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蒼海郡 위치비정의 쟁점과 전제 = The Issues and Premises over Estimating the Location of Canghai Commandery(蒼海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10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anghai Commandery(蒼海郡) is Han(漢) dynasty’s commandery established in the areas of Chosŏn(朝鮮), which held a strategic position between Han and Xiongnu(匈奴) at the height of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factions. Although it was estab...

      Canghai Commandery(蒼海郡) is Han(漢) dynasty’s commandery established in the areas of Chosŏn(朝鮮), which held a strategic position between Han and Xiongnu(匈奴) at the height of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factions. Although it was established two decades earlier than the so-called “Four Commanderies of Han(漢四郡)” installed after the fall of Wiman Chosŏn(衛滿朝鮮)”, Canghai Commandery was abolished within only two years. So far, the commandery has been referred as a side issue in the studies about Four Commanderies of Han, or simply understood as a predecessor to Zhenfan(眞蕃) or Xuantu(玄菟) Commandery. Generally, the studies that considered its location in regard to the name ‘Canghai(蒼海)’, or estimated the location at the ‘East Sea region’ focusing on the ethnic background of ‘Yegun Namnyŏ(穢君南閭; Namnyŏ, the Lord of Ye) dominated the research trend in academia.
      Those studies that focused on the ethnic background of Yegun Namnyŏ have usually linked him with Puyŏ(夫餘), Koguryŏ(高句麗), Okchŏ(沃沮), Ye(濊, or Tongye). However, since these conlusions were based on Sanguozhi(三國志) or Hou Hanshu(後漢書) illustrating the situation in the third century A.D., they have a blind spot that it is far from the historical situation during the period when Yegun Namnyŏ was alive. Additionally, the estimations based on place names often overlooked the fact that ‘Canghai’ is not an exclusive name to East Sea.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 original historical text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location of Canghai Commandery in the historical context during the period when the event occurred, in other words, when Wiman Chosŏn still existed.
      This paper questions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Han dynasty established the commandery in East Sea regions across Wiman Chosŏn’s territory before its fall. Also, it pointed out that Canghai is likely to refer Bohai(渤海) Sea under the perspective of its submission to Liaodong Commande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창해군은 한과 흉노의 각축이 한창일 무렵, 양자 사이에서 전략적 위치를 점했던 조선 지역에 설치된 한의 군현이다. 창해군은 위만조선 멸망 뒤에 설치된 한군현보다 20여 년 앞서 설치되었...

      창해군은 한과 흉노의 각축이 한창일 무렵, 양자 사이에서 전략적 위치를 점했던 조선 지역에 설치된 한의 군현이다. 창해군은 위만조선 멸망 뒤에 설치된 한군현보다 20여 년 앞서 설치되었지만, 2년이 채 안되어 폐지되었다. 창해군은 한군현을 다루는 연구들에서 부수적으로 언급되거나 진번군 혹은 현도군의 전신으로 이해되어 왔다. 대체로 ‘창해’라는 지명과 관련하여 위치를 고려하거나, ‘예군남려’의 종족기반에 중심을 두어 창해군을 ‘동해안 지역’에 비정하는 연구가 주류를 점해왔다.
      예군남려의 종족기반에 주목한 연구들은 대체로 예군남려를 부여나 고구려, 옥저, 예(동예)와 연결시켜왔다. 그러나 이는 기원후 3세기경 『삼국지』, 『후한서』에 근거하여 내린 결론이므로 예군남려가 생존했던 당시의 역사상과 거리가 멀다는 맹점이 있다. 또한 지명에 근거한 견해 역시 ‘창해’가 동해만 전유하는 명칭이 아닌 점을 간과한 측면이 있다. 원사료의 문맥을 고려하여 사건이 발발한 전한 무제기, 즉 위만조선 존속시기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창해군의 위치를 파악해야한다.
      이 글은 위만조선 멸망 전에 한이 그 영역을 관통하여 동해안 지역에 창해군을 설치했을 것이라는 기존 견해에 의문을 던진 것으로, 요동내속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창해는 발해를 가리킬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한규, "한중관계사" 아르케 1999

      2 송호정, "한국 고대사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3 조영광, "초기 고구려 종족 계통 고찰 - 예맥족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27) : 167-218, 2010

      4 최인철, "창해군의 위치문제에 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72 : 1999

      5 박대재, "중국고문헌에 나타난 고대 조선과 예맥" 경인문화사 2013

      6 김병준, "중국고대 簡牘자료를 통해 본 낙랑군의 군현지배" 역사학회 (189) : 139-173, 2006

      7 박인호, "조선시기 역사가와 역사지리인식" 이회 2003

      8 오영찬, "조선 후기 고대사 연구와 漢四郡" 호서사학회 (64) : 1-36, 2012

      9 김남중, "위만조선의 성립과 발전 과정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10 조원진, "위만조선의 대외관계에 대한 검토 -朝·漢 전쟁 이전을 중심으로-" 백산학회 (109) : 59-87, 2017

      1 김한규, "한중관계사" 아르케 1999

      2 송호정, "한국 고대사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3 조영광, "초기 고구려 종족 계통 고찰 - 예맥족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27) : 167-218, 2010

      4 최인철, "창해군의 위치문제에 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72 : 1999

      5 박대재, "중국고문헌에 나타난 고대 조선과 예맥" 경인문화사 2013

      6 김병준, "중국고대 簡牘자료를 통해 본 낙랑군의 군현지배" 역사학회 (189) : 139-173, 2006

      7 박인호, "조선시기 역사가와 역사지리인식" 이회 2003

      8 오영찬, "조선 후기 고대사 연구와 漢四郡" 호서사학회 (64) : 1-36, 2012

      9 김남중, "위만조선의 성립과 발전 과정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10 조원진, "위만조선의 대외관계에 대한 검토 -朝·漢 전쟁 이전을 중심으로-" 백산학회 (109) : 59-87, 2017

      11 배진영,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12 문안식, "옥저의 기원과 대외관계의 변화" 호남사학회 (32) : 1-36, 2008

      13 朴元吉, "오르도스의 역사" 2 : 1994

      14 황철산, "예맥족에 대하여" 3 : 1963

      15 윤용구, "예맥사료집성 및 역주" 백산자료원 2012

      16 마쓰이 다카시, "역사학의 세기-20세기 한국과 일본의 역사학" 휴머니스트 2009

      17 박경철, "부여사 전개에 관한 재인식시론" 40 : 1992

      18 도유호, "문화유산 4"

      19 김병준, "낙랑군 동부도위 지역 邊縣과 군현지배" 한국고대사학회 (78) : 139-183, 2015

      20 박선미, "고조선의 정체성(正體性) 탐색을 위한 초론(初論) -중국이라는 타자의 눈에 비친 고조선의 종족적 정체성" 동북아역사재단 (62) : 7-35, 2018

      21 박노석, "고조선대 창해군에 대한 재 고찰" 전북사학회 (50) : 5-28, 2017

      22 여호규, "고구려초기 정치사연구" 신서원 2014

      23 이종록, "高句麗와 玄菟郡의 관계와 幘溝漊 설치 배경 검토" 한국고대학회 (55) : 403-438, 2018

      24 尹乃鉉, "韓國의 社會와 歷史" 崔在錫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刊行委員會 1991

      25 李基白, "韓國史講座(1)-古代篇" 一潮閣 1982

      26 李基白, "韓國史新論" 一潮閣 1979

      27 "隋書"

      28 王天姿, "西漢“南閭穢君”, 蒼海郡與臨穢縣考" 2016 (2016): 2016

      29 趙紅梅, "蒼海郡考述" 2017 (2017): 2017

      30 劉子敏, "蒼海郡硏究" 16 (16): 1999

      31 金美炅, "第1玄菟郡의 位置에 대한 再檢討" 24 : 2002

      32 三上次男, "穢人とその民族的性格について(一)" 2 : 1951

      33 김병준, "秦漢帝國의 이민족 지배- 部都尉 및 屬國都尉에 대한 재검토 -" 역사학회 (217) : 107-154, 2013

      34 今西龍, "眞番郡考" 1 : 1916

      35 池內宏, "眞番郡の位置について" 57 (57): 1948

      36 朴璨旴, "百濟の「山東ㆍ呉越進出」說に關する批判的考察-崔致遠の「上太師侍中狀」を中心に-" 256 : 2020

      37 박찬흥, "白鳥庫吉와‘滿鮮史學’의 성립" 동북아역사재단 (26) : 65-93, 2009

      38 和田淸, "玄菟郡考" 1 : 1951

      39 李丙燾, "玄菟郡及臨屯郡考" 41 (41): 1930

      40 尹武炳, "濊貊考" 1 : 1966

      41 金貞培, "濊貊族에 關한 硏究" 5 : 1968

      42 三品彰英, "濊貊族小考" 4 : 1953

      43 이준성, "濊君 南閭의 동향과 滄海郡․玄菟郡 설치" 백산학회 (116) : 91-116, 2020

      44 楊軍, "濊人與蒼海郡考" 2018 (2018): 2018

      45 魏國忠, "漢蒼海郡治所的地理考察" 2017 (2017): 2017

      46 孫穎, "漢蒼海郡地望考" 2018 (2018): 2018

      47 "漢紀"

      48 "漢書"

      49 白鳥庫吉, "漢の朝鮮四郡疆域考" 2 : 1912

      50 박찬흥, "滿鮮歷史地理調査部와 고대 ‘滿鮮歷史地理’ 연구" 호서사학회 (75) : 131-177, 2015

      51 滿鮮歷史地理調査部, "滿洲歷史地理(上)"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52 權五重, "滄海郡과 遼東東部都尉" 168 : 2000

      53 "海東繹史"

      54 김병준, "樂浪郡 初期 編戶過程과 ‘胡漢稍別’-<樂浪郡初元四年縣別戶口多少□□>木簡을 단서로" 1 : 2008

      55 "東史綱目"

      56 "星湖僿說"

      57 "新增東國輿地勝覽"

      58 "我邦疆域考"

      59 "後漢書"

      60 井上直樹, "帝國日本と「滿鮮史」" 塙書房 2013

      61 王綿厚, "對『漢書』和『三國志』中“單單大嶺”和“蒼海郡”再考辨" 2019 (2019): 2019

      62 "四郡志"

      63 "唐書"

      64 "史記"

      65 박대재, "古朝鮮의 언어구역과 燕의 동북지역" 한국고대학회 (43) : 5-38, 2015

      66 "古今郡國志"

      67 權五重, "前漢時代의 遼東郡" 17 : 1995

      68 "三國志"

      69 "三國史記"

      70 이준성, "『만주역사지리』의 한사군 연구와 ‘만선사’의 성격" 인문학연구원 (54) : 25-54, 2014

      71 윤용구, "『史記』·『漢書』 注文의 ‘古朝鮮’ 관련 기사" 한국고대사학회 (85) : 153-191,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2-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단군학회 -> 고조선단군학회
      영문명 : Dangun Studies Association -> Gojoseon & Dangun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21-0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단군학연구 -> 고조선단군학
      외국어명 : Journal of Dangun Studies -> The Journal of Gojoseon & Dangun Stud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조선단군학 -> 단군학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Gojoseon & Dangun Studies -> Journal of Dangun Studies
      KCI등재
      2017-06-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조선단군학회 -> 단군학회
      영문명 : Gojoseon & Dangun Studies Association -> Dangun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4-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단군학회 -> 고조선단군학회
      영문명 : 미등록 -> Gojoseon & Dangun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11-04-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단군학연구 -> 고조선단군학
      외국어명 : Journal of Dangun Studies -> The Journal of Gojoseon & Dangu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3 0.741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