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주연, "한국유도의 미국진출배경과 활동" 44 (44): 2005
2 "한국구술사연구회"
3 이타가키 류타, "한 농촌청년의 일기를 통해 본 1930년대 조선의 근대" 2002
4 이호근, "체육인문학의 몇 가지 시도" 2006
5 박성희,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생애사연구(Biography research)를 중심으로" 서울: 원미사 2004
6 조용환,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005
7 국사편찬위원회, "지방을 살다’ 지방행정, 193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경기: 국사편찬위원회 2006
8 "조돈오, 심층면담. 2006년 8월 15일, 자택"
9 김명권, "조돈오(趙墩午)의 생애로 본 경찰유도" 한국체육사학회 (20) : 2007
10 표인주, "전쟁과 사람들" 서울: 한울 2003
1 김주연, "한국유도의 미국진출배경과 활동" 44 (44): 2005
2 "한국구술사연구회"
3 이타가키 류타, "한 농촌청년의 일기를 통해 본 1930년대 조선의 근대" 2002
4 이호근, "체육인문학의 몇 가지 시도" 2006
5 박성희,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생애사연구(Biography research)를 중심으로" 서울: 원미사 2004
6 조용환,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005
7 국사편찬위원회, "지방을 살다’ 지방행정, 193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경기: 국사편찬위원회 2006
8 "조돈오, 심층면담. 2006년 8월 15일, 자택"
9 김명권, "조돈오(趙墩午)의 생애로 본 경찰유도" 한국체육사학회 (20) : 2007
10 표인주, "전쟁과 사람들" 서울: 한울 2003
11 김귀옥,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서울: 역사비평사 2005
12 폴벤느,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서울: 새물결 2005
13 김현식, "역사란 무엇인가" 서울: 휴머니스트 2006
14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서울: 휴머니스트 2005
15 박기동, "스포츠 인류학의 접근방법" 2007
16 위르겐 불룸붐, "미시사의 즐거움" 서울: 돌베개 2003
17 줄리아크레인, "문화인류학적현지조사방법" 서울: 일조각 1994
18 윤택림,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아르케 2004
19 조한욱,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서울: 책세상 2000
20 키스 젠킨스,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서울: 혜안 2002
21 함한희, "구술사와 문화연구" 33 : 2000
22 노용석, "구술사를 통한 영남지역 현대사조명" 34 (34): 2001
23 한국구술사연구회, "구술사:방법과 사례" 서울: 선인 2005
24 강원도체육회, "강원스포츠저널" (2) : 16-, 2007
25 도면회, "‘자주적’ 근대와 식민지근대" 2002
26 Catherine Kohler Riessma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eries, Narrative Analysis. 질적 연구 방법 총서, 내러티브분석" 서울: 군자출판사 2004
27 박현수, "20세기 한국 민중의 구술자서전" 서울: 소화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