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HP 기법을 이용한 그린캠퍼스 운영 요소의 중요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712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을 대상으로 그린캠퍼스의 의사결정요소를 4개의 측면 즉, 경영적 측면, 시설적 측면, 교육적 측면, 의식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AHP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중요도를 분석...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을 대상으로 그린캠퍼스의 의사결정요소를 4개의 측면 즉, 경영적 측면, 시설적 측면, 교육적 측면, 의식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AHP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중요도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적 계층화 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 AHP) 기법은 절차가 비교적 간단하고, 요소의 항목 간 가중치를 부여하여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시간 및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의사결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AHP 실행을 위한 설문은 2012년 12월 그린캠퍼스 관련 실무자 및 교수 등 총 1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일관성이 높은 11명의 응답 결과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1순위는 경영적 측면이 3.9점이었으며, 이어서 교육적 측면 3.7점, 의식적 측면 3.7점, 시설적 측면 3.5점 순이었다. 또한 AHP 분석을 통해 4개 측면의 10개 요소의 중요도를 비교해 본 결과, 1순위는 최고 경영자의 의지 31.1%였으며, 이어 그린캠퍼스 운영계획 19.8%, 그린캠퍼스 운영조직 12.4%, 지속가능한 에너지 및 자원관리 9.8%, 탄소배출 저감시설 설치 6.9%, 녹색 교과과정 개설 5.7%, 녹색 인재 양성 4.1%, 캠퍼스 구성원의 참여 4.0 %, 산학 연관 협력 3.2%, 지역사회 협력 3.0% 순으로 나타났다. 그린캠퍼스 운영 요소로 녹색 교과과정이나 녹색인재 양성과 같은 교육적 측면에 대한 중요도가 낮게 평가된 점은 그린캠퍼스의 발전을 위해 개선해야 할 과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executed to evaluate the weightness of decision-making elements of the green campus classified by four aspects such as the campus management, education, facilities and awareness in Korean colleg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four aspect...

      This study was executed to evaluate the weightness of decision-making elements of the green campus classified by four aspects such as the campus management, education, facilities and awareness in Korean colleg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four aspects was analyzed by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s a time-cost effective decision making tool by using relatively simple procedure and obtain results through paired comparison of each elements. In December 2012, eleven valid of questionnaires from fourteen experts of Green Campus Assembly were analyzed systematically. The result was that the aspect of campus management took the first rank (3.9point) and followed by education aspect (3.7point), awareness aspect (3.7point), system aspect (3.5point). And the result comparing the importance of ten elements by four aspects through AHP analysis was that highest decision-maker’s will (volition) took the first rank (31.1%), followed by management plan of green campus (19.8%), operating organization of green campus (12.4%), sustainable energy and resources management (9.8%), installation of carbon dioxide reduction facilities (6.9%), opening green curriculum (5.7%), training green talent (4.1%), participation of campus members (4.0%),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educational organizations (3.2%) and community collaboration (3.0%). It is required to emphasize the education aspect such as the eco-conscious curriculum and training the students for achieving the green campu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그린캠퍼스 운영 요소 도출과 평가 방법
      • Ⅲ. 그린캠퍼스 운영 요소별 중요도 분석 결과
      • Ⅳ.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그린캠퍼스 운영 요소 도출과 평가 방법
      • Ⅲ. 그린캠퍼스 운영 요소별 중요도 분석 결과
      • Ⅳ. 결론
      • 국문초록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자건, "한국과 일본 대학교 구성원의 그린캠퍼스 인식 비교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180-194, 2012

      2 유성준, "학생 주도 그린캠퍼스운동의 성과 및 과제" 1-4, 2011

      3 환경부, "저탄소 그린캠퍼스 사업계획서 및평가방법"

      4 서동현, "대학의 그린캠퍼스 추진 현황" 43 (43): 52-59, 2014

      5 김경수,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소비 실태 조사를 통한 탄소 인센티브 제도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3 (23): 65-81, 2010

      6 녹색연합, "기후변화 시대 대학의 대안-저탄소 그린캠퍼스 만들기 가이드북" 녹색연합 2008

      7 김찬국, "그린캠퍼스의 개념 정립과 그린캠퍼스 평가틀 개발" 136-139, 2012

      8 김한솔, "그린캠퍼스 조성을 위한 전사적 관점에서의 대학 운영 전략에 관한 연구" 1-8, 2010

      9 녹색성장위원회, "그린캠퍼스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녹색성장위원회 2012

      10 교육과학기술부, "그린캠퍼스 인증 도입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1 구자건, "한국과 일본 대학교 구성원의 그린캠퍼스 인식 비교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180-194, 2012

      2 유성준, "학생 주도 그린캠퍼스운동의 성과 및 과제" 1-4, 2011

      3 환경부, "저탄소 그린캠퍼스 사업계획서 및평가방법"

      4 서동현, "대학의 그린캠퍼스 추진 현황" 43 (43): 52-59, 2014

      5 김경수,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소비 실태 조사를 통한 탄소 인센티브 제도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3 (23): 65-81, 2010

      6 녹색연합, "기후변화 시대 대학의 대안-저탄소 그린캠퍼스 만들기 가이드북" 녹색연합 2008

      7 김찬국, "그린캠퍼스의 개념 정립과 그린캠퍼스 평가틀 개발" 136-139, 2012

      8 김한솔, "그린캠퍼스 조성을 위한 전사적 관점에서의 대학 운영 전략에 관한 연구" 1-8, 2010

      9 녹색성장위원회, "그린캠퍼스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녹색성장위원회 2012

      10 교육과학기술부, "그린캠퍼스 인증 도입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11 경기개발연구원, "그린캠퍼스 실천 매뉴얼및 온실가스 인벤토리 모델 개발" 경기개발연구원 2010

      12 Thomas, W., "Public participation impact assessment :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15 (15): 443-463, 1995

      13 Krasny, M. E., "Natural area stewardship as part of campus sustainability" 11 (11): 1-10, 2014

      14 Robert, J. K., "Greening of the campus:A whole-systems approach" 14 (14): 769-779, 2006

      15 Simpson, "Energy sustainability and the green campus" 31 (31): 150-158, 2003

      16 구지영, "ESD와 고등교육기관 협력 방안,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고등교육의 역할"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2

      17 Tan, H., "Development of green campus in China" 64 (64): 646-653, 2013

      18 Allan, L., "Critical review of a global campus sustainability ranking: GreenMetric" 13 (13): 56-67, 2015

      19 Yong, G., "Creating a “Green university” in China: A case of Shenyang University" 61 (61): 13-19, 2013

      20 Solnes, J., "An oil refinery in the north atlantic;Environmental profile impact assessment and project appraisal" 18 (18): 309-402, 2000

      21 Alshuwaikhat, H. M., "An integrated approach to achieving campus sustainability:Assessment of the current campus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s" 16 (16): 1777-1785, 2008

      22 박희범, "AHP기법을 이용한 그린캠퍼스 의사결정 요소별 중요도 분석"

      23 정우수, "AHP 기법을 이용한 u-City 사업타당성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56 : 123-14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5-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4-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환경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2 0.94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