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에서 자기수업컨설팅에 대한 교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자기수업컨설팅의 현황을 파악하고, 자기수업컨설팅의 교육 현장에 알맞은 방식으로 실천하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에서 자기수업컨설팅에 대한 교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자기수업컨설팅의 현황을 파악하고, 자기수업컨설팅의 교육 현장에 알맞은 방식으로 실천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에서 자기수업컨설팅에 대한 교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자기수업컨설팅의 현황을 파악하고, 자기수업컨설팅의 교육 현장에 알맞은 방식으로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과제를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작위로 표집된 중등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ver.25)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혹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Borich의 요구도 공식 그리고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등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배경변인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업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업컨설팅의 필요성 여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교수학습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자기수업컨설팅을 필요로 하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자기수업컨설팅의 원리에서 중등교사들은 수업개선을 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노력, 자신의 수업에 대한 성찰, 교사를 수업의 주체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되돌아보기 영역에서는 수업개선을 위해 교육과정의 재조직 및 재해석 작업, 교사의 수업철학, 학생의 사회·정서적 특성 그리고 교사의 역량과 수업철학을 정리하여 자신의 활동을 성찰하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들여다보기 영역에서는 수업개선을 위해서 실제 수업전략과 학생들의 수업전략 간의 일치도 분석, 학생들의 학습전략과 교육 내용조직화 전략 간의 일치도 분석, 학생들의 동기수준과 사용되는 동기전략 간의 일치도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새롭게 경험하기 영역에서는 새로운 전략의 개선사항을 찾아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것과 새로운 전략을 필요에 따라 변화 적용하는 융통성 있는 수업을 하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원들의 자기수업컨설팅의 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수업컨설팅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자기수업컨설팅관련 사례모음집을 제공하고, 지원 과제로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자기수업컨설팅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사 자신의 의지라고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수업컨설팅이 수업개선을 위한 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첫째, 자기수업컨설팅에 대한 중등교원들의 인식 개선을 통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둘째, 중등교원들도 수업개선을 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노력이 교수자로서 필수적인 것으로 인지하고 성찰하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 셋째, 교원은 수업개선의 주체로서 스스로를 인식하고 수업개선을 위한 전략들을 수업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성을 고려하며 실행하여야 한다. 넷째 자기수업컨설팅과 관련된 자료를 개발, 보급 및 관련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기수업컨설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중등학교 교원들이 학생들에게 배움이 일어날 수 있는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수업개선을 통해 수업전문성 향상을 할 수 있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