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30891
광주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 2010. 2
2010
한국어
158.3 판사항(22)
광주
ⅲ, 59 p. : 도표 ; 26 cm.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오수성
참고문헌 : p. 30-3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
본 연구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한 전남 지역 G읍에 위치한 G여자 중학교 3학년 여학생 28명을 무선 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4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1회 50분씩 8회에 걸쳐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중생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중생의 학교적응 점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자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