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수입축산물 공급사슬 자금조달모델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828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 요약

      빅데이타 분석을 통한 수입축산물 공급사슬
      자금조달모델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 정 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IT미디어융합전공
      지도교수 박 재 천


      우리나라 축산물 자급률은 2016년 기준하여 쇠고기 37.7%, 돼지고기 73.5%, 닭고기 77.7% 이다. 부족한 부분을 수입축산물이 충당하고 있는데,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쇠고기의 수입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축산물 수입에는 비교적 큰 자금이 필요하며,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고 운영할 것인가가 본 연구의 관심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입축산물 시장의 자금조달 모형을 다양한 방법과 시장의 해석, 그리고 빅데이터적 관점에서 사업경영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설명하였다. 우리나라는 2001년 쇠고기 수입이 자유화되면서 수입축산물 시장이 발전되어 왔다. 그 후 약 16년 동안 수많은 사건과 갈등조정을 거치며 하나의 경제적 시장단위로 성장한 것이다. 축산물 자체가 매일 우리 식탁에 올라 소비되는 매우 중요한 식자재이므로 국내산 축산물과 함께 수입축산물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축산물에 대한 일반적인 수요모형 연구가 많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을 통해 축산물시장수요는 역수요모형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농수축산물 가격은 일정한 생산원가가 투입되어도 소비시장의 수요가 강하지 않으면 폭락하기도 하고, 반대로 수요가 강하면 가격이 폭등하기도 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수요특성을 역수요라고 하며 일정기간 내에 공급된 공급량은 반드시 소비되어야 하므로 가격조정이 일어난다. 수입축산물 도매시장은 주식시장과 유사한 점이 많다. 어떤 품목을 구매해야 수익이 날 것인가 예측하고 매입에 나서는 것은 우리가 주식시장에서 수익이 날 종목을 선택하기 위해 모든 정보를 동원하고 판단을 하는 행위와 동일하다. 단지 주식과 축산물을 제약조건이 다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식시장의 주식투자 알고리즘을 수입축산물 투자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수입축산물 투자의 제약조건들에 대해 검토하고, 도매시장투자의 투자모형과 수입오퍼시장의 투자모형을 만들어 실제 적용하였다. 수입축산물 시장참여자들은 온건 투자자도 있지만 많은 투자자가 투기적 특성을 보인다. 이 사업의 가장 핵심은 구매이다. 구매는 도매시장에서의 구매와 오퍼시장에서의 선물구매이다. 시장참여자는 구매력, 구매권을 유지하기 위해 구매행위를 계속하게 되고 두 시장에서 구매행위를 계속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자금을 조달해야하는 상황에 들어가게 된다. 이는 오퍼시장에서 계속 오퍼정보를 받을 수 있는 권리와 기회의 획득인 동시에 큰 손실을 볼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 부분에서 수입자는 구매에 대한 딜레마에 빠지게 되고 자금은 계속 필요하게 된다.
      번역하기

      국문 요약 빅데이타 분석을 통한 수입축산물 공급사슬 자금조달모델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 정 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IT미디어융합전공 지도교수 박 재 천 우리나라 축산물 자급...


      국문 요약

      빅데이타 분석을 통한 수입축산물 공급사슬
      자금조달모델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 정 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IT미디어융합전공
      지도교수 박 재 천


      우리나라 축산물 자급률은 2016년 기준하여 쇠고기 37.7%, 돼지고기 73.5%, 닭고기 77.7% 이다. 부족한 부분을 수입축산물이 충당하고 있는데,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쇠고기의 수입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축산물 수입에는 비교적 큰 자금이 필요하며,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고 운영할 것인가가 본 연구의 관심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입축산물 시장의 자금조달 모형을 다양한 방법과 시장의 해석, 그리고 빅데이터적 관점에서 사업경영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설명하였다. 우리나라는 2001년 쇠고기 수입이 자유화되면서 수입축산물 시장이 발전되어 왔다. 그 후 약 16년 동안 수많은 사건과 갈등조정을 거치며 하나의 경제적 시장단위로 성장한 것이다. 축산물 자체가 매일 우리 식탁에 올라 소비되는 매우 중요한 식자재이므로 국내산 축산물과 함께 수입축산물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축산물에 대한 일반적인 수요모형 연구가 많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을 통해 축산물시장수요는 역수요모형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농수축산물 가격은 일정한 생산원가가 투입되어도 소비시장의 수요가 강하지 않으면 폭락하기도 하고, 반대로 수요가 강하면 가격이 폭등하기도 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수요특성을 역수요라고 하며 일정기간 내에 공급된 공급량은 반드시 소비되어야 하므로 가격조정이 일어난다. 수입축산물 도매시장은 주식시장과 유사한 점이 많다. 어떤 품목을 구매해야 수익이 날 것인가 예측하고 매입에 나서는 것은 우리가 주식시장에서 수익이 날 종목을 선택하기 위해 모든 정보를 동원하고 판단을 하는 행위와 동일하다. 단지 주식과 축산물을 제약조건이 다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식시장의 주식투자 알고리즘을 수입축산물 투자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수입축산물 투자의 제약조건들에 대해 검토하고, 도매시장투자의 투자모형과 수입오퍼시장의 투자모형을 만들어 실제 적용하였다. 수입축산물 시장참여자들은 온건 투자자도 있지만 많은 투자자가 투기적 특성을 보인다. 이 사업의 가장 핵심은 구매이다. 구매는 도매시장에서의 구매와 오퍼시장에서의 선물구매이다. 시장참여자는 구매력, 구매권을 유지하기 위해 구매행위를 계속하게 되고 두 시장에서 구매행위를 계속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자금을 조달해야하는 상황에 들어가게 된다. 이는 오퍼시장에서 계속 오퍼정보를 받을 수 있는 권리와 기회의 획득인 동시에 큰 손실을 볼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 부분에서 수입자는 구매에 대한 딜레마에 빠지게 되고 자금은 계속 필요하게 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목 차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4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1. 연구의 범위 5
      • 2. 연구의 방법 6
      • 제 2 장 선행연구 분석 / 8
      • 제 1 절 축산물 공급사슬 8
      • 1. 국내산 축산물 8
      • 2. 수입 축산물 12
      • 제 2 절 수요모형 21
      • 1. 수요모형 21
      • 2. 역수요모형 22
      • 3. 소비자 수요반응 23
      • 4. 선행 연구조사 결과 시사점 23
      • 제 3 절 축산물 빅데이터 24
      • 1. 축산물 빅데이터 24
      • 2. 데이터 마이닝 29
      • 3. 선행 연구조사 결과 시사점 37
      • 제 4 절 공급사슬 자금조달 38
      • 1. 공급사슬 자금조달 선행연구 38
      • 2. 선행 연구조사 결과 시사점 46
      • 제 3 장 수입축산물사업 분석 /48
      • 제 1 절 개 요 48
      • 제 2 절 수입축산물 구매전략 50
      • 제 3 절 수입축산물 사업자 52
      • 제 4 절 수입축산물 사업의 자금조달 54
      • 제 4 장 공급사슬 자금조달 모델/ 55
      • 제 1 절 개요 55
      • 제 2 절 공급사슬의 자금조달 56
      • 1. 공급사슬 자금조달 56
      • 2. 공급사슬 자금조달(SCF) 모형 60
      • 제 3 절 수입축산물 공급사슬의 자금조달 방법 71
      • 1. 수입대행 (L/C 개설 대행) 72
      • 2. 재고 담보대출 (Inventory Financing) 73
      • 제 4 절 수입축산물 재고 담보대출과 가상옵션 73
      • 제 5 절 수입대행 위험 모형 75
      • 1. 수입자의 레버리지 효과 모형 76
      • 2. 수입대행자 위험 모형 77
      • 제 6 절 수입축산물 공급사슬 자금조달 흐름 80
      • 1. 자금조달 흐름도 80
      • 2. 자금조달 옵션과 위험에 대한 태도 81
      • 3. L/C 개설량과 월별 수입량 모형 82
      • 제 7 절 실질적 활용방안 83
      • 1. 축산물 온라인 B2B 시스템 83
      • 2. 국내 담보대출 앱(App)어플리케이션 85
      • 3. 수입축산물 공급사슬 자금조달 85
      • 제 5 장 수입축산물 빅데이터 / 87
      • 제 1 절 개요 87
      • 제 2 절 수입축산물 빅데이터 87
      • 1. 경제적 요인 데이터 88
      • 2. 공급사슬 데이터 95
      • 3. 돌발변수 데이터 101
      • 제 3 절 빅데이터 분석방법 103
      • 1. 분석방법 개요 103
      • 2. 데이터마이닝 104
      • 3. 수입축산물 도매시장과 주식시장 109
      • 4. 데이터 스크래핑 114
      • 제 6 장 결 론 / 115
      • 제 1 절 연구 결과 115
      • 제 2 절 연구의 기여 117
      • 제 3 절 연구의 실질적 활용 117
      • 제 4 절 향후 연구과제 118
      • 참고문헌 / 119
      • 1. 국내 참고문헌 119
      • 2. 국외 참고문헌 121
      • 부록 / 129
      • 가. 전국 축산물시장 129
      • 나. 주요국 축산물 생산현황 130
      • 다. 미국 돈육 수출통계 (2012-2016) 133
      • 라. 미국 쇠고기 수출통계 (2012-2016) 134
      • 마. 호주 쇠고기 축산통계(2006-2021) 135
      • 마. 뉴질랜드 쇠고기 축산통계(2003-2017) 136
      • 바. 전 세계 돈육생산량 138
      • 사. 전 세계 돈육 소비량 139
      • 아. 우리나라 쇠고기 수입량 통계 140
      • 표 목 차
      • <표 1-1> 육류수급현황 3
      • <표 1-2> 연구 질문 (Research Questions) 6
      • <표 2-1> 국내 쇠고기 수급동향 16
      • <표 2-2> 주요국 쇠고기 수급동향과 전망 17
      • <표 2-3> 닭고기 수급동향 19
      • <표 2-4> 개별 주식종목을 위한 데이터의 종류 32
      • <표 2-5> 공급사슬 자금조달 요소 42
      • <표 2-6> 공급사슬 자금조달에 대한 선행 연구 46
      • <표 4-1> 자금조달 기본모형 기호색인 62
      • <표 4-2> 정보비용이 없는 경우 SCF모형 기호색인 64
      • <표 4-3> 정보비용이 없는 수입축산물 SCF모형 기호색인 67
      • <표 4-4> 정보비용이 있는 경우의 SCF모형 기호색인 69
      • <표 4-5> 정보비용이 있는 수입축산물SCF모형 71
      • <표 4-6> 가상옵션모형 기호색인 74
      • <표 4-7> 수입대행 혜택과 리스크 76
      • <표 5-1> 수입축산물 빅데이터 88
      • <표 5-2> USDA Databases 98
      • <표 5-3> 데이터마이닝 실생활 활용분야 105
      • <표 5-4> 데이터마이닝의 기본방법론 107
      • <표 5-5> 데이터마이닝의 고급방법론 108
      • 그 림 목 차
      • <그림 1-1> 국내 연간 1인당 육류소비량 변화 4
      • <그림 1-2> 연구흐름도 7
      • <그림 2-1> 쇠고기 유통흐름도 10
      • <그림 2-2> 돼지고기 유통흐름도 11
      • <그림 2-3> 닭고기 유통흐름도 11
      • <그림 2-4> 수입축산물 공급사슬 12
      • <그림 2-5> 수입축산물 유통경로 13
      • <그림 2-6> 연도별 쇠고기 수입량 14
      • <그림 2-7> 수입쇠고기시장 국가별 점유율 15
      • <그림 2-8> 돼지고기 수급동향 18
      • <그림 2-9> 닭고기 국가별 수입비중 20
      • <그림 2-10> 빅데이터의 3대 요소 26
      • <그림 2-11> Hadoop의 구성요소 27
      • <그림 2-12> 빅데이터 분석과정 28
      • <그림 2-13> Hadoop System 28
      • <그림 2-14> 주식투자의 의사결정지원 31
      • <그림 2-15> 주가 데이터 관리 33
      • <그림 2-16> 주가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33
      • <그림 2-17> 기술적 지표선택 34
      • <그림 2-18> 신경망학습/테스트를 위한 화면 34
      • <그림 2-19> 결정트리 학습/테스트를 위한 화면 36
      • <그림 2-20> 투자시뮬레이션을 위한 화면 36
      • <그림 2-21> 공급사슬 자금조달큐브 39
      • <그림 2-22> SCF의 SCM으로의 통합 40
      • <그림 2-23> 공급사슬 자금조달의 가치 창출 구조 40
      • <그림 2-24> 공급사슬의 재고담보대출에 대한 연구분야 41
      • <그림 2-25> LSP제공 재고담보대출에 의한 물품과 자금의 흐름 41
      • <그림 3-1> 수입육 유통경로 모식도 49
      • <그림 3-2> Bensaou 매트릭스 51
      • <그림 4-1> 공급사슬관리에서의 흐름 56
      • <그림 4-2> 공급사슬 자금조달 구조 57
      • <그림 4-3> 공급사슬 자금조달 큐브 59
      • <그림 4-4> 자금조달 기본모형 61
      • <그림 4-5> 정보비용이 없는 경우의 SCF모형 64
      • <그림 4-6> 정보비용이 없는 수입축산물 SCF모형 66
      • <그림 4-7> 정보비용이 있는 경우의 SCF모형 68
      • <그림 4-8> 정보비용이 있는 수입축산물 SCF모형 70
      • <그림 4-9> 수입축산물 공급사슬 자금조달 흐름도 81
      • <그림 4-10> SCF 가상옵션과 위험감수 82
      • <그림 4-11> 국내시장 박스육 전자상거래 개념도 83
      • <그림 4-12> 미트박스, 금천미트 모바일 앱 초기화면 84
      • <그림 4-13> 담보대출 앱 어플리케이션 개념도 85
      • <그림 4-14> 수입축산물 공급사슬 자금조달 86
      • <그림 5-1> 원/달러 환율변화 89
      • <그림 5-2> 한국은행 기준금리 90
      • <그림 5-3> GDP성장률추이 91
      • <그림 5-4> 실업률추이 92
      • <그림 5-5> 원유가격 추이 93
      • <그림 5-6> 국제원유가격 변동추이 93
      • <그림 5-7> 코스피 주가지수 94
      • <그림 5-8> 소비자 심리지수 95
      • <그림 5-9> 검역통계량 데이터베이스 96
      • <그림 5-10>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99
      • <그림 5-11> 한우 도축 마릿수 추이 99
      • <그림 5-12> 돼지 사육 마릿수 동향 100
      • <그림 5-13> 종계 및 육계 사육 마릿수 동향 10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도남철, 문두환, "빅데이터", (사)한국CDE학회, 한국CAD/CAM학회지, 18(2), 26-29, 2012

      2 박종원, 조재호, 조규성, "선물 옵션 스왑", 다산출판사, 2009

      3 박현길, "빅 데이터, Big Data", 한국마케팅연구원, 마케팅, 46(8), 53-61, 2012

      4 강만모, 박상무, 김상락, "“빅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한국정보과학회, 정보과학회지, 30(6), 25-32, 2012

      5 김동완, "빅데이터의 분야별 활용사례", 동아대학교 경영문제연구소, 경영논총, 34, 39-52, 2013

      6 김석현, "축산물 시장개방의 파급영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 17권4호, 23-42, 1994

      7 이철현, "쇠고기 시장의 가격결정 구조", 농촌경제, 20권2호, 51-62, 1997

      8 김재생, "빅데이터 분석기술과 활용사례",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1호, 14-20, 2013

      9 안창원, 황승구, "“빅데이터 기술과 주요 이슈”", 한국정보과학회, 정보과학회지, 30(6), 10-17, 2012

      10 성명환, "“한국의 쇠고기 수입수요 분석”", 농촌경제, 20권3호, 95-106, 1997

      1 도남철, 문두환, "빅데이터", (사)한국CDE학회, 한국CAD/CAM학회지, 18(2), 26-29, 2012

      2 박종원, 조재호, 조규성, "선물 옵션 스왑", 다산출판사, 2009

      3 박현길, "빅 데이터, Big Data", 한국마케팅연구원, 마케팅, 46(8), 53-61, 2012

      4 강만모, 박상무, 김상락, "“빅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한국정보과학회, 정보과학회지, 30(6), 25-32, 2012

      5 김동완, "빅데이터의 분야별 활용사례", 동아대학교 경영문제연구소, 경영논총, 34, 39-52, 2013

      6 김석현, "축산물 시장개방의 파급영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 17권4호, 23-42, 1994

      7 이철현, "쇠고기 시장의 가격결정 구조", 농촌경제, 20권2호, 51-62, 1997

      8 김재생, "빅데이터 분석기술과 활용사례",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1호, 14-20, 2013

      9 안창원, 황승구, "“빅데이터 기술과 주요 이슈”", 한국정보과학회, 정보과학회지, 30(6), 10-17, 2012

      10 성명환, "“한국의 쇠고기 수입수요 분석”", 농촌경제, 20권3호, 95-106, 1997

      11 김현희, 최지영, 이정원, 이상호, 용환승, 박승수, 김호숙, "데이타마이닝 알고리즘의 분류 및 분석", 한국정보과학회,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28(3), 279-300, 2001

      12 정민국, 허덕, "유통단계별 쇠고기 가격의 인과성 분석", 농촌경제, 23권1호, 55-66, 2000

      13 이용기, "수입자유화 영향분석의 일반균형론적 접근", 한국농업경제학회, 농업경제연구, 37(1), 185-202, 1996

      14 김현중, 채상현, 전상곤, "국산 쇠고기의 유통단계별 시장지배력 측정",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생명과학연구, 44(6), 201-211, 2010

      15 박진서(Jinseo PARK), 심가람(Garam SIM), 김제철(Jechul KIM), "항공분야 빅데이터의 정책적 활용방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2014

      16 박환채, "“역수요모형과 한국육류시장의 수요분석”", 한국경제학회, 경제학연구, 제56집, 제2호, 5-37, 2008

      17 이정민, 허덕, "미국산 쇠고기 수입확대의 파급영향과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9권, 2003

      18 이정미, "빅데이터의 이해와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활용", 한국비블리아학회,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53-73, 2013

      19 송주호, "『미국 BSE발생 이후 국내 쇠고기 소비 변화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4

      20 김윤식, "부분균형모델에서 대체효과를 고려한 FTA효과분석", 한국농업경제학회, 농업경제연구, 47권3호, 31-51, 2006

      21 Sung Jun Kim, "Young Hae Lee Recent and Further Researches for Supply Chain Finance", 대한산업공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469-2478, 2012

      22 이지호, "빅데이터의 데이터마이닝과 저작권법상 일시적 복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지식재산 연구, 8(4), 93-125, 2013

      23 서영, 이한빈, 유지상, "쇠고기 수입개방이 등급별 한우 시장에 미친 영향분석", 농촌경제, 2009

      24 허덕, "쇠고기 수입자유화와 한우산업 발전방안 ,연구보고 R413", 한국 농촌경제연구원, 2000

      25 김성동, "주식투자자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도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472-482, 2012

      26 이준용, 이상엽, 최미화, "데이터 마이닝 적용을 통한 아파트 가격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 획, 42(4), 135-148, 2007

      27 Xu Liang, "Cao Ya-ke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based on balanced scorecard", 인하대학교 정석물류통상연구원 학술대회, 580-583, 2009

      28 송우진, 이형우, 신승열, "최근 가축질병이 육류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연구속보, 6권, 2004

      29 강태훈, "쇠고기 수입확대와 시장개방이 국내산 쇠고기의 가격변동성에 미친 영향", 한국농업경제학회, 농업경제연구, 48권3호, 25-44, 2007

      30 Yeonggil Kim, "Ning ye, Soowook Kim Introduction of a new Supply Chain Finance model, based on China’s Wholesale business", 한국SCM학회지, 15(2), 53-62, 2015

      31 Jeong Soo Park, "Jung Ung Min A Bi-level Model of Market and Individuals for Analyzing Purchasing Behaviors in Import-Beef Supply Chain", 한국 SCM학회지, 15(1), 71-81, 2015

      32 권은주, 송태민, 김정선,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빅데이터’수요공급 예측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 적용)", 2014년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708-714, 2014

      33 김성우, "쇠고기 광우병(BSE) 발생에 따른 국내 쇠고기시장의 변화와 대응방안, Journal of American-Canadian Studies", 북미주학연구 XIV, 39-57, 2005

      34 Dongmei Wang, "Na Liu Negative working capital management : an up-to-the limit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supply chain management in corporate finance", 인하대학교 정석물류통상연구원 학술대회, 549-556,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