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한 무형문화유산과 북한 비물질문화유산의 개념과제도의 정책 변화 분석 = An Analysis of the Policy Changes in the Concept and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North and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61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한의 무형문화유산과 북한의 비물질유산 보호제도의 정책적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남한이 원형보존의 법칙을 오랫동안 유지하였다면, 북한은 전통을 계급주의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비판적 계승’의 입장을 견지해왔다. 그러나 남한은 2015년 ‘원형 보존의 원칙’은 ‘전형 유지’로 규정을 변화시켰고, 북한은 2019년 사회주의 헌법 개정 시 “복고주의적 경향을 반대한다”는 문장을 삭제하였다.
      김정은시대 비물질문화유산 정책의 방향인 ‘과학화’, ‘국제화’, ‘체계화’를 분석하여, ‘비물질문화유산’에 대한 보호를 넘어 이를 어떻게 인민들의 삶과 연결시켜낼 것인가에 대한 정책적 고민에 집중하고 있음을 파악했다. 이는 김정은시대 ‘우리국가제일주의’와 연결되어 강조되고 있는 ‘애국주의 고양’에 ‘민족유산’이 효과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는 정책적 판단과 관련된다고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민속공원’과 ‘민속거리’조성과 활용, ‘자료기지화’ 실시 및 정보 교류를 활발히 해야함을 강조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무형문화유산 분야에서 남북교류의 전략적 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하겠다.
      번역하기

      남한의 무형문화유산과 북한의 비물질유산 보호제도의 정책적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남한이 원형보존의 법칙을 오랫동안 유지하였다면, 북한은 전통을 계급주의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

      남한의 무형문화유산과 북한의 비물질유산 보호제도의 정책적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남한이 원형보존의 법칙을 오랫동안 유지하였다면, 북한은 전통을 계급주의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비판적 계승’의 입장을 견지해왔다. 그러나 남한은 2015년 ‘원형 보존의 원칙’은 ‘전형 유지’로 규정을 변화시켰고, 북한은 2019년 사회주의 헌법 개정 시 “복고주의적 경향을 반대한다”는 문장을 삭제하였다.
      김정은시대 비물질문화유산 정책의 방향인 ‘과학화’, ‘국제화’, ‘체계화’를 분석하여, ‘비물질문화유산’에 대한 보호를 넘어 이를 어떻게 인민들의 삶과 연결시켜낼 것인가에 대한 정책적 고민에 집중하고 있음을 파악했다. 이는 김정은시대 ‘우리국가제일주의’와 연결되어 강조되고 있는 ‘애국주의 고양’에 ‘민족유산’이 효과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는 정책적 판단과 관련된다고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민속공원’과 ‘민속거리’조성과 활용, ‘자료기지화’ 실시 및 정보 교류를 활발히 해야함을 강조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무형문화유산 분야에서 남북교류의 전략적 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양명, "중요무형문화재 예능분야의 원형과 전승 문제에 대한 반성적 검토" 한국민속학회 44 : 561-594, 2006

      2 정상우, "주요국 문화재보호 법제 수집ㆍ번역 및 분석" 문화재청 2010

      3 홉스봄랑거, "전통의 날조와 창조" 서경문화사 1999

      4 국립문화재연구소, "유네스코 문화관련 국제협약 모음집"

      5 김정일,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 민족문화유산보존관리사업에 이룩하신 불멸의 업적"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4

      6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의 공동체 :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출판 2003

      7 권혁희, "북한의 비물질문화유산 정책의 변화와 특성" 통일연구원 28 (28): 209-228, 2019

      8 김인규,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정책 동향 연구" (7) : 5-29, 2019

      9 박영정,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정책 동향 연구" 국립무형유산원 (7) : 5-29, 2019

      10 김정은, "민족유산보호사업은 우리민족의 력사와 전통을 빛내이는 애국사업이다" 조선로동당출판사 2014

      1 한양명, "중요무형문화재 예능분야의 원형과 전승 문제에 대한 반성적 검토" 한국민속학회 44 : 561-594, 2006

      2 정상우, "주요국 문화재보호 법제 수집ㆍ번역 및 분석" 문화재청 2010

      3 홉스봄랑거, "전통의 날조와 창조" 서경문화사 1999

      4 국립문화재연구소, "유네스코 문화관련 국제협약 모음집"

      5 김정일,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 민족문화유산보존관리사업에 이룩하신 불멸의 업적"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4

      6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의 공동체 :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출판 2003

      7 권혁희, "북한의 비물질문화유산 정책의 변화와 특성" 통일연구원 28 (28): 209-228, 2019

      8 김인규,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정책 동향 연구" (7) : 5-29, 2019

      9 박영정,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정책 동향 연구" 국립무형유산원 (7) : 5-29, 2019

      10 김정은, "민족유산보호사업은 우리민족의 력사와 전통을 빛내이는 애국사업이다" 조선로동당출판사 2014

      11 김정일, "민족문화유산과 민족적 전통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2005

      12 김일성, "민족문화유산계승에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76

      13 김영국 ; 오승규, "무형문화재진흥법의 쟁점과 개선 방안" 한국법정책학회 15 (15): 591-609, 2015

      14 이장렬, "무형문화재의 21세기 개혁과제와 방향" 손봉숙위원실 5-123, 2006

      15 손봉숙, "무형문화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손봉숙의원실 2006

      16 정상우, "무형문화재 보호의 기본원칙과 법적 과제" 한국법제연구원 (36) : 407-436, 2009

      17 임장혁, "무형문화재 관련 법률의 제 문제" 비교민속학회 (67) : 319-343, 2018

      18 에릭 홉스봄, "만들어진 전통" 휴머니스트 2004

      19 한스 야우스, "도전으로서의 예술사" 문학과 지성사 1986

      20 최영화 ; 민경선, "「무형문화재법」의 쟁점과무형문화재 보전・진흥 방안 연구" 국회입법조사처 9 (9): 29-54, 2017

      21 김시호, "20세기 문예부흥과 김정일 11 문화유적유물보존"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중앙위원회 문학예술출판사 2002

      22 정종섭, "(가칭)무형문화유산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정 연구" 문화재청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