 업으로 삼았기 때문에 일부는 실력 있는 자들도 섞여 있었다. 현수는 광대와 함께 나례에 참여 하였으나 독립된 공연이 가능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나례에 참여한 현수들에게는 ‘향속(鄕俗)’대로 연주하라고 했으므로, 각 지방의 민속 음악을 연주했을 것이다. 현수가 연주한 민속음악은 갑자년 『진연의궤』에 기록된 ‘풍물차비’들이 담당했던 악기에 비추어 가야금과 거문고의 현악기를 위주로 타악기인 장고 외에 궁중악에 걸맞게 교방고와 방향이 추가 혹은 대체된 형태였을 가능성이 크다. 더 나아가서는 산조의 원형으로 알려진 봉장취(鳳長醉), 혹은 봉황곡(鳳凰曲)으로도 불린 민속 기악곡내지는 이의 원형에 해당하는 음악을 연주했을 것으로 추측해 본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 궁정에서는 정악만 연주되었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현수의 존재를 통해 민속기악 중 현악기를 위주로 했던 여성의 풍물악도 궁정내에서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조 이후로는 풍물차지전악(風物次知典樂)까지 두게 되면서 민간의 음악도 궁정내에서 상설화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사훈, "李朝의 女樂" 淑明女子大學校 亞細亞女性問題硏究所 9 : 135-155, 1970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3 이경희, "한국 전통음악 역사 속의 여성 음악인들" 漢陽大學校 音樂硏究所 17 : 17-35, 2003

      4 송방송, "한겨레 음악대사전" 보고사 2012

      5 김종수, "조선전기 여악(女樂) 연구 : 여악폐지론과 관련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6 : 173-208, 2002

      6 한문종, "조선전기 倭使의 宴享接待와 女樂" 한일관계사학회 (36) : 39-65, 2010

      7 "조선왕조실록"

      8 송지원, "조선시대 장악원의 악인과 음악교육 연구" 한국국악학회 43 : 167-191, 2008

      9 조경아, "조선시대 일본 사신의 춤 향유" 무용역사기록학회 37 : 165-194, 2015

      10 이애덕, "조선시대 연산군의 여악제도에 관한 고찰" 대한무용학회 50 (50): 159-178, 2007

      1 장사훈, "李朝의 女樂" 淑明女子大學校 亞細亞女性問題硏究所 9 : 135-155, 1970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3 이경희, "한국 전통음악 역사 속의 여성 음악인들" 漢陽大學校 音樂硏究所 17 : 17-35, 2003

      4 송방송, "한겨레 음악대사전" 보고사 2012

      5 김종수, "조선전기 여악(女樂) 연구 : 여악폐지론과 관련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6 : 173-208, 2002

      6 한문종, "조선전기 倭使의 宴享接待와 女樂" 한일관계사학회 (36) : 39-65, 2010

      7 "조선왕조실록"

      8 송지원, "조선시대 장악원의 악인과 음악교육 연구" 한국국악학회 43 : 167-191, 2008

      9 조경아, "조선시대 일본 사신의 춤 향유" 무용역사기록학회 37 : 165-194, 2015

      10 이애덕, "조선시대 연산군의 여악제도에 관한 고찰" 대한무용학회 50 (50): 159-178, 2007

      11 정은경, "조선시대 선상기(選上妓)에 의한 궁중정재와 민간연희의 교섭" 한국민속학회 39 : 337-379, 2004

      12 김종수, "조선시대 대왕대비․왕대비 尊號儀禮의 정비과정과 用樂 변천" 한국국악학회 52 : 5-37, 2012

      13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宴饗)과 여악(女樂)연구" 민속원 2001

      14 김종수, "조선시대 大殿‧中殿 尊號儀禮의 변천과 用樂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49) : 143-180, 2012

      15 박은영, "조선 후기 궁중․교방 정재 및 민속무용의 상호교섭과 변모 양상" 숭실대학교한국문예연구소 (1) : 43-84, 2008

      16 윤아영, "조선 환궁의식(還宮儀式)과 중국 환궁의식(還宮儀式)의 변별에 관한 연구" 한국국악학회 54 : 253-277, 2013

      17 최미향, "조선 초기 세종조의 여악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1 : 270-306, 1990

      18 이성임, "일기를 통해 본 조선시대 妓女의 立役과 運用"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0) : 79-112, 2009

      19 "왕세자가례도감의궤"

      20 김종수, "왕대비 加上尊號儀의 의례와 음악 -정조대(1776∼1800) 『尊號都監儀軌』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회 (47) : 71-107, 2011

      21 윤아영, "영조의(迎詔儀)시 도상 나례(途上 儺禮)의 첨입과정 및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국악학회 50 : 173-198, 2011

      22 "영조 갑자년 진연의궤"

      23 권민정, "연산조의 여악에 대한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1 : 529-550, 1990

      24 국사편찬위원회, "신편 한국사 35권" 2002

      25 서지영,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Ⅱ) -‘기생조합’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0) : 433-464, 2005

      26 "승정원일기"

      27 "빈례총람"

      28 이보형, "봉장취의 연원과 변천고" 한국고음반연구회 10 : 2000

      29 이진원, "봉장취" 한국민속예술사전 2017

      30 이진원, "대금산조 창시자 박종기평전" 민속원 2007

      31 윤아영, "나례(儺禮) 준비 기관의 변천과 양변(兩邊)의 전통" 국립국악원 (26) : 243-264, 2012

      32 윤아영, "궁정나례의 연행양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33 장사훈, "국악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84

      34 김은영, "고려·조선전기 거가환궁 영접행사 연구 - 기로·유생·교방 삼가요(三歌謠)의 성립을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21) : 77-128, 2010

      35 "각사등록"

      36 송방송, "韓國音樂史論叢" 민속원 2002

      37 최미향, "朝鮮初期 世宗朝의 女樂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1989

      38 박자은, "官妓制度를 중심으로 한 기생(춤)의 기원 및 변천에 관한 고찰" 한국무용사학회 5 : 149-176, 2006

      39 성기숙, "妓女 및 敎坊춤에 대한 史的 考察" 한국무용연구회 11 : 65-103, 1993

      40 김명주, "中宗朝 女樂에 관한 硏究 : 女樂의 整備와 公演活動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6 : 51-118, 2002

      41 심민정, "『동래부사접왜사도』를 통해서 본 倭使 접대 - 宴享을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59-179, 2006

      42 권도희, "20세기 기생의 가무와 조직-근대기생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45 : 5-23, 2009

      43 한흥섭, "16세기 조선왕실의 여악女樂과 중국 사신의 관계 -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23) : 435-464,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