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S대학교의 개방강좌 <명연설로 보는 세계사의 쟁점들> 수업 사례 = Designing and Conducting a Liberal Arts Course with Problem-Based Learning : A Case Study of ‘Great Speeches That Changed World History,’ an Open Class of S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11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S대학교에서 2022학년도 2학기에 개설된 교양강좌 <명연설로 보는 세계사의 쟁점들>에대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본 교과목에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설계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전체 수업은 PBL 모형 중 ‘문제제시→문제해결방안 탐색→문제해결→발표및 평가’의 4단계를 적용하여 ‘연설 상황 제시→강의 및 토론, 자료조사→연설문 작성, PPT 준비→모의연설, 동료 평가’의 단계로 설계되었다. 첫 번째 문제제시의 단계에서는 PBL 문제의 대표적인 특성인 ‘구조화’, ‘복잡성’, ‘실제성’, 그리고 ‘교과관련성’을 고려하여 연설이라는 상황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직접 연설의 목적, 주제, 청중, 장소를 설정하게 하였다. 그 다음 문제해결방안 탐색의 단계는 교수자의강의와 학생들의 토론을 통하여 모의 연설의 주제를 탐색하는 시간이었다. PBL의 3단계인 문제해결과4단계인 발표 및 평가에서는 수업시간 전체를 팀 프로젝트 활동에 할애하여 학생들이 팀별로 모의연설을 준비하고 발표할 수 있도록 했다. 각 팀의 발표 때는 동료 평가를 시행하여 학생들이 다른 팀의 발표에 집중할 뿐 아니라 한 학기의 학습 내용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차적인 학습 효과가 일어나도록 했다. 15주간의 수업 후, PBL의 효용성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 학생들은 팀 프로젝트를 통해 수업내용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다고 응답했으며 동료 평가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팀 프로젝트가 교과목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결론적으로, PBL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설계하기에 적합한 방식이며, PBL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했으며, PBL은 본 교양강좌의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한 방식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S대학교에서 2022학년도 2학기에 개설된 교양강좌 <명연설로 보는 세계사의 쟁점들>에대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본 교과목에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하여 학습자 중...

      본 연구는 S대학교에서 2022학년도 2학기에 개설된 교양강좌 <명연설로 보는 세계사의 쟁점들>에대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본 교과목에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설계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전체 수업은 PBL 모형 중 ‘문제제시→문제해결방안 탐색→문제해결→발표및 평가’의 4단계를 적용하여 ‘연설 상황 제시→강의 및 토론, 자료조사→연설문 작성, PPT 준비→모의연설, 동료 평가’의 단계로 설계되었다. 첫 번째 문제제시의 단계에서는 PBL 문제의 대표적인 특성인 ‘구조화’, ‘복잡성’, ‘실제성’, 그리고 ‘교과관련성’을 고려하여 연설이라는 상황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직접 연설의 목적, 주제, 청중, 장소를 설정하게 하였다. 그 다음 문제해결방안 탐색의 단계는 교수자의강의와 학생들의 토론을 통하여 모의 연설의 주제를 탐색하는 시간이었다. PBL의 3단계인 문제해결과4단계인 발표 및 평가에서는 수업시간 전체를 팀 프로젝트 활동에 할애하여 학생들이 팀별로 모의연설을 준비하고 발표할 수 있도록 했다. 각 팀의 발표 때는 동료 평가를 시행하여 학생들이 다른 팀의 발표에 집중할 뿐 아니라 한 학기의 학습 내용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차적인 학습 효과가 일어나도록 했다. 15주간의 수업 후, PBL의 효용성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 학생들은 팀 프로젝트를 통해 수업내용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다고 응답했으며 동료 평가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팀 프로젝트가 교과목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결론적으로, PBL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설계하기에 적합한 방식이며, PBL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했으며, PBL은 본 교양강좌의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한 방식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a case study of ‘Great Speeches That Changed World History,’ a liberal arts course offer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at S University. It aims to design and conduct the course as student-centered with Problem-Based Learning (PBL). The four steps of PBL, ‘meeting the problem → exploring the solution → resolving the problem → presenting and evaluating the solution’ were adapted for those of ‘planning a speech → lectures, discussions, and research → writing a speech and making PowerPoint slides → speech presentations and peer reviews.’ First, students were introduced to the problem of a ‘speech,’ which was designed as an ‘ill-structured, complex, real, and related-to-the-curriculum’ PBL problem. Then they decided on the purpose, topic, audience, and place of their speeches. The second step of exploring the solution consisted of the teacher’s lectures and the students’ subsequent discussions where they explored the topics of their mock speeches. For the third and fourth steps of PBL, students participated in a team project activity where they practiced and presented their mock speeches. Peer reviews helped students concentrate on other teams’ presentations and elicited integrative understanding and secondary learning from them. A survey on PBL’s effectiveness, conducted after 15 weeks of the course, showed that students understood the class materials better when engaging in a team project and responded positively to peer reviews. They also thought their team project helped them achieve the course objectives. In conclusion, PBL was an effective method to plan a student-centered course. Students got engaged in class actively and positively with PBL, which ultimately helped them achieve the course objectives.
      번역하기

      This paper describes a case study of ‘Great Speeches That Changed World History,’ a liberal arts course offer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at S University. It aims to design and conduct the course as student-centered with Problem-Based Learnin...

      This paper describes a case study of ‘Great Speeches That Changed World History,’ a liberal arts course offer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at S University. It aims to design and conduct the course as student-centered with Problem-Based Learning (PBL). The four steps of PBL, ‘meeting the problem → exploring the solution → resolving the problem → presenting and evaluating the solution’ were adapted for those of ‘planning a speech → lectures, discussions, and research → writing a speech and making PowerPoint slides → speech presentations and peer reviews.’ First, students were introduced to the problem of a ‘speech,’ which was designed as an ‘ill-structured, complex, real, and related-to-the-curriculum’ PBL problem. Then they decided on the purpose, topic, audience, and place of their speeches. The second step of exploring the solution consisted of the teacher’s lectures and the students’ subsequent discussions where they explored the topics of their mock speeches. For the third and fourth steps of PBL, students participated in a team project activity where they practiced and presented their mock speeches. Peer reviews helped students concentrate on other teams’ presentations and elicited integrative understanding and secondary learning from them. A survey on PBL’s effectiveness, conducted after 15 weeks of the course, showed that students understood the class materials better when engaging in a team project and responded positively to peer reviews. They also thought their team project helped them achieve the course objectives. In conclusion, PBL was an effective method to plan a student-centered course. Students got engaged in class actively and positively with PBL, which ultimately helped them achieve the course object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존 라머, "프로젝트 수업어떻게 할 것인가?: 철학에서 실천 까지, 교사들을 위한 PBL의 모든 것!" 지식프레임 2017

      2 주석진,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49-563, 2021

      3 오현진, "발표 교육 중 ‘동료 평가’ 활용을 위한 전제" 중앙어문학회 72 : 411-441, 2017

      4 홍기칠, "문제중심학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과학연구소 39 (39): 79-110, 2008

      5 조연순,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7

      6 이경자 ; 류수연, "문제중심학습(PBL)에 기반한 세계시민성의 함양을 위한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사례: I대학교의 <세계시민교육>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3, 2020

      7 박혜진 ; 박민서 ; 이성혜, "문제기반학습에서 문제의 특성이 학습자의 흥미와 도전감에 미치는 영향: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한국교육공학회 36 (36): 991-1024, 2020

      8 성현영 ; 박균열, "문제기반학습법(PBL)을 활용한 대학 교양 통일교육 프로그램" 인문사회 21 14 (14): 3243-3254, 2023

      9 장정아, "문제기반학습 실행을 위한 교수자 역할에대한 이론적 탐색" 21 (21): 101-124, 2005

      10 신명희, "문제기반학습 수업이 협동적 문제해결 및 의사소통 능력 개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융합학회 45 (45): 133-140, 2023

      1 존 라머, "프로젝트 수업어떻게 할 것인가?: 철학에서 실천 까지, 교사들을 위한 PBL의 모든 것!" 지식프레임 2017

      2 주석진,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49-563, 2021

      3 오현진, "발표 교육 중 ‘동료 평가’ 활용을 위한 전제" 중앙어문학회 72 : 411-441, 2017

      4 홍기칠, "문제중심학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과학연구소 39 (39): 79-110, 2008

      5 조연순,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7

      6 이경자 ; 류수연, "문제중심학습(PBL)에 기반한 세계시민성의 함양을 위한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사례: I대학교의 <세계시민교육>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3, 2020

      7 박혜진 ; 박민서 ; 이성혜, "문제기반학습에서 문제의 특성이 학습자의 흥미와 도전감에 미치는 영향: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한국교육공학회 36 (36): 991-1024, 2020

      8 성현영 ; 박균열, "문제기반학습법(PBL)을 활용한 대학 교양 통일교육 프로그램" 인문사회 21 14 (14): 3243-3254, 2023

      9 장정아, "문제기반학습 실행을 위한 교수자 역할에대한 이론적 탐색" 21 (21): 101-124, 2005

      10 신명희, "문제기반학습 수업이 협동적 문제해결 및 의사소통 능력 개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융합학회 45 (45): 133-140, 2023

      11 김준태, "교양 경제교육 효과향상을 위한 문제기반학습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675-726, 2014

      12 강인애, "PBL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2003

      13 조성진, "PBL과 코칭을 활용한 대학 교양수업 개발 연구 -인성 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67-80, 2020

      14 World Economic Forum,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15 김윤희, "<사고와 표현> 수업에 적용해 본 ‘3분 스피치’ 교육의 효용성과 피드백의 실제 -고려대학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0) : 529-549, 2014

      16 강인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PBL의 재조명" 229 (229):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