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우수등재

      개화기 秋聲賦圖의 유형과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748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많은 문사들의 애호를 받았던 「秋聲賦」는 歐陽修(1007-1072)가 어느 가을날 밤의 정경을 읊고 인생의 쓸쓸함에 대하여 기록한 賦 형식의 산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많은 문사들의 애호를 받았던 「秋聲賦」는 歐陽修(1007-1072)가 어느 가을날 밤의 정경을 읊고 인생의 쓸쓸함에 대하여 기록한 賦 형식의 산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秋聲賦」를 소재로 삼아 作畵한 秋聲賦圖가 개화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제작되며 독립적인 畵材로서 정형화되고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추성부도에 대해서는 학계의 연구가 각 작가 범주 내에서만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本稿에서는 국내의 구양수와 「추성부」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詩意畵의 한 주제로 점차 자리잡게 되는 개화기 추성부도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앞서 영향을 미친 중국, 조선 시대의 몇몇 초기 작품들을 통해 그 경향성의 원류를 찾아보고, 개화기 작가들에 의해 정형화된 추성 부도의 유형을 분류해보고자 했다.
      개화기에 이르면 新思潮의 유입과 전통적 가치관 고수에 있어서의 충돌은 시대적 당면과제가 되었고, 서화계에 있어서도 새로운 화풍의 도입과 함께 전통에 대한 계승의지가 공존하게 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와 함께 표면적으로 미술시장의 활성화는 화단의 상업성을 부추겨 유사한 모티프의 대량 생산을 야기했으며, 화첩에 비해 감상이 용이한 병풍식 구성으로서의 화면변화를 가져왔다. 그동안 국내에서 시의화로서 정형화된 특정 모티프를 갖지 못한 채 일부 창작되던 추성부도의 경우에 있어서도, 이 시기 다량 생산되며 유형화된다.
      이제 추성부도는 張承業(1843-1897)을 거쳐 趙錫晉(1853-1920), 安中植(1861-1919)의 당대 최고 화가들에 의해 주로 이끌어지면서 작화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2가지 형태로 구분되어 전개되는 것이 그 특징으로 파악된다. 즉 기존 산수중심의 布置에 의존하여 산수형으로 구분해볼 수 있는 구성과 고사인물로서 구양수가 부각된 인물형 작품구도가 그것이다.
      산수형의 경우 시간적 배경을 나타내는 달, 바람에 흩날리는 수목과 가을 정경, 前景의 가옥과 가을바람 소리를 들으러 나간 동자 등을 중심으로 정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개화기 안중식, 조석진이 주축이 되어, 전통적 문인제재와 관련하여 추성부도를 계절경, 즉 가을경의 한 요소로 사용함으로써 전통에 기반을 둔 새로운 변혁을 시도한 것 또한 살펴볼 수 있었다.
      동시에 기능적 고사인물화의 유행으로 인해, 추성부도가 구양수의 고사인물도로 변형되어 인물형 추성부도로 재구성되는 양상을 확인해보았다. 이러한 인물형의 경우에는 가옥이 클로즈업 되어 독서하는 인물로서의 구양수와 함께 본격적 2인구도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화면을 등지고 등장하는, 축소된 역할의 동자가 관찰된다. 王義之, 李白, 米?, 倪瓚 등과 함께 구양수가 고사인물병의 단골 주제로 부각될 때, 전통적 추성부도가 변용되어 인물형으로 도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기존 시의화로 구성된 추성부도의 전통을 기반으로 하고, 상해출간화보의 영향, 개화기 이후 실내독서상의 유행, 독서문화의 보급과 함께 특별히 ‘가을=독서’라는 의식이 더욱 일반화 되면서, 구양수의 독서장면이 부각되었을 것임도 짐작할 수 있었다.
      다시 한번 요약해 보자면, 본고에서는 개화기 정형화된 소재로서의 추성부도의 위치를 접검하고자 하였으며, 비슷한 시기 중국과 일본에서도 그려지고는 있으나 유형화되지 못했던 주제가 국내에서는 조선조의 기존 작화 전통 및 상해출간화보를 바탕으로 하여, 일정시기, 특정 작가군에 의해 짧은 기간 동안 도상화가 이루어졌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한 독특하게도 정형화와 함께 산수형, 인물형의 두 가지 유형이 동시에 전개되는 경향성을 지니고, 개화기 이후 작가 및 제지들에게도 그 영향이 미쳤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추성부도를 통해 조선조 문인사회의 전통적 제재가 주로 조석진, 안중식이라는 개화기 대표적인 작가들에 의해 재해석되어 유형화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이들이 변화하는 시대, 개화기에 있어서 ‘전통’이라는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했었는가에 대한 문제에 있어서도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Qiushengfu [Sounds of Autumn], a fu-style prose composed by Quyang Xiu (1007-1072), as loved by many literati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In this rhapsody, he sings the Sight of an autumn night and the loneliness of life. This study note...

      The Qiushengfu [Sounds of Autumn], a fu-style prose composed by Quyang Xiu (1007-1072), as loved by many literati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In this rhapsody, he sings the Sight of an autumn night and the loneliness of life. This study notes the fact it became a popular pictorial theme in the modernization period (1876-1910). While previous studies of paintings of this theme was centered on individual painters, this paper will explor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depicting the theme in the period. With this aim, it first examines sources of the representations of the theme in China and the earlier Joseon period. In the modernization period, the dash between the inflow of the new ideas and the adherence to conventional values became an urgent problem to be resolved. The world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also experienced the coexistence of the adoption of new styles and the will to uphold the tradition. At the same time, the booming of art market instigated commercialism in the painting circle and led to the mass production of a limited number of motifs and the popularity of a folding-screen format, easier for appreciation. Korean 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which had been made previously in a small number without dependence on an established type, were mass-produced wit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best artists of the period such as Jang Seung-eop (1843-1920),Jo Seok-jin (1853-1920), and An Jung-sik (1861-1919).
      Paintings of the theme in this period are classified into two major types: 1) landscape type, and 2) figure painting type. The landscape type shows an autumn scene in a somewhat stereotyped composition that consists of the moon, trees fluttering in the Wind, and a child servant in front of a house listening to the sound of the autumn breeze in the foreground Painters such as An Jung-sik and Jo Seok-jin tried to revolutionize traditional literary themes by using this theme as the depiction of seasonal scenery. In the figure painting type, representations of this theme were transformed into a more literal illustration of the story under the influence of the popularity of functional figure paintings. The composition in this type consists of two figures, Quyang Xiu and a child servant, but the latter is reduced as a figure presented with his back turned to the viewer, while the former is absorbed in reading a book. Quyang Xiu emerged as a favorite character in figure paintings illustrating historical episodes along with Wang Xizhi, Li Bo, Mi Fu, and Ni Zan. This means that depictions of the theme underwent some changes and turned into figurative paintings. Other elements also explain why the scene of Quyang Xiu reading a book was emphasized. They include the influence of painting manuals published in Shanghai, the popularity of indoor reading and the spread of the reading culture as well as the increasing awareness that the autumn is a season for read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고전적 詩意畵, 秋聲賦圖의 朝鮮朝 전개양상
      • Ⅲ. 개화기 秋聲賦圖의 유형적 특징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전적 詩意畵, 秋聲賦圖의 朝鮮朝 전개양상
      • Ⅲ. 개화기 秋聲賦圖의 유형적 특징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