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전력부문의 환경유해보조금 개편 효과분석: 산업용 교차보조금 개편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Effect of Korea`s Environmentally Harmful Subsidy Reform in the Electric Power Sector: Mainly on its Industria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유가 시대인 현실에서 우리나라는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저탄소 녹색성장이 가능한 경제사회 구조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현재 화석연료 사용과 관련된 보조금 개편은 환경에 유...

      고유가 시대인 현실에서 우리나라는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저탄소 녹색성장이 가능한 경제사회 구조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현재 화석연료 사용과 관련된 보조금 개편은 환경에 유해한 투입요소에 대한 보조금을 감축 또는 제거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하고 환경 피해를 완화시켜 사회 전체적으로 편익을 가져올 수 있는 Win-Win 효과가 기대되는 정책방안이다. 특히, 우리나라 전력부문에서 시행되는 보조금 제도 중에서 산업용, 농업용 및 심야전력에 대한 교차보조금의 경우, 전체 전력부문 보조금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큰 규모인데 본 논문은 전력부문 환경유해보조금 가운데 가장 큰 비중(연간 약 1조 6,583억원)을 차지하는 교차보조금 제도 중에서 산업용 전기의 환경유해보조금 개편 시 기대될 수 있는 파급효과를 가격탄력성 추정을 통해 파악하였다. 가격탄력성 추정에는 ARDL(자기회귀시차분포) 모형을 이용하였고, 기본 데이터는 1990년부터 2007년까지의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경유해보조금 제거로 산업용 전력에 대한 연간 에너지 수요변화량은 -12,475,930MWh만큼 사용량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경우를 보면 연간 2,644,897톤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보조금 폐지가 이산화탄소 저감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U에서 제시한 오염물질 단위당 환경오염비용을 이용하여 배출저감량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산업용 전력보조금 제거로 연간 약 1조 1,914억원의 환경개선편익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경우 톤당 25유로를 적용하여 계산하면 산업용 전력보조금 제거로 연간 약 1,062억원의 환경개선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Republic of Korea is highly dependent on fossil fuels despite high oil prices, it urgently needs to renew its economic and social system to cut carbon emissions and achieve green growth. Therefore, reforming or eliminating subsidies related ...

      Since the Republic of Korea is highly dependent on fossil fuels despite high oil prices, it urgently needs to renew its economic and social system to cut carbon emissions and achieve green growth. Therefore, reforming or eliminating subsidies related to the use of fossil fuels is a timely and oppropriate policy recommendation for Korea. It would be a win-win deal for Korean society as it would not only reduce the use of environmentally harmful fossil fuels but also enhance economic efficiency. In particular, cross-subsidies for industrial, agricultural and night thermal-storage power services make up more than 80 percent of all subsidies provided to the entire electric power industry sector of Korea. Of these cross-subsidies, this paper analyzes the electricity subsidy for industries, which takes up the largest share (about KRW 1.6583 trillion yearly), among the environmentally harmful subsidies in the electric power sector. Thus, the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ripple effect anticipated when this is re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subsidy reform, price elasticities were estimated using the ARDL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and quarterly data from 1990 to 2007.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1) annual energy demand for electric power in the industrial sector would drop by 12,475,930MWh and 2) CO2 emissions would plummet by 2,644,897 tons per year if the subsidy were reformed. We can deduct from this that the abolition of environmentally harmful subsidies in the electric power sector in the Republic of Korea would considerably contribute to CO2 emissions abatement in the count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2 김승래, "한국의 조세·재정정책 평가 모형: 조세의 일반균형 귀착효과" 한국조세연구원 2006

      3 김문영, "전력수요 탄력성에 따른 각 용도별 부하의 전력수요 영향" 50 (50): 568-574, 2001

      4 김수덕, "에너지가격 측면에서 살펴 본 산업용 도시가스와 전력수요"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46 (46): 379-386, 2009

      5 강만옥, "에너지·전력부문 보조금의 환경친화적 개편방안과 파급효과연구(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6 강만옥, "에너지·전력부문 보조금의 환경친화적 개편방안과 파급효과 연구(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7 정한경, "에너지 가격정책 및 규제체계 개선 연구"

      8 김문영, "수요 탄력성에 따른 전력수요의 변화가 현물가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에너지공학회 11 (11): 2002

      9 나인강, "산업용 전력수요의 탄력성 분석" 9 (9): 333-347, 2000

      10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1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2 김승래, "한국의 조세·재정정책 평가 모형: 조세의 일반균형 귀착효과" 한국조세연구원 2006

      3 김문영, "전력수요 탄력성에 따른 각 용도별 부하의 전력수요 영향" 50 (50): 568-574, 2001

      4 김수덕, "에너지가격 측면에서 살펴 본 산업용 도시가스와 전력수요"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46 (46): 379-386, 2009

      5 강만옥, "에너지·전력부문 보조금의 환경친화적 개편방안과 파급효과연구(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6 강만옥, "에너지·전력부문 보조금의 환경친화적 개편방안과 파급효과 연구(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7 정한경, "에너지 가격정책 및 규제체계 개선 연구"

      8 김문영, "수요 탄력성에 따른 전력수요의 변화가 현물가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에너지공학회 11 (11): 2002

      9 나인강, "산업용 전력수요의 탄력성 분석" 9 (9): 333-347, 2000

      10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11 국무총리실,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12 한국전력공사, "각년도. 「한국전력통계」"

      13 환경부, "각년도. 「대기오염물질배출량」"

      14 나인강, "가정용 전력수요 행태변화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1999

      15 통계청, "가계조사자료"

      16 IEA, "World Energy Outlook 1999 insight; Looking at Energy Subsidies‐Getting the Prices Right"

      17 Fullerton, D., "Who Bears the Lifetime Tax Burden?" Brookings Institution 1993

      18 Pieters, J., "When removing subsides benefits the environment: Developing a checklist based on the conditionality of subsidies in OECD"

      19 Moor, A., "Towards a Grand Deal on Subsidies and Climate Change" 25 : 167-176, 2001

      20 European Environmental Bureau, "Stop Subsidies Polluting the World, Recommendations for Phasing‐Out and Redesigning Environmentally Harmful Subsidies" 2005

      21 Hosoe, Nobuhiro, "Regional Electric Power Demand Elasticities of Japanʹs Industrial and Commercial Sectors" 37 (37): 4313-4319, 2009

      22 OECD, "Reforming energy and Transport Subsidies"

      23 IEEP, "Reforming Environmentally Harmful Subsidies Final Report to the European Commissionʹs DG Environment"

      24 UNEP, "Reforming Energy Subsidies: An Explanatory Summary of the Issues and Challenges in Removing or Modifying Subsidies that Undermine the Pursuit of Sustainable Development" UNEP/IEA 2002

      25 REPP, "REPP Research Report" 2000

      26 Beers, C. van, "Public Subsidies and Policy Failures: How Subsidies Distort the Natural Environment, Equity and Trade, and How to Reform Them" Edward Elgar Publishers 2001

      27 강만옥, "OECD의 환경유해보조금 개편 논의동향과 국내 정책과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28 Kamershen, D. R., "Market Structure in the US Electricity Industry: A long‐term perspective" 27 (27): 731-735, 2005

      29 OECD, "Improving the Environment through Reducing Subsidies, in three volumes"

      30 Reiss, P. C., "Household Electricity Demand, Revisited" 72 : 853-883, 2005

      31 Espey, Molly, "Gasoline Demand Revisited: an International Meta‐analysis of Elasticity" 20 : 273-295, 1998

      32 Dahl, Carol, "Gasoline Demand Modelling: Theory and Application. In: International Energy Modelling" Chapman and Hall 1991a

      33 OECD, "Environmental Harmful Subsidies ‐ Challenges for reform OECD" 2005

      34 Pesaran, M. H., "Energy Demand in Asian Developing Econom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5 Mackinnon, James G., "Critical Values for Cointegration Tests. In: Long‐run Economic Relationships" Oxford University Press 267-276, 1991

      36 OECD, "Behavioral Responses to Environmentally‐Related Taxes, COM/ENV/EPOC/DAFFE/ CFA(99)111/FINAL"

      37 Dahl, Carol, "Analysing Gasoline Demand Elasticities: A Survey" 13 (13): 203-210, 1991

      38 Pesaran, M. H., "An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ing approach to cointegration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9 M. Hashem Pesaran, "An Autoregressive Distributed‐Lag Modelling Approach to Cointegration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40 Bentzen, Jan, "A Revival of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in Estimation Energy Demand Relationship" 26 : 45-55,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03-02 통합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