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교사 소진에 관한 혼합연구 : 양적․질적 메타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899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보육 현장에서 보육교사의 소진은 이미 심각한 문제가 된 지 오래다. 보육교사의 소진은 이직과 정신건강 문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2023년 말 3년 미만의 1회 이상의 이직경험자가 84.7% 나타났고, 소진 관련한 정신건강 문제도 20.3%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 주제에 대해 연구가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무상보육실시,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 및 코로나19 팬더믹 등 상당한 비중의 보육환경변화와 함께 질적연구도 이루어져 왔다. 보육교사 소진이라는 단일 주제로 누적된 연구물의 양이 상당한데 비해, 실천 현장과 정책 수립에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개별연구물들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질적인 연구 결과와 통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에 착안하여 기존의 경험적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밝혀진 보육교사의 소진의 영향요인 구분에 근거하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각 영역 변인의 효과크기를 구하고 선행 질적 연구물도 종합, 재구성하는 양적․질적 메타분석의 방법으로 혼합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보육교사의 소진 경험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함은 물론,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여 유보통합 등 보육 정책 지형 변화가 예감되는 현시점에서 증폭될 수 있는 보육교사 소진 예방의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혼합연구의 설명적 순차 설계(explanatory sequential design)을 사용하였다. 1단계인 양적연구는 2007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보육교사 소진이 종속변인인 연구 중에서 MBI 척도를 활용, 소진을 하위 구성요소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결여로 구분하여 연구한 학술지게재논문 64편과 석․박사학위논문 45편, 총 109편을 R studio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meta, metafor, computes 를 활용하여 양적 메타분석을 하였으며, 분석 대상 논문의 총 표집인 수는 18,080명이었다. 2단계에서 질적연구는 2012년부터 2023년까지 총 7편의 논문을 질적연구 종합(Qualitaive Research Synthesis) 방법에 기초하여 분석, 재구성하였다. 양적 메타분석에서는 출판유형 뿐 아니라, 보육정책환경 변화가 소진에 미친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영유아 무상보육 시행 이후(2015년), 아동학대 범죄 특례법 발의 후 어린이집 cctv설치 의무화(2018), 코로나19 펜더믹(2022)을 변인으로 하여 조절 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특히 정책변화의 조절효과를 보기 위한 시점은 정책 시행에서 2년이 경과한 이후로 하여 무상보육은 2015년, 어린이집 CCTV 의무 설치는 2018년, 코로나19 팬더믹은 2022년을 기준으로 정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 소진의 위험요인에서는 세 가지 하위 구성요소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큰 효과 크기를 보여주는 요인군은 조직요인군으로 나타났다. 조직요인군의 4개 세부 요인 모두가 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에는 큰 효과 크기를, 개인적 성취감에는 중간 효과 크기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서적 고갈에는 긴 근무시간(.556)이, 비인간화에서는 부족한 인력(.524)이 가장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심리요인에서는 일-가정 다중역할갈등(.629), 부정정서(.516),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410), 불안정성인애착(.401)이 큰 효과 크기를 보였고 직무요인에서는 이직의도(.753), 직무스트레스(.401)와 원장과의 관계(.479), 업무과다(.478), 역할갈등(.432)의 순으로 큰 효과 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소진을 억제하고 예방할 수 있는 보호요인 중에서 효과 크기가 가장 큰 것은 심리요인군으로, 역시 소진의 세 구성요소에 공통적이었다. 소진의 구성요소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모두에서 -.4 이상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인 변인 중 과반 이상이 심리요인군에 포진하고 있다. 특히 -.5이상의 큰 효과 크기의 변인이 전체 변인 중 심리요인군에서만 7개(주관적 건강, 일-생활균형, 집단자존감, 자아탄력성, 긍정심리자본, 그릿, 회복탄력성)나 되었다. 즉, 조직요인은 소진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심리요인은 소진을 완화하고 예방할 수 있는 변인으로 정리되었다.
      셋째, 출판유형, 무상보육정책시행, 어린이집cctv설치의무화, 코로나19팬더믹의 조절 변인의 효과 크기에서 무상보육정책시행 변인이 소진의 정서적 고갈에서 위험요인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호요인에서는 보육교사의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소진을 유발하는 위험요인과 소진을 억제하고 대처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심리, 직무, 조직요인이 확인되었고, 이 요인들은 양적 메타분석에서 드러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변인과 거의 유사했다. 다시 말해 질적 메타분석의 결과가 소진을 촉발하는 위험요인과 관련해서는 양적 메타분석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특히 질적 메타분석 결과에서는 소진이 진행되는 과정과 증상, 그리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 및 소진 극복을 통해 얻게 된 연구참여자들의 개인적·전문적 성장이라는 의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양적 메타분석과 질적 메타분석을 혼합하여 보육교사의 소진 관련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영향과 소진의 맥락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렴적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직무 과정에서 소진을 보호하는 요인에 비해 유발하는 위험요인의 효과 크기가 크게 나타나 종합적 개입의 시급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요인 중 정서적 고갈에서 조직, 직무, 심리요인 전체의 효과 크기가 크다는 것은 이미 소진이 만연한 상황에서 보육업무가 일상화되고 있고, 이는 교사의 이직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어서 영유아보육 서비스의 질이 위협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보육교사 소진의 위험요인의 효과 크기가 조직과 직무요인에서 크다는 것은 어린이집이라는 소규모 조직의 운영과 관리 및 리더십 차원의 획기적 개선 필요성과 함께 정부와 보육 인력 관리 및 보육 서비스 질 관리에 있어 지자체 차원의 제도개선 및 지원 필요성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한편, 심리적인 변인인 일-가정 다중역할 갈등과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 등이 큰 효과 크기를 보인 결과는 조직요인의 변인 중 부족한 인력과 근무 시간 조절 등 일-가정 양립정책이 보다 현실적으로 강화된다면 위험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직무요인에서 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에서 동시에 큰 효과 크기를 보인 원장과의 관계는 밀레니얼 또는 MZ 세대로 대표되는 보육교사와 부모세대의 요구변화 등에 따라 원장은 건강한 조직관리를 위해 리더십을 발휘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차별성은 양적 메타분석에 이어 질적 메타분석을 시행하는 혼합연구라는 점이다. 연구 결과는 양적 메타분석에서 드러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패러다임이 심층 인터뷰로 분석한 다수의 기존 질적연구에서도 그대로 적용됨을 보여주었고, 소진에 영향을 준 요인의 심리, 직무, 조직 차원의 영역 분류도 매우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어, 양적 메타분석 결과와 반박적인 부분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양적 메타분석과 질적 메타분석을 혼합하여 보육교사 소진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심리, 직무, 조직요인에서의 영향과 소진 경험을 극복하고 진정한 보육교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렴적 결론을 이끌어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과거 보육교사의 소진은 단순히 개인적인 심리 문제로 간주되었던 상황과 달리 기관의 열악한 근무 환경 개선과 충분한 인적 자원 지원 등의 조직요인과 직무 여건의 개선은 보육교사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여 소진의 위험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소진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개입방안에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함의를 둔다.

      주요어: 보육교사 소진, 위험요인, 보호요인, MBI, 혼합연구 방법, 양적 메타분석, 질적 메타분석
      번역하기

      우리나라 보육 현장에서 보육교사의 소진은 이미 심각한 문제가 된 지 오래다. 보육교사의 소진은 이직과 정신건강 문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2023년 말 3년 미만의 1회 이상의 이직...

      우리나라 보육 현장에서 보육교사의 소진은 이미 심각한 문제가 된 지 오래다. 보육교사의 소진은 이직과 정신건강 문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2023년 말 3년 미만의 1회 이상의 이직경험자가 84.7% 나타났고, 소진 관련한 정신건강 문제도 20.3%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 주제에 대해 연구가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무상보육실시,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 및 코로나19 팬더믹 등 상당한 비중의 보육환경변화와 함께 질적연구도 이루어져 왔다. 보육교사 소진이라는 단일 주제로 누적된 연구물의 양이 상당한데 비해, 실천 현장과 정책 수립에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개별연구물들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질적인 연구 결과와 통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에 착안하여 기존의 경험적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밝혀진 보육교사의 소진의 영향요인 구분에 근거하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각 영역 변인의 효과크기를 구하고 선행 질적 연구물도 종합, 재구성하는 양적․질적 메타분석의 방법으로 혼합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보육교사의 소진 경험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함은 물론,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여 유보통합 등 보육 정책 지형 변화가 예감되는 현시점에서 증폭될 수 있는 보육교사 소진 예방의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혼합연구의 설명적 순차 설계(explanatory sequential design)을 사용하였다. 1단계인 양적연구는 2007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보육교사 소진이 종속변인인 연구 중에서 MBI 척도를 활용, 소진을 하위 구성요소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결여로 구분하여 연구한 학술지게재논문 64편과 석․박사학위논문 45편, 총 109편을 R studio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meta, metafor, computes 를 활용하여 양적 메타분석을 하였으며, 분석 대상 논문의 총 표집인 수는 18,080명이었다. 2단계에서 질적연구는 2012년부터 2023년까지 총 7편의 논문을 질적연구 종합(Qualitaive Research Synthesis) 방법에 기초하여 분석, 재구성하였다. 양적 메타분석에서는 출판유형 뿐 아니라, 보육정책환경 변화가 소진에 미친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영유아 무상보육 시행 이후(2015년), 아동학대 범죄 특례법 발의 후 어린이집 cctv설치 의무화(2018), 코로나19 펜더믹(2022)을 변인으로 하여 조절 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특히 정책변화의 조절효과를 보기 위한 시점은 정책 시행에서 2년이 경과한 이후로 하여 무상보육은 2015년, 어린이집 CCTV 의무 설치는 2018년, 코로나19 팬더믹은 2022년을 기준으로 정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 소진의 위험요인에서는 세 가지 하위 구성요소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큰 효과 크기를 보여주는 요인군은 조직요인군으로 나타났다. 조직요인군의 4개 세부 요인 모두가 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에는 큰 효과 크기를, 개인적 성취감에는 중간 효과 크기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서적 고갈에는 긴 근무시간(.556)이, 비인간화에서는 부족한 인력(.524)이 가장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심리요인에서는 일-가정 다중역할갈등(.629), 부정정서(.516),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410), 불안정성인애착(.401)이 큰 효과 크기를 보였고 직무요인에서는 이직의도(.753), 직무스트레스(.401)와 원장과의 관계(.479), 업무과다(.478), 역할갈등(.432)의 순으로 큰 효과 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소진을 억제하고 예방할 수 있는 보호요인 중에서 효과 크기가 가장 큰 것은 심리요인군으로, 역시 소진의 세 구성요소에 공통적이었다. 소진의 구성요소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모두에서 -.4 이상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인 변인 중 과반 이상이 심리요인군에 포진하고 있다. 특히 -.5이상의 큰 효과 크기의 변인이 전체 변인 중 심리요인군에서만 7개(주관적 건강, 일-생활균형, 집단자존감, 자아탄력성, 긍정심리자본, 그릿, 회복탄력성)나 되었다. 즉, 조직요인은 소진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심리요인은 소진을 완화하고 예방할 수 있는 변인으로 정리되었다.
      셋째, 출판유형, 무상보육정책시행, 어린이집cctv설치의무화, 코로나19팬더믹의 조절 변인의 효과 크기에서 무상보육정책시행 변인이 소진의 정서적 고갈에서 위험요인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호요인에서는 보육교사의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소진을 유발하는 위험요인과 소진을 억제하고 대처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심리, 직무, 조직요인이 확인되었고, 이 요인들은 양적 메타분석에서 드러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변인과 거의 유사했다. 다시 말해 질적 메타분석의 결과가 소진을 촉발하는 위험요인과 관련해서는 양적 메타분석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특히 질적 메타분석 결과에서는 소진이 진행되는 과정과 증상, 그리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 및 소진 극복을 통해 얻게 된 연구참여자들의 개인적·전문적 성장이라는 의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양적 메타분석과 질적 메타분석을 혼합하여 보육교사의 소진 관련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영향과 소진의 맥락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렴적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직무 과정에서 소진을 보호하는 요인에 비해 유발하는 위험요인의 효과 크기가 크게 나타나 종합적 개입의 시급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요인 중 정서적 고갈에서 조직, 직무, 심리요인 전체의 효과 크기가 크다는 것은 이미 소진이 만연한 상황에서 보육업무가 일상화되고 있고, 이는 교사의 이직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어서 영유아보육 서비스의 질이 위협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보육교사 소진의 위험요인의 효과 크기가 조직과 직무요인에서 크다는 것은 어린이집이라는 소규모 조직의 운영과 관리 및 리더십 차원의 획기적 개선 필요성과 함께 정부와 보육 인력 관리 및 보육 서비스 질 관리에 있어 지자체 차원의 제도개선 및 지원 필요성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한편, 심리적인 변인인 일-가정 다중역할 갈등과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 등이 큰 효과 크기를 보인 결과는 조직요인의 변인 중 부족한 인력과 근무 시간 조절 등 일-가정 양립정책이 보다 현실적으로 강화된다면 위험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직무요인에서 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에서 동시에 큰 효과 크기를 보인 원장과의 관계는 밀레니얼 또는 MZ 세대로 대표되는 보육교사와 부모세대의 요구변화 등에 따라 원장은 건강한 조직관리를 위해 리더십을 발휘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차별성은 양적 메타분석에 이어 질적 메타분석을 시행하는 혼합연구라는 점이다. 연구 결과는 양적 메타분석에서 드러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패러다임이 심층 인터뷰로 분석한 다수의 기존 질적연구에서도 그대로 적용됨을 보여주었고, 소진에 영향을 준 요인의 심리, 직무, 조직 차원의 영역 분류도 매우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어, 양적 메타분석 결과와 반박적인 부분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양적 메타분석과 질적 메타분석을 혼합하여 보육교사 소진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심리, 직무, 조직요인에서의 영향과 소진 경험을 극복하고 진정한 보육교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렴적 결론을 이끌어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과거 보육교사의 소진은 단순히 개인적인 심리 문제로 간주되었던 상황과 달리 기관의 열악한 근무 환경 개선과 충분한 인적 자원 지원 등의 조직요인과 직무 여건의 개선은 보육교사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여 소진의 위험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소진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개입방안에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함의를 둔다.

      주요어: 보육교사 소진, 위험요인, 보호요인, MBI, 혼합연구 방법, 양적 메타분석, 질적 메타분석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in South Korea has long been a serious issue. Burnout significantly impacts job turnover and mental health problems, with 84.7% of teache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having changed jobs at least once by the end of 2023, and 20.3% reporting mental health problems related to burnout. Research on this topic has been steadily published, along with qualitative studies, in the context of significant changes in the childcare environment,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free childcare, mandatory installation of CCTV in daycare centers, and the COVID-19 pandemic. Despite the substantial amount of accumulated research on childcare teacher burnout, attempts to comprehensively analyze individual study results and integrate them with qualitative research findings to provide reliable evidence for practice and policy-making are scarce.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is gap by conducting mixed-methods research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s, calculating effect sizes fo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based on common findings from previous empirical studies, and synthesizing and reconstructing previous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aim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childcare teachers' burnout experiences and offer reliable evidence for preventing burnout,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anticipated changes in childcare policies such as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is study employed an explanatory sequential design for mixed-methods research. The first phase, quantitative research, conducted a meta-analysis of 109 studies (64 journal articles and 45 these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23 that used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to measure burnout component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studio software with meta, metafor, and computes packages, with a total sample size of 18,080 across the analyzed studies. The second phase, qualitative research, analyzed and reconstructed seven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23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Synthesis method.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publication type and policy changes,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of free childcare for young children (2015), mandatory CCTV installation in daycare centers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Child Abuse Crimes (2018), and the COVID-19 pandemic (2022). The time points for examining policy change effects were set two years after implementation: 2015 for free childcare, 2018 for mandatory CCTV installation, and 2022 for the COVID-19 pandemic.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risk factors for childcare teacher burnout, organizational factor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cross all three burnout components. All four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factors showed large effect sizes for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and medium effect sizes for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Specifically, long working hours (.556)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r emotional exhaustion, while insufficient staffing (.524)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r depersonalization. Among psychological factors, work-family multiple role conflict (.629), negative emotions (.516),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410), and insecure adult attachment (.401) showed large effect sizes. Job factors such as turnover intention (.753), job stress (.401),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479), work overload (.478), and role conflict (.432) also showed large effect sizes.
      Second, among the protective factors that suppress and prevent childcare teacher burnout, psychological factor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consistent across all three burnout components. More than half of the variables showing large effect sizes (-.4 or greater) for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were psychological factors. Notably, seven variables in the psychological factor group showed very large effect sizes (-.5 or greater): subjective health, work-life balance, collective self-esteem, ego-resilie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grit, and resilience. In summary, organizational factors increased the risk of burnout, while psychological factors mitigated and prevented burnout.
      Third, among the moderating variables of publication type, free childcare policy implementation, mandatory CCTV installation in daycare centers, and the COVID-19 pandemic, the free childcare policy implementation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as a risk factor for emotional exhaustion and as a protective factor for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in childcare teachers.
      Fourth, qualitative meta-analysis identified risk factors that induce burnout and psychological, job,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cess of suppressing and coping with burnout. These factors were similar to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dentified in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In other words,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were consistent with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results regarding risk factors that trigger burnout. Additionally,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revealed the process and symptoms of burnout, efforts to cope with it, and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experienced by research participants who overcame burnout.
      This study was able to draw convergent conclusion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effect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childcare teacher burnout and the context of burnout through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a-analyses. The larger effect sizes of risk factors compared to protective factors in the work process confirmed the urgency of comprehensive intervention. The large effect sizes of organizational, job,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emotional exhaustion among risk factors indicate that childcare work has become routine in an already burnout-prevalent situation, leading to increased teacher turnover and threaten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care services. Furthermore, the large effect sizes of organizational and job factors as risk factors for childcare teacher burnout strongly suggest the need for dramatic improvements in the operation, management, and leadership of small-scale organizations like daycare centers, as well as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support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n managing childcare personnel and service quality. Meanwhile, the large effect sizes of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work-family multiple role conflict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suggest that strengthening work-family balance policies, including addressing staff shortages and adjusting working hours, could reduce risks. Additionally, the large effect size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in both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among job factors emphasize the need for directors to exercise leadership for healthy organizational management in response to changing demands of millennial or Generation Z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The distinctiveness of this study lies in its mixed-methods approach, conducting qualitative meta-analysis following quantitative meta-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paradigm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vealed in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applied equally to multiple existing qualitative studies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lassification of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to psychological, job,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could be applied very similarly, confirming that there were no contradictory aspects to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result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rew convergent conclusion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effect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childcare teacher burnout in psychological, job, and organizational factors, as well as the process of overcoming burnout experiences and growing into genuine childcare teachers, through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a-analyses. Furthermore, unlike in the past when childcare teacher burnout was simply regarded as an individual psychological problem,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foundational data for intervention strategies to minimize the impact of risk factors and alleviate burnout by presenting empirical evidence that improving poor working environments in institutions and providing sufficient human resources support can prevent childcare teacher burnout.

      Key words: childcare teacher burnout,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MBI, mixed metho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a-analyses.
      번역하기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in South Korea has long been a serious issue. Burnout significantly impacts job turnover and mental health problems, with 84.7% of teache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having changed jobs at least once by...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in South Korea has long been a serious issue. Burnout significantly impacts job turnover and mental health problems, with 84.7% of teache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having changed jobs at least once by the end of 2023, and 20.3% reporting mental health problems related to burnout. Research on this topic has been steadily published, along with qualitative studies, in the context of significant changes in the childcare environment,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free childcare, mandatory installation of CCTV in daycare centers, and the COVID-19 pandemic. Despite the substantial amount of accumulated research on childcare teacher burnout, attempts to comprehensively analyze individual study results and integrate them with qualitative research findings to provide reliable evidence for practice and policy-making are scarce.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is gap by conducting mixed-methods research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s, calculating effect sizes fo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based on common findings from previous empirical studies, and synthesizing and reconstructing previous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aim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childcare teachers' burnout experiences and offer reliable evidence for preventing burnout,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anticipated changes in childcare policies such as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is study employed an explanatory sequential design for mixed-methods research. The first phase, quantitative research, conducted a meta-analysis of 109 studies (64 journal articles and 45 these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23 that used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to measure burnout component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studio software with meta, metafor, and computes packages, with a total sample size of 18,080 across the analyzed studies. The second phase, qualitative research, analyzed and reconstructed seven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23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Synthesis method.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publication type and policy changes,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of free childcare for young children (2015), mandatory CCTV installation in daycare centers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Child Abuse Crimes (2018), and the COVID-19 pandemic (2022). The time points for examining policy change effects were set two years after implementation: 2015 for free childcare, 2018 for mandatory CCTV installation, and 2022 for the COVID-19 pandemic.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risk factors for childcare teacher burnout, organizational factor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cross all three burnout components. All four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factors showed large effect sizes for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and medium effect sizes for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Specifically, long working hours (.556)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r emotional exhaustion, while insufficient staffing (.524)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r depersonalization. Among psychological factors, work-family multiple role conflict (.629), negative emotions (.516),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410), and insecure adult attachment (.401) showed large effect sizes. Job factors such as turnover intention (.753), job stress (.401),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479), work overload (.478), and role conflict (.432) also showed large effect sizes.
      Second, among the protective factors that suppress and prevent childcare teacher burnout, psychological factor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consistent across all three burnout components. More than half of the variables showing large effect sizes (-.4 or greater) for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were psychological factors. Notably, seven variables in the psychological factor group showed very large effect sizes (-.5 or greater): subjective health, work-life balance, collective self-esteem, ego-resilie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grit, and resilience. In summary, organizational factors increased the risk of burnout, while psychological factors mitigated and prevented burnout.
      Third, among the moderating variables of publication type, free childcare policy implementation, mandatory CCTV installation in daycare centers, and the COVID-19 pandemic, the free childcare policy implementation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as a risk factor for emotional exhaustion and as a protective factor for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in childcare teachers.
      Fourth, qualitative meta-analysis identified risk factors that induce burnout and psychological, job,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cess of suppressing and coping with burnout. These factors were similar to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dentified in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In other words,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were consistent with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results regarding risk factors that trigger burnout. Additionally,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revealed the process and symptoms of burnout, efforts to cope with it, and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experienced by research participants who overcame burnout.
      This study was able to draw convergent conclusion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effect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childcare teacher burnout and the context of burnout through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a-analyses. The larger effect sizes of risk factors compared to protective factors in the work process confirmed the urgency of comprehensive intervention. The large effect sizes of organizational, job,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emotional exhaustion among risk factors indicate that childcare work has become routine in an already burnout-prevalent situation, leading to increased teacher turnover and threaten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care services. Furthermore, the large effect sizes of organizational and job factors as risk factors for childcare teacher burnout strongly suggest the need for dramatic improvements in the operation, management, and leadership of small-scale organizations like daycare centers, as well as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support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n managing childcare personnel and service quality. Meanwhile, the large effect sizes of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work-family multiple role conflict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suggest that strengthening work-family balance policies, including addressing staff shortages and adjusting working hours, could reduce risks. Additionally, the large effect size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in both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among job factors emphasize the need for directors to exercise leadership for healthy organizational management in response to changing demands of millennial or Generation Z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The distinctiveness of this study lies in its mixed-methods approach, conducting qualitative meta-analysis following quantitative meta-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paradigm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vealed in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applied equally to multiple existing qualitative studies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lassification of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to psychological, job,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could be applied very similarly, confirming that there were no contradictory aspects to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result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rew convergent conclusion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effect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childcare teacher burnout in psychological, job, and organizational factors, as well as the process of overcoming burnout experiences and growing into genuine childcare teachers, through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a-analyses. Furthermore, unlike in the past when childcare teacher burnout was simply regarded as an individual psychological problem,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foundational data for intervention strategies to minimize the impact of risk factors and alleviate burnout by presenting empirical evidence that improving poor working environments in institutions and providing sufficient human resources support can prevent childcare teacher burnout.

      Key words: childcare teacher burnout,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MBI, mixed metho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a-analy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1. 보육교사와 소진 10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1. 보육교사와 소진 10
      • 2. 보육교사 소진 선행연구 검토 16
      • 3. 보육교사 소진에 관련된 위험요인 22
      • 4. 보육교사 소진에 관련된 보호요인 34
      • 5. 보육교사 소진의 조절변수 55
      • Ⅲ. 연구방법 59
      • 1. 혼합연구 59
      • 2. 양적 메타분석 63
      • 3. 질적 메타분석 80
      • Ⅳ. 연구결과 86
      • 1. 양적 메타분석 결과 86
      • 2. 질적 메타분석 결과 122
      • Ⅴ. 논의와 결론 139
      • 1. 요약 및 논의 139
      • 2. 결론 및 제언 147
      • 참 고 문 헌 153
      • Abstract 1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