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논문 : 17세기 무염파(無染派)의 조상(造像) 활동 = Muyeom and Haesim: Masters of the Muyeom School in the 17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23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후기 17세기는 임진왜란으로 파괴된 사찰과 불상을 대대적으로 재건하고 조성한 시기였다. 수 천 구의 불상을 새로 조성함에 따라 수많은 조각가들이 필요하였고, 이들 조각가들은 적...

      조선 후기 17세기는 임진왜란으로 파괴된 사찰과 불상을 대대적으로 재건하고 조성한 시기였다. 수 천 구의 불상을 새로 조성함에 따라 수많은 조각가들이 필요하였고, 이들 조각가들은 적게는 10여명 많게는 80여명에 이르는 집단을 이루어 활동하였다. 이들 조각가들은 모두 승려의 신분을 갖고 있어 彫刻僧이라 할 수 있으며, 이들 조각승들의 집단은 한 사람의 首長을 중심으로 일정한 조각 양식을 공유한 독립적인 유파를 이루고 있었다. 17세기에는 대략 7-8개의 대형 조각승 유파가 활동하였으며, 이들 유파는 또 다시 작은 유파들로 나뉘어져 있기도 하였다. 無染派는 무염과 해심을 중심으로 1630년대에서 1650년대까지 전라도 일대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조각승 유파이며, 조선 후기에 가장 많은 80여 명의 조각승을 보유하였던 유파이다. 무염파는 1633년 고창 선운사에서 처음으로 불상을 조성하는 데 참여한 것으로 보아, 늦어도 1620년대 말에는 독자적인 조각승 유파를 이룬 것으로 추정된다. 무염파의 활동 영역은 주로 전라북도를 근거로 하여 전라도 일대에서 활동하였던 것으로 보이지만, 멀리 강원도의 불사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무염이 수조각승으로 조성한 불상은 팽팽한 양감이 강조된 얼굴과 신체, 그리고 양각과 음각을 함께 사용하여 입체감을 잘 표현한 옷주름 등이 특징이다. 17세기 후반 무염파를 계승한 海心은 스승인 무염의 작풍을 이으면서도 좌우대칭의·옷주름과 두터운 하반신을 갖고 있는 안정감 높은 불상들을 조성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ddhist temples and the statues in Korea were, for the most part, rebuilt and recreated from the 17th to the 18th century because the greater part of them were destroyed by the Japanese invaders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Invasion to Korea fro...

      The Buddhist temples and the statues in Korea were, for the most part, rebuilt and recreated from the 17th to the 18th century because the greater part of them were destroyed by the Japanese invaders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Invasion to Korea from 1592 to 1598. Thousands of the sculptors, who were monks, worked for creating the sculptures and they formed groups and schools. In general, each school was formed with limited numbers of sculptors and a specific region. The statues were made by each school`s own member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lots of competent monk-sculptors became noticeable. The masters in each schools led all their members with the unique style of the sculptures. There were 7-8 major schools in the 17th century and the Muyeom school is in them. Muyeom school was led by Muyeom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Haesim in the mid 17th century. They produced many works more actively than any other schools for the period of the 1630s to the 1650s in Jeolla province. Muyeom, the founder of the school, presented the cubic effect very well on the expression of clothes` lines and the voluminous effect on the expression of faces and bodies. Haesim, the worthy successor of the school, stressed the symmetrical effect on the draperies of the clothes and the stability of the statu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