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생태환경 변수의 효과: 노화의 일반생태학 이론을 적용하여 = The Effects of Ecologic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The Applications of General Ecological Theory of Ag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7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persons and decide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thesis conceptually points out that the integrated theory of resources too much emphasizes the important roles of human, social and cultural capital, but overlooks the influences of ecological environments in explaining volunteering among the older persons. And the thesis tries to apply the general ecological theory of aging to explaining volunteering of older people together with resource frameworks, and to estimate the effects of ecological environment variables on volunteerism for senior citizens. Using a micro data of 2009 National Social Survey by Statistics Korea, the paper screens out 10,268 subjects who are believed to socially retire and be above 55 years older. The multiple OLS regression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s are us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ecological environments and resources on volunteering.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l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variables are related to volunteering at the level of p<.000. This means that environmental variables have independent effects on the volunteerism, controlling for resource variables. This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ories have empirical evidences in explaining volunteerism in Korea. Also, at the end of paper,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persons and decide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thesis conceptually points out that the integrated theory of resources too...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persons and decide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thesis conceptually points out that the integrated theory of resources too much emphasizes the important roles of human, social and cultural capital, but overlooks the influences of ecological environments in explaining volunteering among the older persons. And the thesis tries to apply the general ecological theory of aging to explaining volunteering of older people together with resource frameworks, and to estimate the effects of ecological environment variables on volunteerism for senior citizens. Using a micro data of 2009 National Social Survey by Statistics Korea, the paper screens out 10,268 subjects who are believed to socially retire and be above 55 years older. The multiple OLS regression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s are us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ecological environments and resources on volunteering.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l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variables are related to volunteering at the level of p<.000. This means that environmental variables have independent effects on the volunteerism, controlling for resource variables. This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ories have empirical evidences in explaining volunteerism in Korea. Also, at the end of paper,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통합적 자원이론은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일상의 생활환경 및 거시적 생태환경이나 상황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노년기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노화에 따른 대처행동의 하나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환경과의 교류를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본 논문은 노화의 일반 생태학 이론의 관점을 적용하여 생태환경 변수가 자원변수들을 통제한 가운데 어떤 영향력을 갖고 있는 지 그 효과를 추정하고, 그 결과가 내포하는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통계청 사회의식조사 원시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총 응답자 37,049명 중 사회적 은퇴를 경험한것으로 추측되는 55세 이상 10,268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과 이항로지스틱 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로써 종속변수인 시간 및 참여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독립변수 즉 생태환경과 자원변수는 p<.000 수준에서 유의한 독립적 효과를 나타냈고, 이 중, 5개의 독립변수 즉 교육수준, 돈 빌려줄 사람 수, 종교, 전문 관리직, 지역사회 변수는 종속변수인 시간자원봉사와 참여자원봉사에 대하여 관계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의 일반 생태학 이론이 우리나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경험적 근거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환경변수의 효과 크기가 자본변수에 비해 작지 않음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상대적으로 동네, 지역사회, 직업 환경 등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간자원봉사와 참여 자원봉사에 대한 회귀계수 추정에서 5개 변수의 관계방향이 서로 다른 것은 두 결과변수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과정에서 서로 다른 과정이라는 것을 함의하는 것이며, 노인자원봉사자의 모집과 유지전략에서 다른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론에서 자원봉사 이론 및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통합적 자원이론은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일상의 생활환경 및 거시적 생태환경이나 상황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경향...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통합적 자원이론은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일상의 생활환경 및 거시적 생태환경이나 상황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노년기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노화에 따른 대처행동의 하나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환경과의 교류를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본 논문은 노화의 일반 생태학 이론의 관점을 적용하여 생태환경 변수가 자원변수들을 통제한 가운데 어떤 영향력을 갖고 있는 지 그 효과를 추정하고, 그 결과가 내포하는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통계청 사회의식조사 원시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총 응답자 37,049명 중 사회적 은퇴를 경험한것으로 추측되는 55세 이상 10,268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과 이항로지스틱 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로써 종속변수인 시간 및 참여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독립변수 즉 생태환경과 자원변수는 p<.000 수준에서 유의한 독립적 효과를 나타냈고, 이 중, 5개의 독립변수 즉 교육수준, 돈 빌려줄 사람 수, 종교, 전문 관리직, 지역사회 변수는 종속변수인 시간자원봉사와 참여자원봉사에 대하여 관계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의 일반 생태학 이론이 우리나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경험적 근거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환경변수의 효과 크기가 자본변수에 비해 작지 않음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상대적으로 동네, 지역사회, 직업 환경 등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간자원봉사와 참여 자원봉사에 대한 회귀계수 추정에서 5개 변수의 관계방향이 서로 다른 것은 두 결과변수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과정에서 서로 다른 과정이라는 것을 함의하는 것이며, 노인자원봉사자의 모집과 유지전략에서 다른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론에서 자원봉사 이론 및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홍, "한국 자원봉사 활동의결정요인과 경제적 가치평가" 한국인구학회 3 : 83-105, 2007

      2 이현기, "일반노인 시간자원봉사의 특징 : 평균시간과 개인자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4 (54): 387-411, 2011

      3 통계청, "사회조사보고서" 통계청 2009

      4 김미혜, "노인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헌신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활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221-243, 2003

      5 Wilson, J., "Work and volunteering : the long arm of the job" 76 (76): 251-272, 1997

      6 Tang, F., "What resource are needed for volunteerism?" 25 (25): 375-390, 2006

      7 Adloff, F., "What encourages charitable giving and philanthropy?" 29 (29): 1185-1205, 2009

      8 Oesterle, S., "Volunteerism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 a life course perspective" 82 (82): 1123-1149, 2004

      9 Morrow-Howell, N., "Volunteering in later life: researchfrontiers" 65B (65B): 461-464, 2010

      10 Musick, M., "Volunteering and depression: the rol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in different age groups" 56 : 259-269, 2003

      1 김태홍, "한국 자원봉사 활동의결정요인과 경제적 가치평가" 한국인구학회 3 : 83-105, 2007

      2 이현기, "일반노인 시간자원봉사의 특징 : 평균시간과 개인자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4 (54): 387-411, 2011

      3 통계청, "사회조사보고서" 통계청 2009

      4 김미혜, "노인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헌신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활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221-243, 2003

      5 Wilson, J., "Work and volunteering : the long arm of the job" 76 (76): 251-272, 1997

      6 Tang, F., "What resource are needed for volunteerism?" 25 (25): 375-390, 2006

      7 Adloff, F., "What encourages charitable giving and philanthropy?" 29 (29): 1185-1205, 2009

      8 Oesterle, S., "Volunteerism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 a life course perspective" 82 (82): 1123-1149, 2004

      9 Morrow-Howell, N., "Volunteering in later life: researchfrontiers" 65B (65B): 461-464, 2010

      10 Musick, M., "Volunteering and depression: the rol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in different age groups" 56 : 259-269, 2003

      11 Kim, J., "Volunteering among older people in Korea" 62B (62B): S69-S73, 2007

      12 Wilson, J, "Volunteering" 26 : 215-240, 2000

      13 McNamara, T. K., "Volunteer transitions among older adults: the role of human, social, cultural capital in later life" 66 (66): 490-501, 2011

      14 Kim, S. Y., "Volunteer participation andtime commitment by olderAmericans" 27 (27): 146-166, 1998

      15 Greenfield, E. A., "Using ecological frameworks to advance a field of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on aging-in-place initiatives" 52 (52): 1-12, 2012

      16 Namkee G. Choi, "Time and money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and current volunteering and correlates of change and stability" CAMBRIDGE UNIV PRESS 30 : 559-581, 201005

      17 Lawton, M. P., "The Psychology of Adult Development and ag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57-667, 1973

      18 Atchley, R. C., "The Continuity theory of normal aging" 29 : 183-190, 1989

      19 Carstensen, L. L., "Taking time seriously : a theory ofsocioemotional seletivity" 54 : 165-181, 1999

      20 Brown, E.,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y: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individual giving and volunteering" 36 (36): 85-99, 2007

      21 Piliavin, J. A., "Role as resource for action in public service" 58 : 469-485, 2002

      22 Li, Y., "Recovering from spousal bereavement in later life: does volunteer participation play a role?" 62B (62B): S257-S266, 2007

      23 Chambre, S. M., "Is volunteering a substitute for role loss in old age? an empirical test of activity theory" 24 (24): 292-298, 1984

      24 Son, J., "Generativity andvolunteering" 26 (26): 644-667, 2011

      25 Choi, L. H., "Factor affecting volunteerism among older adults" 22 (22): 179-196, 2003

      26 Smith, D. H., "Determinants of voluntary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volunteering : a literature review" 23 (23): 243-263, 1994

      27 Donnelly, E. A., "Change in social participation and volunteer activity among recently widowed older adults" 50 (50): 158-169, 2009

      28 Cvitkovich,Y., "Bringinthe life course : amodification to Lawton's ecologicalmodel of aging" 4 (4): 15-29, 2002

      29 Lewin, K., "A dynamic theory of personality" McGraw-Hill 1935

      30 보건복지부, "2012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