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道統과 治統, 聖人과 帝王: 宋 ~ 淸中期의 道統論을 통해본 士大夫社會에서의 君主權 = The Sovereign Power in the Literati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otong Discourse from the Song to the Mid Qing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205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당 중기 이후 도통론은 사회·정치 질서에 대한 본원적인 질문과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출현하였다. 북송시기 다양한 계보를 산출하며 전개되었던 도통론은 주희의 도학 체계에서 중요한 위...

      당 중기 이후 도통론은 사회·정치 질서에 대한 본원적인 질문과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출현하였다. 북송시기 다양한 계보를 산출하며 전개되었던 도통론은 주희의 도학 체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며 단순히 유가의 도의 전수의 계보를 넘어, 사회·정치 질서의 기반이 되는 권력의 정당성에 대한 논의의 기본적 틀을 제공하게 된다. 주희의 도통론의 정치적 의미는 무관의 왕으로서 공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상징성을 극대화하고, 공자가 구현하였다고 보는 “문헌적 왕권”을 새로운 방식으로 구현하면서 사대부들의 권력을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도통과 치통의 관계의 문제는 직설적으로 표현하자면, 聖人과 帝王의 관계의 문제이며, 이는 곧 사대부의 권력과 군주의 권력의 문제에 대한 논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道統論’의 틀 속에서 군주권의 정당성 문제가 어떻게 논의되어왔는가를, 명대와 청대의 대표적인 전제 군주로 여겨지는 황제들을 중심으로, 담론과 보다 구체적인 禮制와 문헌 편찬 등으로 표출된 군주의 대응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군주측의 대응과 이러한 대응의 배경을 살펴 본 바에 의하면, 사대부 사회에서의 권력의 정당성의 문제는 사대부가 중심이 된 논의구조인 도통론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사대부는 이념적으로는 군주권을 압도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인다. 이 논문은 송대 이후의 군주권에 대한 논의는 이전 시기와 매우 다른 구도 속에서 논의되고 있었으며, 이는 사대부 사회라는 새로운 엘리트층의 성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송대 이후의 군주권에 대한 논의의 성격은, 기존의 설명과 같이 군주권에 복속된 관료층으로서의 엘리트층의 등장이 분권적 요소를 제거하여 전제적 군주권이 강화되어간다는 변화 과정으로 이해하기는 힘들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송대 이후의 강력한 군주권의 성격은 동양적 전제주의나 유럽 절대왕정의 구도로는 이해되기 힘들며, 세습적 귀족이 아니지만 사회적으로 특권을 지닌 사대부 집단과 그 사대부 집단이 만들어낸 사대부 사회의 권력 구조의 틀 안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otong discourse has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 to the discourse on the sociopolitical order since the mid Tang period. Zhu Xi firmly established the lineage of Daotong and its sociopolitical meaning in Confucian tradition. Since Zhu Xi up to the ...

      Daotong discourse has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 to the discourse on the sociopolitical order since the mid Tang period. Zhu Xi firmly established the lineage of Daotong and its sociopolitical meaning in Confucian tradition. Since Zhu Xi up to the decline of Daoxue in the Mid Qing period., Daotong discourse has provided the frameworks for the discourse on the legitimacy of pow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aotong and zhitong has been problemitized.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otong and zhitong ultimately asked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of the literati and the power of ruler.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Confucius, the uncrowned king, was highlighted in the Daotong discourse in Zhu Xi's learning. Also Zhu Xi's
      learning textualized Daotong in the form of his new classical tradition, the Four Books, It also transformed the way in which "textual kingship" could be embodied. This paper analyzes ritual controversies concerning Confucian temple and attempts to manipulate "textual kingship"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emperor and the literati. Unlike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the emperors in the Ming and Qing periods did not have a solid ideological ground for their sovereign power. The framework of political discourses based on Daotong was designed to support the power of the literati, and the emperors were mostly defensive in the ideological discourses. The sovereign power in the literati society cannot be fully understood by theories of "Oriental Despotism" or by the model of the "absolute state" in Europe. Without the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literati society, is it impossible to explain the sovereign power
      in late imperial chin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道統論의 성립과 그 정치적 의미
      • Ⅲ. 明代 孔廟祀典을 둘러싼 聖人과 帝王의 위상 논쟁
      • Ⅳ. 淸代 皇帝의 道統과 治統의 합일 시도
      • Ⅴ. 결어
      • Ⅰ. 서론
      • Ⅱ. 道統論의 성립과 그 정치적 의미
      • Ⅲ. 明代 孔廟祀典을 둘러싼 聖人과 帝王의 위상 논쟁
      • Ⅳ. 淸代 皇帝의 道統과 治統의 합일 시도
      • Ⅴ. 결어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岡田武彦, "呂晩村と朱子學" 11 : 1968

      2 박동인, "呂坤의 修養論" 인문과학연구소 (53) : 2007

      3 차용구, "중세 독일에서 왕은 어떻게 선출되었나" 4 : 2001

      4 이성규, "중국 大同사상의 역사적 전개와 그 특징" 10 : 1992

      5 미야자키 이치사다, "옹정제" 이산 2001

      6 신채식, "송대 황제권연구" 한국학술정보 2010

      7 켄트 가이, "사고전서" 생각의 나무 2009

      8 조너선 D. 스펜스, "강희제" 이산 2001

      9 이범학, "魏了翁(1178-1237)의 經世理學과 道統論 - 道統과 治統의 합일" 22 : 1999

      10 荒木見悟, "駁呂留良四書講義をめぐる若干の問題" 34 : 197-,

      1 岡田武彦, "呂晩村と朱子學" 11 : 1968

      2 박동인, "呂坤의 修養論" 인문과학연구소 (53) : 2007

      3 차용구, "중세 독일에서 왕은 어떻게 선출되었나" 4 : 2001

      4 이성규, "중국 大同사상의 역사적 전개와 그 특징" 10 : 1992

      5 미야자키 이치사다, "옹정제" 이산 2001

      6 신채식, "송대 황제권연구" 한국학술정보 2010

      7 켄트 가이, "사고전서" 생각의 나무 2009

      8 조너선 D. 스펜스, "강희제" 이산 2001

      9 이범학, "魏了翁(1178-1237)의 經世理學과 道統論 - 道統과 治統의 합일" 22 : 1999

      10 荒木見悟, "駁呂留良四書講義をめぐる若干の問題" 34 : 197-,

      11 韓愈, "韓昌黎集"

      12 小野川秀美, "雍正帝と大義覺迷錄" 16 (16): 1958

      13 "舊唐書"

      14 "聖祖仁皇帝御製文集"

      15 민두기, "淸初의 황제통치와 사상통제의 실제-曾靜모역사건과 『大義覺迷錄』을 중심으로" 25 : 1964

      16 조병한, "淸乾嘉期 이래 經世思潮 부흥" 6 : 1997

      17 전순동, "永樂政權의 형성과 그 성격" 13 : 1985

      18 柳宗元, "柳河東集"

      19 민병희, "朱熹의 사회‧정치적 구상으로서의 “學” ― “功利之學,” “空虛之學”과의 대조를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04) : 85-120, 2008

      20 민병희, "朱熹의 “大學”과 士大夫의 사회·정치적 권력: 制度에서 心의 “學”으로" 중국사학회 (55) : 77-108, 2008

      21 이용주, "朱熹 道統論의 형성과 사상적 과제" 101 : 1999

      22 李光地, "朱子全書"

      23 伊東貴之, "明淸交替と王權論" 39 (39): 2008

      24 "明太祖高皇帝實錄"

      25 "明史"

      26 박종배, "明 嘉靖 9년의 文廟 祀典 개혁과 朝鮮의 대응-廟號 개정 문제를 중심으로" 34 : 2003

      27 宋濂, "文憲集"

      28 권중달, "性理大全의 형성과 그 영향" 4 : 1985

      29 "性理大全"

      30 "宋史"

      31 王瑞來, "宋代の皇帝勸力と士大夫政治" 汲古書院 2001

      32 신채식, "宋代 「君主獨裁體制說」에 대한 異論" 동양사학회 (111) : 159-183, 2010

      33 陶士槱, "孔子升大祀考"

      34 雍正帝, "大義覺迷錄"

      35 丘濬, "大學衍義補"

      36 朱熹, "四書章句集注"

      37 조영록, "嘉靖帝 政治對立과 科道官" 21 : 1985

      38 呂坤, "呻吟語"

      39 黃訓, "名臣經濟錄"

      40 黃進興, "优入聖域, 權力, 信仰與正當性" 中華書局 2009

      41 程頤, "二程全書"

      42 谷井俊仁, "一心一德考-淸朝における政治的正當性の論理" 63 (63): 2005

      43 Lewis, Edward Mark, "Writing and Authority in Early China" SUNY Press 1999

      44 Bol, Peter K, "This Culture of Ours: Intellectual Transition in T'ang and Sung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2

      45 Wilson, Thomas, "The Genealogy of the Way: Construction and Uses of the Confucian Tradition in Late Imperial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5

      46 Huang Chin-hsing, "Philosophy, philology, and politics in eighteenth-century China: Li Fu and. Lu-Wang school under the 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47 Wilson, Thomas, "On Sacred Grounds: Culture, Society, Politics, and the Formation of the Cult of Confucius"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2

      48 Bol, Peter K, "Neo-Confucianism in History"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8

      49 Woodside, Alexander, "Lost Modernities: China, Vietnam, Korea, and the Hazards of World His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50 Miyajawa, H, "An Outline of Naito Hypothesis and Its Effects on Japanese Studies of China" 14 (14): 195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1.216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