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설재배지 무경운 토양에서 녹비작물별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감염양상과 포자밀도 특성 = Characteristics of Spore Density and Colonization Patter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the No-tillage Soil under Greenhouse Con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48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월동 녹비작물 재배가 시설 토양과 무경운 유기재배 고추의 균근균 포자밀도 및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월동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기주작물별 균근균 활성 ...

      월동 녹비작물 재배가 시설 토양과 무경운 유기재배 고추의 균근균 포자밀도 및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월동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기주작물별 균근균 활성 포자수는 대조구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기주 작물별 균근균 활성 포자의 밀도는 보리와 완두콩이 호밀, 헤어리베치, 쇠별꽃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에 고추를 무경운 정식하여 재배한 토양의 AMF 포자 밀도는 대조구와 녹비작물 종류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AMF 밀도보다 후 작물로 고추를 재배한 토양의 AMF밀도는 감소되었으나, AMF 밀도의 균일도는 증가되었다. 한편 보리 녹비작물을 예취하여 제거한 토양의 AMF포자 밀도는 제거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 균근균의 기주작물별 포자 형태와 크기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녹비작물 재배 후작물로 고추를 재배한 토양에서 분리된 AMF포자 형태와 크기도 동일하였다. 녹비 작물별로 뿌리의 내생 균근균 감염율이 쇠별꽃, 호밀과 헤어리베치는 낮은 경향이었으나, 보리 녹비의 감염율은 유의성 있게 높았다. 고추 뿌리 내의 AMF 감염율은 녹비작물의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보리 녹비를 예취하여 제거한 처리의 감염율은 보리 녹비작물을 전량 토양에 투입한 처리 보다 높았다. 녹비작물 뿌리와 고추 뿌리의 내생 균근균의 주요 감염구조는 뿌리의 내부균사(Internal hyphae)로 균사간의 Network가 매우 발달되었다. 그리고 녹비작물과 고추 뿌리에서 Arbuscule이 형성되었으며, 근권 토양의 AMF포자밀도와 고추 뿌리 감염율의 상관관계도 파악할 수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was studied the effects of spore density and infec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for no-tillage organic cultivation of pepper with wintering green manure crops cultivation in greenhouse field. Spore density of arbuscular mycorrhi...

      This work was studied the effects of spore density and infec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for no-tillage organic cultivation of pepper with wintering green manure crops cultivation in greenhouse field. Spore den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n green manure crops was 189 spores/30g fresh soils in control including alive spore (82 spores). Spore density of AMF in all green manure crops was totally 196~226 spores/30g fresh soil and alive spore was 84~112 spores/30g fresh soil. Spore density of AMF in soils of Pepper crop was range of 48.0~56.7 spores/30g fresh soils after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Infection structure of AMF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soils of green manure crops and Pepper crop after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Infection rate of AMF in roots of green crops was low level by 2.8% in giant chickweed, 7.4% in rye, 9.3% in hairy vetch. Infection rate of AMF in roots of barley was the highest level by 20.3%. Infection rate of AMF in roots of Pepper crop was range of 5.2~7.2% after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Also, infection rate of AMF in roots of Pepper crop was 8.1% after the harvest of barley. Infection structure of AMF in barley very well consisted of network with internal hyphae, while hairy vetch and rye tended to no network.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pore density in soils and infection rate of AMF in rhizosphere of Pepp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종호, "헤어리베치의 추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 변화" 45 : 400-404, 2000

      2 정덕영, "토양학" 향문사 214-244, 2006

      3 서장선, "토양미생물"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127-152, 2009

      4 손보균, "전남지역 인삼재배 토양의 Arbuscular 균근균 분포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214-222, 2008

      5 손보균, "재배방식이 상이한 포도 재배지 토양의 Arbuscular균근균 포자밀도와 감염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 40 (40): 476-481, 2007

      6 손보균, "인삼 재배 예정지의 Arbuscular 균근균(AMF) 번식체 밀도 향상"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170-176, 2008

      7 최두회, "유기농업 재배지에서 내생균근의 분포특성 및 유기농업 이용가능성 탐색" 국립농업과학원 120-133, 2004

      8 김계훈, "영남지역 시설재비지에 분포하는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 밀도 및 기내조건에서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 특성" 32 : 203-209, 1999

      9 양승구, "시설재배지 녹비작물 재배가 고추의 생육과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19 : 255-272, 2011

      10 손보균, "시설원예작물에서 토착 VA균근균에 관한 연구" 25 (25): 99-107, 1992

      1 서종호, "헤어리베치의 추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 변화" 45 : 400-404, 2000

      2 정덕영, "토양학" 향문사 214-244, 2006

      3 서장선, "토양미생물"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127-152, 2009

      4 손보균, "전남지역 인삼재배 토양의 Arbuscular 균근균 분포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214-222, 2008

      5 손보균, "재배방식이 상이한 포도 재배지 토양의 Arbuscular균근균 포자밀도와 감염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 40 (40): 476-481, 2007

      6 손보균, "인삼 재배 예정지의 Arbuscular 균근균(AMF) 번식체 밀도 향상"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170-176, 2008

      7 최두회, "유기농업 재배지에서 내생균근의 분포특성 및 유기농업 이용가능성 탐색" 국립농업과학원 120-133, 2004

      8 김계훈, "영남지역 시설재비지에 분포하는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 밀도 및 기내조건에서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 특성" 32 : 203-209, 1999

      9 양승구, "시설재배지 녹비작물 재배가 고추의 생육과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19 : 255-272, 2011

      10 손보균, "시설원예작물에서 토착 VA균근균에 관한 연구" 25 (25): 99-107, 1992

      11 Smith, F. A., "Tansley Review No. 96. Structural diversity in (Vesicular) arbuscular mycorrhizal symbioses" 137 : 373-388, 1997

      12 Ratnayake, M., "Root exudation in relation to supply of phosphorus and its possible relevance to mycorrhizal infection" 81 : 543-552, 1978

      13 Brundrett, M., "Practical methods in mycorrhiza research mycologue Publication" 161-, 1994

      14 Jasper, D. A., "Phosphorus and the formation of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s" 11 : 501-505, 1979

      15 Smith, S. E., "Mycorrhizal symbiosis. 2nd ed" Academic Press 1997

      16 Degens. B. P., "Increasing the lenght of hyphae in a sandy soil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stable aggregates" 3 : 149-159, 1996

      17 Phillips, J. M., "Improved procedures for clearing roots and staining parasitic and vesicular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for rapid assessment of infection" 55 : 158-160, 1970

      18 Tisdall, J. M., "Fungal hyphae and structural stability of soil" 29 : 729-743, 1991

      19 Wright, S. F., "Extraction of an abuneant and unusual protein from soil and comparison with hyhal protein from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161 : 575-585, 1996

      20 Chamber. C. A., "Effects of ammonium and nitrate ions on mycorrhizal infection, nodulation and growth of Trifolium subterraneum" 85 : 47-62, 1980

      21 Jastrow, J. D., "Contributions of interacting biological mechanisms to soil aggregate stabilization in restored prairie" 30 : 905-906, 1998

      22 Kang, S. B., "Arbuscular-mycorrhizae colonizaton and mineral nutrient uptake of Poncirus trifoliata seeding in volcanic ash soil" 33 (33): 283-291, 2000

      23 McGonigle, T. P., "Arbuscular Mycorrhizae of American ginseng(Panax quinquefolius) in cultivated field plots : Plant age affects the development of a colonization lag phase" 77 : 1028-1034,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5 0.61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