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리모델링 단계의 탄소배출량 산정을 위한 BIM모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LOD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60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탄소배출량 산출에 정보분류레벨(LOD)의 분류에 따른 최적의 LOD를 결정하고, 건설정보화모델링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 노력의 일환...

      본 연구의 목적은 탄소배출량 산출에 정보분류레벨(LOD)의 분류에 따른 최적의 LOD를 결정하고, 건설정보화모델링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 노력의 일환으로 탄소배출거래제도 도입에 따른 BIM모델의 활용을 위한 탄소배출량 산정 방식을 연구하였다. LOD는 Level of Development와 Level of Detail로 구분할 수 있으며, 건축단계별 레벨과 상세수준별 레벨으로 정의할 수 있다. 탄소배출량 산출을 위한 최적의 LOD단계를 선정하기 위하여 단계별 탄소배출량을 산출하였다. LOD 단계별 탄소배출량 산출 결과 LOD 100<LOD 300<LOD 200 순으로 탄소배출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BIM모델 저작도구를 이용한 모델 제작 시 상세수준을 세부 내역별 재료정보를 입력해야하는 LOD 300단계 이상으로 하여야 탄소배출량 계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ptimum LOD(Level of Development, Level of Detail)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alculated result of CO₂emissions for each level of LOD. For this purpose, the CO₂emissions calculation metho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ptimum LOD(Level of Development, Level of Detail)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alculated result of CO₂emissions for each level of LOD. For this purpose, the CO₂emissions calculation method was studied for the utilizatio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model by introduction of carbon emissions trading scheme as part of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LOD can be divided into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Level of Detail. Also it can be defined as step-by-step construction classification and detail classification. The CO₂emissions were calculated step by step in order to determine of optimum level of LOD for CO₂emission calculation. The results for CO₂emission calculation is LOD100 < LOD300 < LOD200 in the order of high. Therefore, the using modeling in BIM authoring tool, CO₂emission calculation is enter the detail of the specific material information must be more than the LOD 300 st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2. BIM에 의한 탄소배출량 평가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2. BIM에 의한 탄소배출량 평가
      • 2.1 선행연구 분석
      • 2.2 국내 BIM 가이드라인
      • 2.3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 2.4 시설물의 탄소배출량 산정
      • 3. 건설정보모델링과 LOD
      • 3.1 건설정보모델링
      • 3.2 Level of Development
      • 3.3 Level of Detail
      • 3.4 LOD 수준 결정
      • 4. LOD단계별 탄소배출량 산정
      • 4.1 모델링 개요
      • 4.2 LOD단계의 결정과 모델링 수준
      • 4.3 LOD단계별 벽체의 탄소배출량 평가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2 "시설사업 BIM적용 기본지침서 v1.2"

      3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 – 건축물"

      4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보고서"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2012

      5 "국가 LCI 데이터베이스"

      6 "건축분야 BIM적용 가이드"

      7 이병호, "건축물 전과정 CO_2 평가를 위한 BIM 라이브러리 개발"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12 (12): 67-76, 2012

      8 홍성욱, "건축물 전과정 CO2평가와 친환경건축물인증을 위한 BIM 친환경 표준라이브러리 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 건축자재수준의 정보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9 (29): 271-278, 2013

      9 "건설정보모델 작성·납품 공통기준"

      10 Kyoto protocol, "International Emission Trading"

      1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2 "시설사업 BIM적용 기본지침서 v1.2"

      3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 – 건축물"

      4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보고서"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2012

      5 "국가 LCI 데이터베이스"

      6 "건축분야 BIM적용 가이드"

      7 이병호, "건축물 전과정 CO_2 평가를 위한 BIM 라이브러리 개발"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12 (12): 67-76, 2012

      8 홍성욱, "건축물 전과정 CO2평가와 친환경건축물인증을 위한 BIM 친환경 표준라이브러리 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 건축자재수준의 정보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9 (29): 271-278, 2013

      9 "건설정보모델 작성·납품 공통기준"

      10 Kyoto protocol, "International Emission Trading"

      11 추승연, "Green BIM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모델링 수준(Level of Development) 설정에 관한 연구 - 에너지 성능평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37-47, 2012

      12 강태욱, "BIM의 원리" SPACETIME 102-175, 2011

      13 "BIM기반 유지관리 정보 모델링 지침"

      14 박종언, "BIM기반 기계설비설계 적용을위한 정보도출과 이해도 검증" 9 (9): 505-508, 2013

      15 이현우, "BIM과 건물부재별 CO2 DB를 활용한 LCCO2산출과 환경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7 (27): 203-210, 2011

      16 김인한, "BIM : 건축설계및 엔지니어링" 기문당 79-113, 2013

      17 AIA, "AIA Document E202TM-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