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 Middle aged People's Attitudes toward Elderly and Preparations for their Old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7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according to the attitudes of middle aged people toward the elderl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41 middle aged people from Daegu and Kyungpook.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Second, the group, who had experience in the living together and contacting with the elderly,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hird,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 better perception for preparing their old age.
      Finally,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 better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according to the attitudes of middle aged people toward the elderl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41 middle aged peop...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according to the attitudes of middle aged people toward the elderl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41 middle aged people from Daegu and Kyungpook.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Second, the group, who had experience in the living together and contacting with the elderly,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hird,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 better perception for preparing their old age.
      Finally,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 better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이러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의식과 준비행동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대구경북지역의 중년 4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소득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관련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노인과의 동거경험과 접촉경험이 노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셋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의식을 보면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사람일수록 노후준비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행동을 보면 노인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긍정적일수록 신체적 준비행동, 정서적 준비행동 및 여가준비행동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이러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의식과 준비행동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대구경북지역의 중년 4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이러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의식과 준비행동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대구경북지역의 중년 4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소득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관련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노인과의 동거경험과 접촉경험이 노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셋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의식을 보면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사람일수록 노후준비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 따른 노후준비행동을 보면 노인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긍정적일수록 신체적 준비행동, 정서적 준비행동 및 여가준비행동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원, "한일 사회복지사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연구" 46 : 377-403, 2001

      2 황승일, "초기노인의 노후관련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2000

      3 장민자, "청장년층의 노후생활 대책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3

      4 김혜경,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조부모와의 세대차이에 관한 연구. 미국 이민가족내의 한국청소년과 미국청소년간의 비교연구" 15 (15): 65-79, 1997

      5 윤성혜, "청년, 중년, 노년층의 노인에 대한 인식비교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0

      6 김윤정, "청년 중년 노년세대별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65-75, 2004

      7 임재용, "중장년층의 직업별 노후준비에 대한 비교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8 조추용,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43) : 135-156, 2009

      9 하춘광, "중년층의 노후준비도 및 실버타운 선호도가 실버타운 입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24): 201-224, 2006

      10 임경자,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중년기 위기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1 이혜원, "한일 사회복지사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연구" 46 : 377-403, 2001

      2 황승일, "초기노인의 노후관련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2000

      3 장민자, "청장년층의 노후생활 대책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3

      4 김혜경,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조부모와의 세대차이에 관한 연구. 미국 이민가족내의 한국청소년과 미국청소년간의 비교연구" 15 (15): 65-79, 1997

      5 윤성혜, "청년, 중년, 노년층의 노인에 대한 인식비교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0

      6 김윤정, "청년 중년 노년세대별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65-75, 2004

      7 임재용, "중장년층의 직업별 노후준비에 대한 비교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8 조추용,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43) : 135-156, 2009

      9 하춘광, "중년층의 노후준비도 및 실버타운 선호도가 실버타운 입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24): 201-224, 2006

      10 임경자,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중년기 위기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11 조미영, "중년층의 노후생활 대책에 관한 연구-전주시를 중심으로"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2006

      12 전진우, "중년층의 노후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13 김미경, "중년층의 노년생활준비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14 이정화, "중년층의 노년기 교육에 대한 욕구분석" 17 : 85-104, 2007

      15 성말순, "중년여성의 노후생활 준비와 대책에 관한 연구-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16 김인숙, "중년여성의 노후생활 준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17 배계희, "중년기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9

      18 김연화, "중년기 직장남성의 주관적 안녕감과 적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9

      19 이지은, "중년기 직장남성의 노후 생활계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0

      20 장하경, "중년기 여성의 성역할에 관한 연구" 11 (11): 156-168, 1993

      21 최연실,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이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23, 2007

      22 김혜선, "중년 후기 남녀 유배우자의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성생활을 중심으로 -" 한국노년학회 28 (28): 49-67, 2008

      23 이행숙, "주부의 노후생활 준비의식, 행동 및 경제대책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1996

      24 김은경, "조부모 관련 변인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3 (23): 63-77, 2003

      25 김기태, "장년층 노후준비 태도에 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4

      26 유안진, "인간발달신강" 문음사 1987

      27 배문조,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 42 (42): 89-102, 2004

      28 권오정, "예비노인층의 실버타운에 대한 선호경향 - 서울과 수도권의 50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1 (21): 21-30, 2005

      29 윤진, "연령증가에 따른 지능의 변화" 12 (12): 109-122, 1992

      30 조은숙, "성공적 노후를 위한 노후설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1 박지선, "사회복지사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32 김정표, "사회복지 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노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33 김연수, "부모-조부모 관계와 손자녀 조부모 친밀도가 청소년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사실인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34 이선자, "발달학 측면에서 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심리학적 분석" 2 (2): 93-105, 1989

      35 임장순, "도시인의 노후생활 대책에 관한 의식조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0

      36 김성숙, "도시가계의 경제적 노후준비행동과 관련요인연구" 3 (3): 45-57, 1992

      37 박경란, "대학생이 갖고 있는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분석" 21 (21): 71-84, 2001

      38 서병숙,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 연구" 19 (19): 97-111, 1999

      39 한정란,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20 (20): 115-127, 2000

      40 이인수, "농촌지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인식도 연구" 20 (20): 123-135, 2000

      41 박혜욱,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조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42 오진주, "노인의 성적욕구에 대한 시설종사자의 태도" 18 (18): 97-109, 1998

      43 최혜경,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족부양의 방향" (겨울) : 2000

      44 이시형,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태도 및 부양의식" 삼성생명 사회정신건강연구소 1999

      45 이혜원, "노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조사" 39 : 266-289, 1999

      46 임정빈, "노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태도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47 이윤미, "노인복지 전문가의 노인에 대한 태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8 이재모, "노인복지 교육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9 (29): 259-283, 2005

      49 최춘혁, "노인과 노인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50 이영숙, "노년학 교육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21 (21): 29-41, 2002

      51 이나진, "남녀고등학생의 노화관련지식 및 노인에 대한 태도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2006

      52 임춘식, "고령화 사회의 도전" 나나출판사 2001

      53 강영숙, "고령화 사회 중장년층 여성의 노후준비의식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54 김수영,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한국노년학회 22 (22): 21-36, 2002

      55 임영신,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국노년학회 22 (22): 31-46, 2002

      56 이혜원, "가정봉사원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 43 : 358-384, 2000

      57 Havighurst, R.,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David Mckay Co. 1972

      58 Knapp, J. L., "changing students' perceptions of aging" 26 (26): 611-621, 2000

      59 Ilmarinen, J. E., "Aging workers" 58 : 546-552, 2001

      60 통계청, "2007 고령자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