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탈춤의 전통과 아름다움 재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373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탈춤의 전통론과 미학론의 한계는 네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하나는 외국이론의 적용, 둘은 외래문화 전래설, 셋은 요소적 해석, 넷은 문헌기록 중심 연구이다. 이러한 한계는 공교롭...

      한국 탈춤의 전통론과 미학론의 한계는 네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하나는 외국이론의 적용, 둘은 외래문화 전래설, 셋은 요소적 해석, 넷은 문헌기록 중심 연구이다. 이러한 한계는 공교롭게도 모두 전파론에 머물러서, 우리 탈춤이 서구의 카니발이나 몽골 또는 중국 탈춤의 영향으로 성립된 것처럼 해석된다. 그 결과 신라시대 이전부터 자생되었던 탈춤의 역사적 전통과 민족문화의 창조력을 부정하는가 하면, 우리 굿문화에서 비롯된 탈춤을 마치 가톨릭문화나 향리문화, 유목문화에서 비롯된 것처럼 왜곡하고 있다.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문화를 보는 주체적인 시각으로 민족문화의 맥락에서 탈춤 관련 자료들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탈춤이 연행되는 현장상황을 공시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고고학적 발굴자료와 암각화자료, 문헌사료를 두루 검토해 보면, 신석기시대부터 이미 풍농기원의 탈굿이 비롯되어 상고시대의 나라굿, 신라시대의 병굿과 산신굿, 축귀굿 등 오랜 굿문화의 전통 속에서 탈춤이 발성한 사실을 포착할 수 있다.
      탈춤의 연행상황에서도, 공동체굿에서 놀이, 춤, 극으로 발전하면서 탈춤이 형성되었다는 사실이 잘 드러난다. 탈춤의 연행과정을 보면, 굿판에서 시작하여 놀이판, 탈춤판(춤대목+극대목)을 이루며 본격적인 탈춤을 즐기다가, 다시 놀이판으로 나와서 굿판으로 마무리를 짓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낭굿으로 전승하는 공동체탈춤에서는 이러한 연행구조가 모두 살아 있지만, 도시탈춤에서는 굿판이 고사로 변형되었으며, 최근에는 놀이판까지 생략되고 탈춤만 연행하기도 한다. 탈춤에 구경꾼이 자유롭게 개입하여 즉흥적 재창조를 하여 사회체제를 풍자하는 것도 구경꾼이 개입해 온 굿판의 양식과 굿문화의 변혁성에서 비롯된 전통이라 하겠다.
      굿의 주술적 구조기 탈춤의 극적 구조로 이어지는 것처럼, 삶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굿의 변혁성이 예술적 양식으로 발전하여 탈춤의 중요한 극적 갈등을 이룬다. 제의적 갈등을 해결하는 굿의 구조가 시회적인 갈등을 해결하는 극적인 갈등구조로 발전한 것이 탈춤의 형상적 아름다움이자 집단적 신명풀이이며, 굿판의 제의적 반란을 사회체제의 변혁적 반란 수준으로 형상화한 양방향 소통의 풍자극 양식이 곧 탈춤 고유의 연극 미학이다.
      한국탈춤의 전통과 미학을 보여주는 두 축은 신라 후기부터 전승된 궁중의 처용탈춤과 고려 중기부터 전승된 하회탈춤이다. 처용탈춤이 신라 경주, 고려 개성, 조선 한양에서 전승되며 ‘나례도감극’의 구나(驅儺)의식과 관련되어 정적인 궁중미학을 이룬다면, 마을의 서낭굿에서 비롯된 하회탈춤은 별신굿의 오신(娛神)의식에서 민중의 역동적인 난장(communitas)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궁중탈춤이 세련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고급예술의 생산미학이라면, 구경꾼과 더불어 즐기는 민중탈춤의 아름다움은 무규범의 난장미학이자 변혁적 민중미학이며, 상생을 이끌어내는 인간해방의 역동적 신명풀이 수용미학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four problems for the limitation of the theories of tradition and aesthetics of Korean masked dance. First is the application of foreign theory; second being the introduction theory of foreign cultures; third, elemental interpretation and th...

      There are four problems for the limitation of the theories of tradition and aesthetics of Korean masked dance. First is the application of foreign theory; second being the introduction theory of foreign cultures; third, elemental interpretation and the forth being oriented around documented records. Such limitation coincidentally is remained in propagation theory, being interpreted as if Korean masked dance was embodied by influences from Western carnival, Mongolian or Chinese masked dances. As the result, historical tradition and creativity of ethnic culture of masked dance initiated even before Silla era were denied and distorted as if the masked dance originated from Korean gut(exorcism)culture is arose from Catholic culture, native village culture or nomadic cultur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studies, the operations diachronically observing masked dance related data within the context of ethnic culture and publically analysing the field situation of masked dance execution from subjective point of view of seeing own culture are in need. When throughly examining archeological excavated material, rock painting material and documented historical materials, the facts that masked gut praying for harvest prayer already being originated from the Neolithic Age; as well as the fact that masked dance happening from the long tradition of gut culture like national gut of remote ages, as well as guts for sickness, mountain god and dispersing evil spirits of Silla era can be captured.
      Even in the execution of masked dance, the fact of community gut developing to game, dance, drama and eventually to masked dance is shown. When the process of masked dance performance was observed, it is appears to begin at gut spot, enjoying the full-scale masked dance forming game spot and masked dance spot(dance stage + drama stage), coming back out to game spot and finish off at gut spot. Although community masked dance, transmitted by local god gut, has such overall performance structure, it was changed to gut spot offering sacrifice to spirits for urban masked dance; and even game spot is omitted nowadays, only performing masked dance. It can also be said that free participation of audience spontaneously recreating masked dance and satirizing social system is originated from the tradition initiated from innovation of gut culture and the form of gut spot where audience have been participating.
      Like incantatory structure of gut connecting to dramatic structure, innovation of gut attempting to solv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life developed to aesthetic form, forming important dramatic conflict of masked dance.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of gut solving ceremonial conflict to dramatic conflict structure solving social conflicts is the formal beauty as well as collective Shinmyngpuri; satirical drama form of two-way communication formalizing ceremonial rebellion of gut spot to the innovative revolution level of social system is own drama aesthetics of masked dance.
      Two pivots showing tradition and aesthetics of Korean masked dance are Cheoyong masked dance of the royal court transmitted from the late Silla era and Hahoe masked dance transmitted from the middle of Goryeo era. While Cheoyong masked dance completes static royal court aesthetics related to Guna ceremony of '나례도감극', by being transmitted from Gyeongju of Silla, Kaesong of Goryeo and to Hanyang of Joseon; Hahoe masked dance driven from local god gut of village shows dynamic communitas aesthetics of the people through Oshin ceremony of byeolshin-gu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beauty of popular masked dance enjoyed with audience is communitas aesthetics of non-norm, innovative popular aesthetics as well as dynamic Shinmyngpuri reception aesthetics of human liberation drawing out lives in coexist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탈춤의 전통과 아름다움을 보는 눈
      • Ⅱ. 탈춤 연구자료를 보는 기존연구의 문제
      • Ⅲ. ‘탈춤’의 아름다움과 ‘가면극’ 또는 ‘면구희’
      • Ⅳ. 탈춤의 전통과 아름다움 연구의 길찾기
      • [국문초록]
      • Ⅰ. 탈춤의 전통과 아름다움을 보는 눈
      • Ⅱ. 탈춤 연구자료를 보는 기존연구의 문제
      • Ⅲ. ‘탈춤’의 아름다움과 ‘가면극’ 또는 ‘면구희’
      • Ⅳ. 탈춤의 전통과 아름다움 연구의 길찾기
      • Ⅴ. 탈춤 전통론과 전래설의 연구방법 재인식
      • Ⅵ. 탈춤의 역사적 기원과 굿문화의 전통
      • Ⅶ. 양방향 소통의 연행원리와 재창조의 아름다움
      • Ⅷ. 탈춤 연행의 순차구조와 굿문화 전통의 자취
      • Ⅸ. 한국 탈춤의 두 전통과 신명풀이 미학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2004

      2 임재해, "한국신화의 주체적 인식과 민족문화의 정체성" 고조선단군학회 17 : 255-328, 2007

      3 李杜鉉, "한국무속과 연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4 송화섭, "한국 암각화의 신앙의례, In 한국의 암각화" 한길사 1996

      5 임세권, "한국 암각화에 나타난 태양신 숭배" 한국암각화학회 1 : 1999

      6 임세권, "한국 선사시대 암각화의 성격"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4

      7 전경욱, "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열화당 1998

      8 임재해, "한 부지런한 영문학자의 의욕과 오류" 출판저널사 153 : 1994

      9 임재해, "하회탈의 조형적 형상성과 미학적 가치, In 하회탈, 그 한국인의 얼굴" 민속원 2005

      10 조동일, "탈춤의 원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2007

      1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2004

      2 임재해, "한국신화의 주체적 인식과 민족문화의 정체성" 고조선단군학회 17 : 255-328, 2007

      3 李杜鉉, "한국무속과 연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4 송화섭, "한국 암각화의 신앙의례, In 한국의 암각화" 한길사 1996

      5 임세권, "한국 암각화에 나타난 태양신 숭배" 한국암각화학회 1 : 1999

      6 임세권, "한국 선사시대 암각화의 성격"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4

      7 전경욱, "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열화당 1998

      8 임재해, "한 부지런한 영문학자의 의욕과 오류" 출판저널사 153 : 1994

      9 임재해, "하회탈의 조형적 형상성과 미학적 가치, In 하회탈, 그 한국인의 얼굴" 민속원 2005

      10 조동일, "탈춤의 원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2007

      11 김욱동, "탈춤의 미학" 현암사 1994

      12 이덕일, "탈춤은 민중예술인가-부패의 근원으로 몰린 향리의 조직적 대응, In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김영사 2004

      13 조동일, "카타르시스 라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1997

      14 이융조, "청원 두루봉 구석기문화 중간보고서" 충북대 박물관 1981

      15 문무병, "제주큰굿의 원형찾기와 전승방안, In 문화유산지킴이운동과 올바른 무형문화전승대안 모색"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08

      16 손보기, "점말 용굴 발굴" 연세대 박물관 1980

      17 조만호, "전통희곡의 제식적 미학" 太學社 1995

      18 최봉영, "인문학의 빈곤과 어정쩡한 말의 혁명, In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사무침" 푸른사상 2008

      19 전호태, "울주 대곡리․천전리 암각화, In 한국의 암각화" 한국역사민속학회 1996

      20 조동일, "우리말로 철학하기의 세계사적 과업, In 인문학문의 사명"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21 조동일, "우리말로 창조하는 철학, In 세계․지방화시대의 한국학 6-비교연구의 방법" 계명대학교출판부 2007

      22 임재해, "우리말로 문화 읽기가 필요한 몇 가지 이유, In 우리말로 학문하기 2008년 여름말나눔 잔치"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2008

      23 임재해, "왜 지금 겨레문화의 뿌리를 주목하는가" 비교민속학회 31 (31): 183-241, 2006

      24 임효재, "오산리유적" 서울대학박물관 1984

      25 정상박, "오광대와 들놀음 연구" 집문당 1986

      26 니콜 아브릴, "얼굴의 역사" 작가정신 2001

      27 임재해, "신라 금관의 기원을 밝힌다" 지식산업사 2008

      28 쿠르트 작스, "세계무용사" 풀빛 1983

      29 전경욱, "반인의 다양한 활동과 본산대놀이의 전승, In 한국 가면극과 그 주변문화" 도서출판 월인 2007

      30 임재해, "민속신앙의 비교연구와 민족문화의 정체성" 비교민속학회 34 (34): 539-596, 2007

      31 임재해, "민속문화를 읽는 열쇠말" 민속원 2004

      32 임재해, "미학 없는 ‘탈춤의 미학’과 식민담론의 정체-김욱동의 탈춤의 미학 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 (겨울) : 1994

      33 크네히트 페터, "문화 전파주의, In 문화를 보는 열다섯이론" 인간사랑 1987

      34 김정배, "동북아 속의 한국의 암각화" 한국사연구회 (특집) : 1997

      35 이융조, "대청댐 소물지구유적발굴보고서" 충북대학 박물관 1979

      36 임재해, "남북한 꼭두각시놀음의 전승양상과 해석의 비교연구" 韓國 口碑文學會 3 : 1996

      37 李勛相, "기왕의 통설만 반복재생산하는 게 능사인가" 출판저널사 155 : 1994

      38 임재해, "굿의 주술성과 변혁성" 比較民俗學會 9 : 1992

      39 배영동, "고려시대 하회탈이 제작된 시기와 배경, In 고려시대의 안동" 예문서원 2006

      40 전경욱, "가면극과 그 놀이꾼의 역사적 전개" 고전희곡학회 1 : 2000

      41 黃仁德, "黃倡舞 硏究-黃倡의 由來문제를 中心으로" 韓國民俗學會 20 : 1987

      42 李杜鉉, "韓國의 假面劇" 一志社 1979

      43 李杜鉉, "韓國假面劇" 文化財管理局 1969

      44 金學鉉, "能" 열화당 1991

      45 한병삼, "矢島貝塚, In 국립박물관 고적조사보고 8" 1970

      46 沈雨晟, "男寺黨牌硏究" 同和出版公社 1974

      47 金學鉉, "狂言" 열화당 1991

      48 金學鉉, "歌舞伎" 열화당 1997

      49 李勛相, "朝鮮後期의 鄕吏集團과 탈춤의 演行" 江大學校 東亞硏究所 17 : 1989

      50 後藤淑, "日本の古面" 圖書出版 木耳社 1989

      51 장명수, "岩刻畵를 통해서 본 우리 나라 先史人들의 信仰 思惟" 한국암각화학회 (창간) : 1999

      52 秋葉隆, "山臺戱, In 朝鮮民俗誌" 六三書院 1954

      53 呂石基, "山臺假面劇의 화르스적 特性, In 한국문학의 해학" 國際文化財團 1970

      54 吳宖黙, "固城叢鎖錄, In 韓國地方史資料叢書 18" 江出版社 1987

      55 張庚, "中國戱曲通論" 上海文藝出版社 1989

      56 임재해, "“고대에도 한류가 있었다”-민족문화의 정체성 재인식, In 고대에도 한류가 있었다" 지식산업사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0.7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