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꽃을 모티브로 한 명품패션브랜드의 예술화작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tistic Work of Luxury Fashion Brands with Flower Motif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2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t work of a luxury fashion brand is the brand’s survival method and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A work of art with a fashion brand is more familiar to the public than a difficult traditional art. Art work makes the identity of a luxury brand natural and familiar to consumers, and makes the brand known to a variety of audiences. It also provides opportunities for fashion and art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makes it possible to popularize fashion and art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and investigate the artistic works of luxury fashion brands using flower motifs and their cases based on a theoretical basis. Through this, they recognize the wide interaction between luxury fashion brands and art, and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not only flower patterns that are the motif of art in relation to the brand, but also creative K that follow the trend by well combining various elements of nature. - We want to use it as a basis for creating a culture
      번역하기

      The art work of a luxury fashion brand is the brand’s survival method and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A work of art with a fashion brand is more familiar to the public than a difficult traditional art. Art work ma...

      The art work of a luxury fashion brand is the brand’s survival method and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A work of art with a fashion brand is more familiar to the public than a difficult traditional art. Art work makes the identity of a luxury brand natural and familiar to consumers, and makes the brand known to a variety of audiences. It also provides opportunities for fashion and art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makes it possible to popularize fashion and art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and investigate the artistic works of luxury fashion brands using flower motifs and their cases based on a theoretical basis. Through this, they recognize the wide interaction between luxury fashion brands and art, and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not only flower patterns that are the motif of art in relation to the brand, but also creative K that follow the trend by well combining various elements of nature. - We want to use it as a basis for creating a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명품패션브랜드의 예술화 작업은 그 브랜드의 생존방식이며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소비자와 소통이라 할 수 있다. 어려운 전통예술보다 패션브랜드와 함께하는 예술작품은 대중에게 보다 친숙한 오브제이다. 예술화 작업은 명품브랜드의 정체성을 소비자에게 자연스럽고 친숙하게 형성하도록 하며, 브랜드를 다양한 대상에게 알리게 한다.
      또한 다양한 계층에게 패션과 예술이 상호교감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패션과 예술의 대중화를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꽃을 모티브로 한 명품패션브랜드의 예술화 작업과 그 사례에 대해 고찰하고,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명품패션브랜드와 예술의 광범위한 상호 작용에 대해 인지하고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브랜드와 연관하여 예술의 모티브가 되고 있는 꽃문양뿐 만 아니라 자연의 여러 요소들을 잘 조합하여 트렌드 흐름을 따르는 독창적인 K-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근거자료로 삼고자 한다
      번역하기

      명품패션브랜드의 예술화 작업은 그 브랜드의 생존방식이며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소비자와 소통이라 할 수 있다. 어려운 전통예술보다 패션브랜드와 함께하는 예술작품은 대중에게 보다 ...

      명품패션브랜드의 예술화 작업은 그 브랜드의 생존방식이며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소비자와 소통이라 할 수 있다. 어려운 전통예술보다 패션브랜드와 함께하는 예술작품은 대중에게 보다 친숙한 오브제이다. 예술화 작업은 명품브랜드의 정체성을 소비자에게 자연스럽고 친숙하게 형성하도록 하며, 브랜드를 다양한 대상에게 알리게 한다.
      또한 다양한 계층에게 패션과 예술이 상호교감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패션과 예술의 대중화를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꽃을 모티브로 한 명품패션브랜드의 예술화 작업과 그 사례에 대해 고찰하고,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명품패션브랜드와 예술의 광범위한 상호 작용에 대해 인지하고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브랜드와 연관하여 예술의 모티브가 되고 있는 꽃문양뿐 만 아니라 자연의 여러 요소들을 잘 조합하여 트렌드 흐름을 따르는 독창적인 K-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근거자료로 삼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수 ; 박선희, "패션 브랜드 샤넬의 스토리스케이핑"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6 (16): 49-66, 2016

      2 박혜신, "패션 명품의 브랜드 차별화 전략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 (16): 252-262, 2010

      3 한상연, "칼 라거펠트의 샤넬 디자인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4 조혜덕 ; 황재광 ; 이상윤,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명품 브랜드의 미학적 아트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과학회 9 (9): 73-82, 2011

      5 유미향, "샤넬의 패션스타일을 응용한 헤어디자인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6 박숙현, "샤넬 컬렉션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2000

      7 김태욱, "브랜드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8 양아랑, "바긴 컨템포러리 패션 패션의 조형적 특성 분석" 10 (10): 2007

      9 홍성태, "모든 비즈니스는 브랜딩이다" 쌤엔파커스 2012

      10 조혜덕, "명품의 조건" 아트북 2012

      1 박혜수 ; 박선희, "패션 브랜드 샤넬의 스토리스케이핑"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6 (16): 49-66, 2016

      2 박혜신, "패션 명품의 브랜드 차별화 전략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 (16): 252-262, 2010

      3 한상연, "칼 라거펠트의 샤넬 디자인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4 조혜덕 ; 황재광 ; 이상윤,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명품 브랜드의 미학적 아트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과학회 9 (9): 73-82, 2011

      5 유미향, "샤넬의 패션스타일을 응용한 헤어디자인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6 박숙현, "샤넬 컬렉션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2000

      7 김태욱, "브랜드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8 양아랑, "바긴 컨템포러리 패션 패션의 조형적 특성 분석" 10 (10): 2007

      9 홍성태, "모든 비즈니스는 브랜딩이다" 쌤엔파커스 2012

      10 조혜덕, "명품의 조건" 아트북 2012

      11 박정원, "명품 화장품 브랜드의 브랜드 자산 구조 연구" 11 (11): 2008

      12 강병석 ; 최무석, "루이비통(Louis Vuitton)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디자인에 나타난 모노그램의 조형 특성"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1-11, 2015

      13 이강건, "걸작 브랜드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아트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3 (3): 2012

      14 "阿玛尼贵族香水 牡丹凝香 礼献中国"

      15 "www.vuitton.com"

      16 "www.hermes.com"

      17 "www.armani.com"

      18 "https://www.yna.co.kr/view/AKR20130327079200003"

      19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535115#home"

      20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1303278377k"

      21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7121798691"

      22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1227523&memberNo=34550514&searchKeyword=%EA%B0%80%EB%B8%8C%EB%A6%AC%EC%97%98%20%EC%83%A4%EB%84%AC&searchRank=100"

      23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123109315443242"

      24 "https://marimekko.kr/index.html"

      25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40906.010120735420001"

      26 "https://kr.louisvuitton.com/kor-kr/heritage-savoir-faire/lvseoulvvv#the-exhibition"

      27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4/20/2015042003210.html"

      28 "http://www.telegraph.co.uk/"

      29 "http://www.stylechosun.co.kr/online/%EA%B5%AC%EC%B0%8C-%ED%94%8C%EB%A1%9C%EB%9D%BC-%EC%95%84%EC%B9%B4%EC%9D%B4%EB%B8%8Cflora-archive%E5%B1%95/"

      30 "http://www.opinionnews.co.kr"

      31 "http://www.news2day.co.kr/n_news/news/view.html?no=29239"

      32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handbag"

      33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9&nNewsNumb=002113100019"

      34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35 "http://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1/67837"

      36 "http://babytree.hani.co.kr/?document_srl=103843"

      37 Svendsen, L, "Fashion: A philosophy" MID 2013

      38 Geczy, A., "Fashion and art" BERG 2013

      39 Veblen, T. B., "An Economic Study of Institutions" Macamillan Publishers 1899

      40 류웅재, "30대 남성의 소비경험을 중심으로 남성의 사치품 소비와 문화차이의 정치학연구" 75 :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3-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Essays on Floral Art
      KCI등재후보
      2005-0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8 0.31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