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PPS)는 진행성 암환자에서 널리 사용되는 예후도구이다. PPS 측정이 생존에 대한 예측을 의미하지만, 연속적인 PPS 측정에 대한 유용성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92422
2017
E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235-24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PPS)는 진행성 암환자에서 널리 사용되는 예후도구이다. PPS 측정이 생존에 대한 예측을 의미하지만, 연속적인 PPS 측정에 대한 유용성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
목적: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PPS)는 진행성 암환자에서 널리 사용되는 예후도구이다. PPS 측정이 생존에 대한 예측을 의미하지만, 연속적인 PPS 측정에 대한 유용성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완화 병동에 입원한 진행성 암환자를 대상으로 PPS score의 변화와 생존간의 연관성에 대해 진행한 연구이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서울성모병원 완화의학과에 입원한 환자 606에 대한 의무기록을 통하여 입원 당일의 PPS score와 입원 3일째의 PPS score 그리고, 두 score의 차이를 측정하여 점수의 변화와 생존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PPS score의 변화와 생존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PPS score의 변화가 30% 이하인 군과 비교하였을 때, 30% 초과된 군에서 hazard ratio가 2.66(95% CI 2.19~3.22)로 확인되었다. 입원 3일째 PPS score가 30% 이하인 경우 독립적으로 생존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였으며, PPS score 30% 초과된 군과 비교했을 때 hazard ratio는 1.67 (95% CI 1.38~2.02)로 확인되었다. 입원 당시의 PPS score는 생존과 독립적인 관련성은 없었다. 결론: 후향적으로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 본 연구에서 30% 이상의 PPS score 변화는 입원중인 말기 암환자의 생존과의 관련이 확인되었다. 입원 당시의 PPS score는 생존을 예측하지 못했다. PPS score의 변화는 말기암환자에서 단일 PPS score 측정보다 더 민감한 지표일 수 있다. 차후 더 많은 환자들에서 이에 대한 다기관,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PPS) is a widely used prognostic tool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PPS score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Methods: We identified a...
Purpose: The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PPS) is a widely used prognostic tool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PPS score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Methods: We identified a cohort of 606 inpatients who died at a Korean university hospital's hospice/palliative care center. For each patient, the PPS score was measured twice according to a standard procedure: 1) upon admission, and 2) three days after admission (D3). "Change on D3" was defined as a difference between initial PPS and PPS on D3. We used a Cox regression modeling approach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this score change and survival. Results: The changes in scores were associated with survival. A score change of >30% yielded a hazard ratio for death of 2.66 (95% CI 2.19~3.22), compared to a score change of ${\leq}30%$. PPS of ${\leq}30$ on D3 also independently predicted survival, with a hazard ratio of 1.67 (95% CI 1.38~2.02) compared to PPS of >30. Conclusion: A change of over 30% in PPS appears to predict survival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even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ers. Changes in PPS may be a more sensitive indicator of impending death than a single PPS measured on the day of admiss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Further prospective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is important finding in other populations.
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에 미치는 공감역량과 극복력의 매개효과
Spiritual Car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hange in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PPS)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