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고려청자 연구에 있어서 『宣和奉使高麗圖經』의 활용양상과 가치 = The Evidential Value of the Illustrated Records of the Chinese Embassy to the Goryeo Court during the Xuanhe Era (Xuanhe fengshi Gaoli tujing) for the Study of Goryeo Celad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dearth of textual evidence for the study of Goryeo celadon, the Illustrated Records of the Chinese Embassy to the Goryeo Court during the Xuanhe Era (Xuanhe fengshi Gaoli tujing, hereafter Illustrated Records) has received tremendous attention ...

      In the dearth of textual evidence for the study of Goryeo celadon, the Illustrated Records of the Chinese Embassy to the Goryeo Court during the Xuanhe Era (Xuanhe fengshi Gaoli tujing, hereafter Illustrated Records) has received tremendous attention in the field. Not only scholars of Korean ceramics during the colonial period but late Joseon literati also came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Goryeo celadon through what was written in the Illustrated Records.
      Although it was initially designed to contain both texts and illustrations, its extant version no longer has the illustration potion. In this light, it is safe to assume that its textual information concerning the characters of Goryeo celadon is inevitably partial. Such an incomplete state of the Illustrated Records can generate much speculation and debate. It is imperative that the Illustrated Records be complemented by archaeological material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or to be excavated. The Illustrate Records without illustrations, therefore, can continue to serve as the indispensable source for the study of Goryeo celadon. Meanwhile, it should be used in conjun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도경』은 문헌자료가 부족한 고려청자 연구 환경에서 매우 특별하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도자기를 연구한 학자들은 물론 조선후기 일부 사대부들 역시 『...

      『고려도경』은 문헌자료가 부족한 고려청자 연구 환경에서 매우 특별하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도자기를 연구한 학자들은 물론 조선후기 일부 사대부들 역시 『고려도경』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고려청자를 인식했다.
      현재 『고려도경』은 그림 없이 글만 전하지만, 애초에 그림과 글이 함께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렇다면 남아있는 『고려도경』의 글은 서긍이 전달하려던 고려청자의 특징을 완벽하게 담아내지못했을 것이다. 대신 글뿐인 『고려도경』의 불완전성은 고려청자 연구에 여러 추론과 논의를 만들어낼 수있다. ‘연구할 거리’를 제공해준 『고려도경』의 제한적 정보는 현재 남아있는, 혹은 앞으로 출토될 유물과만나 고려청자의 새로운 연구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견지에서 그림 없는 그림책 『고려도경』 은 앞으로도 고려청자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동시에 늘 실제 고려시대 청자에 대한 입체적인 분석과 함께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2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 마도2호선 수중발굴조사보고서" 2011

      3 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 정하동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00

      4 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 안막동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00

      5 윤용이,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학고재 1996

      6 정양모, "삼척군 북평읍 삼화리 출토 고려시대 유물 일괄" (129·130) : 1976

      7 박정민, "매병에 담긴 역사이야기" 고려청자박물관 2017

      8 이종민, "매병 그리고 준: 향기를 담은 그릇"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3

      9 장남원, "동해시 삼화동 고려 고분 출토 도자의 검토" 2017

      10 김윤정, "근대 미국에서 한국 도자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배경"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2 : 291-320, 2016

      1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2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 마도2호선 수중발굴조사보고서" 2011

      3 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 정하동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00

      4 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 안막동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00

      5 윤용이,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학고재 1996

      6 정양모, "삼척군 북평읍 삼화리 출토 고려시대 유물 일괄" (129·130) : 1976

      7 박정민, "매병에 담긴 역사이야기" 고려청자박물관 2017

      8 이종민, "매병 그리고 준: 향기를 담은 그릇"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3

      9 장남원, "동해시 삼화동 고려 고분 출토 도자의 검토" 2017

      10 김윤정, "근대 미국에서 한국 도자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배경"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2 : 291-320, 2016

      11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고려도경"

      12 방병선, "고려청자의 중국 전래와 도자사적 영향"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0) : 13-38, 2013

      13 이희관, "고려청자와 定器制度" 26 : 2017

      14 임진아, "고려청자에 보이는 북송·요대 자기의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5 장남원, "고려시대 茶文化와 靑瓷청자 茶具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연구소 (24) : 129-162, 2007

      16 최몽룡, "고려도경에 보이는 器皿" (6) : 1985

      17 신숙, "고려도경, 숨은 그림 찾기" 2019

      18 박지영, "고려도경, 숨은 그림 찾기" 2019

      19 蔡玫芬, "고려도경, 숨은 그림 찾기" 2019

      20 김윤정, "고려도경, 숨은 그림 찾기" 2019

      21 김세진, "고려도경, 숨은 그림 찾기" 2019

      22 정은진, "고려도경, 숨은 그림 찾기" 2019

      23 이용진, "고려도경, 숨은 그림 찾기" 2019

      24 徐兢, "고려도경" 서해문집 2005

      25 徐兢, "고려도경" 황소자리출판사 2005

      26 장주원, "고려 자기의 비색(翡色)및 상감(象嵌)수법에 대하여" (2) : 1958

      27 고유섭, "高麗靑瓷" 삼성문화재단 1977

      28 野守健, "高麗陶器の硏究" 淸閑舍 1944

      29 임진아, "高麗遺蹟 出土 宋代磁器 硏究" 수선사학회 (22) : 179-213, 2004

      30 최건, "高麗翡色의 성격과 전개" 국립중앙박물관 (83) : 201-220, 2013

      31 한혜선, "高麗時代 陶器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2 송재용, "高麗圖經에 나타난 高麗의 民俗 硏究" 동아시아고대학회 (32) : 3-34, 2013

      33 강경숙, "高麗 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4

      34 윤용이, "韓國陶瓷史硏究" 문예출판사 1993

      35 權相仁, "軍持に關する硏究" 京都工藝纖維大學 2005

      36 이희관, "皇帝와 瓷器 : 宋代官窯硏究" 景仁文化社 2016

      37 "海東繹史"

      38 內山省三, "朝鮮陶磁鑑賞" 學藝書院 1936

      39 小田省吾, "朝鮮陶磁史文献考" 學藝書院 1936

      40 高裕燮, "朝鮮の靑瓷" 東雲文庫 1939

      41 久志卓真, "朝鮮の陶磁" 雄山閣 1974

      42 배규범, "徐兢(1091~1153)의 『高麗圖經』 刊行과 내용상 특징" (6) : 2016

      43 祁慶富, "宣和奉使高麗圖經의 판본과 그 源流" (16) : 1995

      44 "宣和奉使高麗圖經"

      45 高美京, "定窑研究" 北京大学 考古文博学院 2015

      46 "學海類編"

      47 謝明良, "北宋官窯硏究現狀的省思" 國立故宮博物院 27 (27): 2010

      48 伊藤郁太郞, "北宋官窯探訪" 日本陶磁協會 620 : 2004

      49 이희관, "北宋 汝窯와 그 性格 問題 - 宋代 文獻記錄에 대한 再檢討를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64) : 237-279, 2012

      50 한성욱, "三陟地域 靑瓷文化의 現況과 性格" (13) : 2017

      51 김수연, "『고려도경』연구의 동향과 활용 가능성"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16 (16): 269-280, 2009

      52 김병인, "『고려도경』에 비친 고려인들" 한국중세사학회 (55) : 77-114, 2018

      53 최응천, "『고려도경』에 보이는 고려시대 공예의 양상과 특징" 한국중세사학회 (55) : 141-174, 2018

      54 고연미, "『高麗圖經』의 金花烏盞 硏究" 한국차학회 14 (14): 7-32, 2008

      55 장남원, "『高麗圖經』의 ‘定器制度’와 청자" 한국중세사학회 (55) : 175-201, 2018

      56 정양모, "『國寶』3 靑磁·土器" 문예출판사 1983

      57 장남원, "『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의 기명류(器皿類) 연구" 호서사학회 (70) : 165-203, 2014

      58 김태은, "The Uses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Goryeo Maebyeong" Art History Association of Korea 268 (268): 139-167, 2010

      59 Yunjeong Kim,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Song・Jin Dynasty Ding Ware(定窯) on 12th Century Goryeo Celadon"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null (null): 39-70, 2017

      60 Inhee Park, "The Meaning of a Writing on the Wall Minongjeon" Seokdong Academy null (null): 1-30, 2016

      61 Namwon Jang, "The Meaning of Circulation in Transcribed “Gaolitujing(高麗圖經)”"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17 (17): 189-218, 2009

      62 G. St. G. M. Gompertz, "The Kingfisher Celadon of Koryo" 16 (16): 1953

      63 이희관, "Ru kiln and the so-called Ruguan kiln: A historical review of the study on the character of Ru kiln"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null (null): 5-30, 2018

      64 Percival David, "A Commentary on Ju Ware" Transactions of the Oriental Ceramics Society 193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4 1.59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