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과 일본의 공동주택단지 디자인 가이드라인 비교분석 연구 =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Design Guidelines of Multi Housing Complex Plan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204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announced 'Design Guideline in the Multi Housing'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multi housing scenery' in 2009. This suggests the design standards, including the plan to harmonize with natur...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announced 'Design Guideline in the Multi Housing'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multi housing scenery' in 2009. This suggests the design standards, including the plan to harmonize with nature environments and diverse housing plans, in order to improve the ‘scenery’ of residential area. Also, metropolitan council, local communities, development districts as which the department of Land and Housing has designated, and the city of Seoul have been establishing all the design guidelines to improve quantity of the existing monotonous and standardized housing forms. However, such contents or the range of the design guideline differ by subjects, so there is a possibility to cause confusion, and also the effectiveness is being questioned.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design guideline, which is operating domestically, and defines the role. Also,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multi housing planning system of Japan which is similar to that of Korea as it would elaborate the characteristics and propose the implications
      The analysis on the concept of several domestic and foreign design guidelines shows that design guideline in multi housing is defined as a method of controlling·leading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better environment, targeting the multi housings and complexes. It is a guide which suggests principle, standard, and consideration to be applied on the works related to design starting from housing design process to construction stage, and to a greater extent, managing·operating stage. In addition, targeting certain areas, utilizing various subjects, maintaining consistency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uggesting detailed standards are the characteristics.
      Design-control elements which composed the design guidelines of multi housing are divided by spatial hierarchy: urban spatial, hous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hierarchy. When comparing domestic cases with Japanese ones, the characteristics are as below. Looking into the urban spatial hierarchy, domestic cases lay emphasis on the uniformity and harmony of the area as a whole and mainly deals with alignment of separate blocks or visual appearance from a distant view. But in Japan, it is more focused on the street space which builds urban frame and architectures to create close-range images. From the housing planning hierarchy, domestic cases prefer arranging the elements of facilities planning and tend to hold neutral value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space in general. But in Japanese cases, they are detailed-oriented and propose housing space from principle to applying way and propose lots of control elements, especially to the outer space application. As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hierarchy, no elements control architectural shape and form, but guideline, such as case photos, are applied to deliver the concepts in domestic cases. However, there were wide variat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housings in Japan. While in case of large size housings it proposes architectural principle in detail considering the elevation and cross-section of buildings, no guidelines but only conceptual words are mentioned in small housings.
      When comparing the design guidelin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osition and management, in Korea, MA/MP group, who makes out the design guidelines, and BA group, who carries them out, are separated from ‘space planning step’ to ‘site planning step’as it proposes the design as well as its characteristics. In Japan, MA group, Advisor group, and BA group maintain their relationships from the beginning of the space planning step until construction step. Also, they maintain the design guidelines or modify·renew some processes when required, while concentrating on design meetings.
      Japanese holds distinct design guidelines on certain areas and strongly builds the specific image of the housing from urban spatial hierarchy to architectural planning hierarchy, while Korean has been focused on the connectivity of blocks and the uniformity of the area under the perspective of improving the closed development form Therefore these differences cause guidelines to hold broad and abstract contents.
      However due to the diversity of analysis, there are cases which design guidelines become ineffective under screening and examination. Institutional rigidity, such as design competition·TK design, has led the design guidelines to limit on space planning. But currently, district unit plan, derived from design guidelines, has been controlling housing plann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Various and concrete studies should take place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and maximize the strong point of design guidelin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9년 국토해양부는 ‘공동주택 미관증진’을 목적으로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주요 내용은 주택지구의 ‘미관’을 증진하기 위하여, 주변의 자연환경과 조화로운...

      2009년 국토해양부는 ‘공동주택 미관증진’을 목적으로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주요 내용은 주택지구의 ‘미관’을 증진하기 위하여, 주변의 자연환경과 조화로운 계획과 주동형태의 다양화 등을 포함한 디자인 기준을 제시함에 있다. 또한 서울시를 비롯한 각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는 물론, 주택공사 등에서 조성하는 택지개발지구에서도 기존의 단조롭고 획일적인 공동주택의 주거유형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고자 속속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내용이나 범위는 각 주체별로 상이하며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며, 그 실효성에 대한 논란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역할을 정립하며, 우리나라와 유사한 공동주택 계획체계를 지니는 일본사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도출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의 여러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념을 분석한 바,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공동주택 및 단지를 그 대상으로, 양질의 공간환경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계획과정․개발과정을 제어․유도하는 수단’으로 ‘공동주택의 설계과정에서 시공단계까지, 넓게 보면 관리․운영단계에 이르기까지, 디자인 관련 업무의 수행 전반에 걸쳐 적용해야 할 원칙과 기준, 고려사항 등이 제시된 지침’이라 정의하였다. 또한 그 특징으로는 ‘특정 지역․지구를 대상으로 함’,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고 활용함’, ‘개발과정의 일관성을 유지함’, ‘상세한 기준을 제시함’ 등이 있을 수 있다.
      공동주택단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구성하는 디자인컨트롤 요소들은 단지를 구성하는 공간적 위계에 따라 ‘도시 공간적 위계’, ‘단지 계획적 위계’, ‘건축계획적 위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국내사례와 일본사례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도시 공간적 위계에서 살펴볼 때, 국내사례는 해당 지구 전체의 통일되고 조화로운 이미지를 중시하며 개별 블록간의 정합성이나 원경으로서의 단지경관에 대하여 주로 다루고 있으나 일본사례의 경우에는 도시적 골격을 형성하는 가로공간과 건축물이 만들어내는 근경의 이미지에 집중하고 있다. 단지 계획적 위계에서 살펴볼 때, 국내사례는 시설계획요소의 배치를 중시하며 개념적인 공간방향 설정이 대부분으로 가치중립적인 경향을 띠고 있으나 일본사례의 경우에는 단지공간의 구성 원칙부터 연출방식까지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외부공간의 연출에 많은 제어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건축계획적 위계에서 살펴볼 때, 국내사례는 건축물의 형태나 형상을 제어하는 요소가 없거나 개념을 전달하는 사례사진 위주의 가이드라인을 활용하고 있었고, 일본사례에서는 단지의 규모에 따라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다. 대규모 단지의 경우, 건축물의 입면, 단면 등을 활용한 건축물의 구성 원칙을 상세하게 제시하였으나 소규모 단지의 경우에는 가이드라인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개념적인 단어만을 제시하는 특징을 보였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그 조직구성과 운용방식의 관점에서 비교해 보면, 국내사례의 경우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MA/MP 그룹과 이를 실행하는 BA그룹의 관계가 ‘공간계획단계’에서 ‘단지설계단계’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분리되며 설계방향을 제시하는 수준의 단발적인 성격을 보이고 있다. 일본사례의 경우에는 MA그룹, 어드바이저 그룹, BA그룹이 공간계획 초기부터 실시설계 단계까지 그 관계를 지속해가는 경향을 보이며, 디자인 회의를 중심으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유지하거나 필요에 따라 수정․갱신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일본의 사례가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해당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는 맥락중심의 구성으로 도시공간적 위계부터 건축계획적 위계까지 그 단지만의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도구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면, 국내사례는 기존의 자기 완결적이고 폐쇄적인 개발행태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블록간의 연계성이나 해당 지구 전체의 통일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광의적이고 추상적인 내용 위주의 가이드라인이 만들어 지는 것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지나친 해석의 다양성으로 인해 심의, 심사과정에서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무력화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으며, 현상설계․TK설계 등 제도적 경직성으로 인해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공간계획차원에 그치고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파생한 지구단위계획이 단지계획적, 건축계획적인 요소들을 컨트롤하는 현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제2절 선행연구 검토와 본 연구의 차별성 6
      • 1. 선행연구검토 6
      • 2. 선행연구의 시사점 및 본연구의 의의 9
      •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0
      •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10
      •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12
      • 제2장 이론적 고찰 15
      • 제1절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등장 배경 16
      • 제2절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이론 연구 19
      • 1.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개념 19
      • 제3절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유형 24
      • 1. 공동주택단지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국내사례 24
      • 2. 공동주택단지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이본사례 27
      • 제4절 소결 29
      • 제3장 공동주택단지 디자인 가이드라인 사례분석 31
      • 제1절 분석개요 32
      • 1. 연구대상 선정과 분석의 틀 32
      • 2. 연구대상 지구의 일반현황 41
      • 제2절 국내사례 구성요소 분석 55
      • 1. 공간위계에 따른 구성요소별 내용분석 55
      • 2. 도시공간 위계에 따른 디자인 가이드라인 56
      • 3. 단지계획 위계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62
      • 4. 건축계획 위계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67
      • 제3절 일본사례 구성요소 분석 69
      • 1. 공간위계에 따른 구성요소별 내용분석 69
      • 2. 도시공간 위계에 따른 디자인 가이드라인 70
      • 3. 단지계획 위계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74
      • 4. 건축계획 위계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82
      • 제4절 소결 85
      • 제4장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운용방식 분석 87
      • 제1절 운용방식개요 88
      • 1. 국내사례 운용방식 분석 88
      • 2. 일본사례 운용방식 분석 92
      • 제2절 운용방식의 한․일간 측성비교 00
      • 제5장 결론 96
      • 참고문헌 99
      • ABSTRACT 1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