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유만주(兪晩柱)의 가옥 구매 = A Case Study on Man-ju Yu(兪晩柱)`s Purchase of Hou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3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후기 가옥 매매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유만주(兪晩柱, 1755~1788)의 사례를 다룬다. 우선 본고는 유만주의 가옥 매입에 소용된 자금의 출처를 추적한다. 친족의 부조와 경강상인 혹은 경강주인의 사채가 그 주요 자금원(資金源)이었다. 이어서 본고는 구매 결정 과정을 살펴본다. 집 구경, 집의 장단점 관찰, 도면 그리기 등을 거쳐 구매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 중 도면 작성 단계는 본고가 처음 밝힌 것이다. 도면은 집의 규모와 형태를 살피고 다른 사람의 자문을 구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그 다음으로 본고는 매매 계약의 실상에 초점을 맞춘다. 유만주의 부동산 거래는 그리 안정적이지 않았다. 가옥 매매는 동시에 여러 건이 진행되기도 했는데, 집문서가 교환된 뒤에 매매가 갑자기 무산되기도 했다. 아울러 본고는 유만주가 사들인 집의 가격 수준을 몇 가지 가격 비교를 통해 가늠한다. 끝으로 본고는 집주릅의 역할과 그 보수 형태에 주목한다. 집주릅의 활동 방식은 ‘갑자기’라는 말로 압축될 수 있다. 집주릅은 ‘갑자기’ 등장해서 흥정을 붙이거나 거래 방향을 바꿈으로써 거래의 주도권을 쥐었다. 그리고 매매를 되돌리기 힘든 시점에서 ‘갑자기’ 집값을 올림으로써 더 많은 이익을 취하는 전략을 구사하기도 했다. 집주릅은 거래를 주선하는 대가로 수고비를 받았다. 수고비는 대체로 1냥이었으며, 그 밖에 몇몇 물품을 수고비조로 받기도 했다. 이상 집주릅의 구체적인 활동 방식과 그 보수 형태는 본고가 처음 밝힌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조선후기 가옥 매매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유만주(兪晩柱, 1755~1788)의 사례를 다룬다. 우선 본고는 유만주의 가옥 매입에 소용된 자금의 출처를 추적한다. 친족의 부조와 경강상인 ...

      본고는 조선후기 가옥 매매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유만주(兪晩柱, 1755~1788)의 사례를 다룬다. 우선 본고는 유만주의 가옥 매입에 소용된 자금의 출처를 추적한다. 친족의 부조와 경강상인 혹은 경강주인의 사채가 그 주요 자금원(資金源)이었다. 이어서 본고는 구매 결정 과정을 살펴본다. 집 구경, 집의 장단점 관찰, 도면 그리기 등을 거쳐 구매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 중 도면 작성 단계는 본고가 처음 밝힌 것이다. 도면은 집의 규모와 형태를 살피고 다른 사람의 자문을 구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그 다음으로 본고는 매매 계약의 실상에 초점을 맞춘다. 유만주의 부동산 거래는 그리 안정적이지 않았다. 가옥 매매는 동시에 여러 건이 진행되기도 했는데, 집문서가 교환된 뒤에 매매가 갑자기 무산되기도 했다. 아울러 본고는 유만주가 사들인 집의 가격 수준을 몇 가지 가격 비교를 통해 가늠한다. 끝으로 본고는 집주릅의 역할과 그 보수 형태에 주목한다. 집주릅의 활동 방식은 ‘갑자기’라는 말로 압축될 수 있다. 집주릅은 ‘갑자기’ 등장해서 흥정을 붙이거나 거래 방향을 바꿈으로써 거래의 주도권을 쥐었다. 그리고 매매를 되돌리기 힘든 시점에서 ‘갑자기’ 집값을 올림으로써 더 많은 이익을 취하는 전략을 구사하기도 했다. 집주릅은 거래를 주선하는 대가로 수고비를 받았다. 수고비는 대체로 1냥이었으며, 그 밖에 몇몇 물품을 수고비조로 받기도 했다. 이상 집주릅의 구체적인 활동 방식과 그 보수 형태는 본고가 처음 밝힌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real estate transaction of late Joseon. I explore Man-ju Yu(兪晩柱)`s record of purchase of house, which is found in his diary Heumyeong(欽英). First, I track down the source of the funds. Financial help of relatives and loan of Gyong-gang(京江) merchant were the major funding sources. Second, I examine the purchase decision process. Yu decided to purchase a house after visiting the house on sale, watching its pros and cons and drawing its floor plan. Third, I focus on the reality of the contract of sale. Yu`s real estate transaction was not so stable. Even the transaction was suddenly collapsed after the sale documents had been exchanged. I also examine the price level of house which Yu purchased by comparing the prices of other goods. Finally, I explore the role of the real estate agent who was called as ‘Jip-ju-rup’(집주릅) and pay mode for him. He appeared ``suddenly`` to attach to bargain and changed the bargain direction. In doing so, he exercised leadership in real estate transactions. Also at the point of being difficult to stop marketing the house, he ‘suddenly’ raised the house price. In doing so, he got more profit. Yu payed the real estate agent for arranging the deal. Usually the real estate agent received 1nyang. He also received some goods instead of money.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real estate transaction of late Joseon. I explore Man-ju Yu(兪晩柱)`s record of purchase of house, which is found in his diary Heumyeong(欽英). First, I track down the source of the funds. Financial help of relatives...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real estate transaction of late Joseon. I explore Man-ju Yu(兪晩柱)`s record of purchase of house, which is found in his diary Heumyeong(欽英). First, I track down the source of the funds. Financial help of relatives and loan of Gyong-gang(京江) merchant were the major funding sources. Second, I examine the purchase decision process. Yu decided to purchase a house after visiting the house on sale, watching its pros and cons and drawing its floor plan. Third, I focus on the reality of the contract of sale. Yu`s real estate transaction was not so stable. Even the transaction was suddenly collapsed after the sale documents had been exchanged. I also examine the price level of house which Yu purchased by comparing the prices of other goods. Finally, I explore the role of the real estate agent who was called as ‘Jip-ju-rup’(집주릅) and pay mode for him. He appeared ``suddenly`` to attach to bargain and changed the bargain direction. In doing so, he exercised leadership in real estate transactions. Also at the point of being difficult to stop marketing the house, he ‘suddenly’ raised the house price. In doing so, he got more profit. Yu payed the real estate agent for arranging the deal. Usually the real estate agent received 1nyang. He also received some goods instead of mone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호, "한국법제사고" 법문사, 1974

      2 고동환, "조선후기서울상업발달사연구" 지식산업사, 1998

      3 문숙자, "조선후기 兩班의 일상과 家族內外의 남녀관계" 古文書硏究 28 : 209 ~ 233, 2006

      4 정수환,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경인문화사, 2013

      5 최승희, "조선후기 양반의 사환과 가세변동" 한국사론 19, 1988

      6 이병천, "조선후기 상품유통과 여객주인" 경제사학 6, 1983

      7 양진석, "조선후기 漢城府 中部 長通坊 丁萬石契 소재 가옥의 매매와 그 특징" 규장각 (32) : 33 ~ 61, 2008

      8 林學成, "조선 후기 漢城府民의 戶籍자료에 보이는 ‘時入’의 성격 -漢城府 주민의 住居 양상을 究明하기 위한 一試論-" 古文書硏究 24 : 309 ~ 341, 2004

      9 강신항,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10 김하라, "유만주의 『흠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2011

      1 박병호, "한국법제사고" 법문사, 1974

      2 고동환, "조선후기서울상업발달사연구" 지식산업사, 1998

      3 문숙자, "조선후기 兩班의 일상과 家族內外의 남녀관계" 古文書硏究 28 : 209 ~ 233, 2006

      4 정수환,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경인문화사, 2013

      5 최승희, "조선후기 양반의 사환과 가세변동" 한국사론 19, 1988

      6 이병천, "조선후기 상품유통과 여객주인" 경제사학 6, 1983

      7 양진석, "조선후기 漢城府 中部 長通坊 丁萬石契 소재 가옥의 매매와 그 특징" 규장각 (32) : 33 ~ 61, 2008

      8 林學成, "조선 후기 漢城府民의 戶籍자료에 보이는 ‘時入’의 성격 -漢城府 주민의 住居 양상을 究明하기 위한 一試論-" 古文書硏究 24 : 309 ~ 341, 2004

      9 강신항,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10 김하라, "유만주의 『흠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2011

      11 이헌창, "숙종-정조조(1678-1800년간) 미가(米價)의 변동" 경제사학 21, 1996

      12 안병직, "맛질의 농민들" 일조각, 2001

      13 박병호, "근세의 법과 법사상" 진원, 1993

      14 배규범, "경강상인의 자본 축적 과정과 전개 양상" 한국의 민속과 문화 9, 2004

      15 강만길, "경강상인 연구" 아세아연구 14, 1971

      16 兪漢雋, "自著"

      17 柳馨遠, "磻溪隨錄" 명문당, 1982

      18 兪彦鎬, "燕石"

      19 兪晩柱, "欽英" 서울대학교규장각, 1997

      20 정수환, "18세기 황윤석의 화폐경제생활" 고문서연구 20, 2002

      21 임학성, "18세기 말 水原 邑治지역의 가옥 양태와 가격" 古文書硏究 39 : 147 ~ 186, 2011

      22 박혜숙, "18~19세기 문헌에 보이는 화폐단위 번역의 문제" 민족문학사연구 3 (38) : 203 ~ 233,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