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중신학과 레비나스 = Minjung Theology and Emmanuel Levin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7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Minjung Theology and Levinas. First, I compared the definitions of Minjung and proletariat in Minjung Theology and Levinas. Minjung theologians generally define Minjung as all those who are polit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marginalized and oppressed, not limited to the proletariat, and in particular, they regard Minjung as the subjects of historical transformation. Levinas defended the spirit of the people and the intellectual’s struggle for the people, and even though Levinas’ “others” were not necessarily the people, through the faces of the “others,” he reveals that the “others” are people such as the stateless, strangers, the poor, proletarians, orphans, widows, and beggars.
      Second, I compared Minjung theology’s Christ and neighbors with Levinas’ neighbors and Christ. What Seo Nam-dong and Levina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both see the face of God(Christ) in the face of their neighbors and hear the words of God(Christ) in the cries of others. Ahn Byung-moo also deals with the Good Samaritan, but like Seo Nam-dong, he does not see the face of Christ in the face of the other. Ahn Byung-moo’s ultimate concern, like Seo Nam-dong, is to find the image of Jesus in the robber, not in the Samaritan.
      Third, I compared Minjung and the Messiah in Minjung theology with Levinas’ Messiah or messianism. Ahn Byung-moo claimed that the Minjung were the Messiah, while Seo Nam-dong did not ontologically identify Jesus and Minjung, but claimed that the Minjung were the Messiah in the sense of fulfilling the remaining sufferings of the Messiah. In Levinas, the person who is responsible for the sufferings of others and the world is the Messiah or messianism. Therefore, Ahn Byeong-moo’s self-transcendent Minjung-Messiah and Seonam-dong’s Minjung-Messiah discourse asserting a messianic role of Minjung can meet Levinas’ messianic discourse. Finally, I showed that Kang won-don’s establishment of Ding theology through a hermeneutical turn of John 1:14 and Levinas’ idea of incarnation as extreme passivity can meet.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Minjung Theology and Levinas. First, I compared the definitions of Minjung and proletariat in Minjung Theology and Levinas. Minjung theologians generally define Minjung as all those who are politically, socially, a...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Minjung Theology and Levinas. First, I compared the definitions of Minjung and proletariat in Minjung Theology and Levinas. Minjung theologians generally define Minjung as all those who are polit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marginalized and oppressed, not limited to the proletariat, and in particular, they regard Minjung as the subjects of historical transformation. Levinas defended the spirit of the people and the intellectual’s struggle for the people, and even though Levinas’ “others” were not necessarily the people, through the faces of the “others,” he reveals that the “others” are people such as the stateless, strangers, the poor, proletarians, orphans, widows, and beggars.
      Second, I compared Minjung theology’s Christ and neighbors with Levinas’ neighbors and Christ. What Seo Nam-dong and Levina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both see the face of God(Christ) in the face of their neighbors and hear the words of God(Christ) in the cries of others. Ahn Byung-moo also deals with the Good Samaritan, but like Seo Nam-dong, he does not see the face of Christ in the face of the other. Ahn Byung-moo’s ultimate concern, like Seo Nam-dong, is to find the image of Jesus in the robber, not in the Samaritan.
      Third, I compared Minjung and the Messiah in Minjung theology with Levinas’ Messiah or messianism. Ahn Byung-moo claimed that the Minjung were the Messiah, while Seo Nam-dong did not ontologically identify Jesus and Minjung, but claimed that the Minjung were the Messiah in the sense of fulfilling the remaining sufferings of the Messiah. In Levinas, the person who is responsible for the sufferings of others and the world is the Messiah or messianism. Therefore, Ahn Byeong-moo’s self-transcendent Minjung-Messiah and Seonam-dong’s Minjung-Messiah discourse asserting a messianic role of Minjung can meet Levinas’ messianic discourse. Finally, I showed that Kang won-don’s establishment of Ding theology through a hermeneutical turn of John 1:14 and Levinas’ idea of incarnation as extreme passivity can me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민중신학과 레비나스를 비교 고찰했다. 첫 번째로, 필자는 민중신학과 레비나스의 민중과 프롤레타리아 개념 정의를 비교 고찰했다. 민중신학자들은 대체로 민중을 프롤레타리아에 국한시키지 않고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소외되고 억압받는 모든 사람들로 정의하며 특히 민중을 역사 변혁적 주체로 상정하고 있다. 레비나스는 민중의 정신과 민중을 향한 지식인의 투쟁을 옹호했고, 비록 레비나스의 타자가 반드시 민중이 아니라 해도 타자의 얼굴을 통해 타자는 무국적자, 이방인, 가난한 자, 프롤레타리아, 고아와 과부, 거지 등 민중임을 밝혔다.
      두 번째로, 필자는 민중신학의 그리스도와 이웃을 레비나스의 이웃 및 그리스도와 비교 고찰했다. 서남동과 레비나스의 공통점은 양자가 이웃의 얼굴에서 신(그리스도)의 얼굴을 보고 타자의 절규에서 신(그리스도)의 말씀을 듣는다는 것이다. 안병무도 선한 사마리아인을 다루지만, 서남동처럼 타자의 얼굴에서 그리스도의 얼굴을 보지는 않는다. 안병무의 궁극적 관심은 서남동처럼 사마리아 사람이 아니라 강도 만난 사람에게서 예수의 이미지를 찾는 데 있다.
      세 번째로, 필자는 민중신학의 민중과 메시아를 레비나스의 메시아 또는 메시아주의와 비교 고찰했다. 안병무는 자기 초월적 민중이 메시아라고 주장했고 서남동은 예수와 민중을 존재론적으로 동일화하지 않았지만, 메시아의 남은 고난을 이루어간다는 의미에서 민중은 메시아라고 주장했다. 레비나스에게서는 타자들의 고통과 세계에 대해 책임적인 사람이 메시아 또는 메시아주의다. 그러므로 안병무의 자기 초월적 민중 메시아나 서남동의 메시아적 역할을 담당하는 민중 메시아 담론은 레비나스의 메시아 담론과 만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강원돈의 요한복음 1장 14절에 대한 해석학적 전회를 통한 물(物)의 신학 정립과 레비나스의 극단적 수동성으로서의 성육신 사상이 만날 수 있음을 밝혔다.
      번역하기

      필자는 민중신학과 레비나스를 비교 고찰했다. 첫 번째로, 필자는 민중신학과 레비나스의 민중과 프롤레타리아 개념 정의를 비교 고찰했다. 민중신학자들은 대체로 민중을 프롤레타리아에 ...

      필자는 민중신학과 레비나스를 비교 고찰했다. 첫 번째로, 필자는 민중신학과 레비나스의 민중과 프롤레타리아 개념 정의를 비교 고찰했다. 민중신학자들은 대체로 민중을 프롤레타리아에 국한시키지 않고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소외되고 억압받는 모든 사람들로 정의하며 특히 민중을 역사 변혁적 주체로 상정하고 있다. 레비나스는 민중의 정신과 민중을 향한 지식인의 투쟁을 옹호했고, 비록 레비나스의 타자가 반드시 민중이 아니라 해도 타자의 얼굴을 통해 타자는 무국적자, 이방인, 가난한 자, 프롤레타리아, 고아와 과부, 거지 등 민중임을 밝혔다.
      두 번째로, 필자는 민중신학의 그리스도와 이웃을 레비나스의 이웃 및 그리스도와 비교 고찰했다. 서남동과 레비나스의 공통점은 양자가 이웃의 얼굴에서 신(그리스도)의 얼굴을 보고 타자의 절규에서 신(그리스도)의 말씀을 듣는다는 것이다. 안병무도 선한 사마리아인을 다루지만, 서남동처럼 타자의 얼굴에서 그리스도의 얼굴을 보지는 않는다. 안병무의 궁극적 관심은 서남동처럼 사마리아 사람이 아니라 강도 만난 사람에게서 예수의 이미지를 찾는 데 있다.
      세 번째로, 필자는 민중신학의 민중과 메시아를 레비나스의 메시아 또는 메시아주의와 비교 고찰했다. 안병무는 자기 초월적 민중이 메시아라고 주장했고 서남동은 예수와 민중을 존재론적으로 동일화하지 않았지만, 메시아의 남은 고난을 이루어간다는 의미에서 민중은 메시아라고 주장했다. 레비나스에게서는 타자들의 고통과 세계에 대해 책임적인 사람이 메시아 또는 메시아주의다. 그러므로 안병무의 자기 초월적 민중 메시아나 서남동의 메시아적 역할을 담당하는 민중 메시아 담론은 레비나스의 메시아 담론과 만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강원돈의 요한복음 1장 14절에 대한 해석학적 전회를 통한 물(物)의 신학 정립과 레비나스의 극단적 수동성으로서의 성육신 사상이 만날 수 있음을 밝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무, "歷史 앞에 民衆과 더불어" 한길사 1986

      2 김용복, "한국민중과 기독교" 형성사 1981

      3 김도형, "타자철학과 해방철학의 만남(1) - 엔리케 두셀의 레비나스" 대동철학회 94 : 31-61, 2021

      4 레비나스, 에마뉘엘, "타자성과 초월" 그린비 2020

      5 강영안, "타인의 얼굴 :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2005

      6 김진호, "죽은 민중의 시대 안병무를 다시 본다" 삼인 1992

      7 임태수, "제2종교개혁을 지향하는 민중신학" 대한기독교서회 2002

      8 서남동, "전환시대의 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986

      9 지젝, 슬라보예, "전체주의가 어쨌다구?" 새물결 2008

      10 레비나스, 에마뉘엘, "전체성과 무한" 그린비 2018

      1 안병무, "歷史 앞에 民衆과 더불어" 한길사 1986

      2 김용복, "한국민중과 기독교" 형성사 1981

      3 김도형, "타자철학과 해방철학의 만남(1) - 엔리케 두셀의 레비나스" 대동철학회 94 : 31-61, 2021

      4 레비나스, 에마뉘엘, "타자성과 초월" 그린비 2020

      5 강영안, "타인의 얼굴 :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2005

      6 김진호, "죽은 민중의 시대 안병무를 다시 본다" 삼인 1992

      7 임태수, "제2종교개혁을 지향하는 민중신학" 대한기독교서회 2002

      8 서남동, "전환시대의 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986

      9 지젝, 슬라보예, "전체주의가 어쨌다구?" 새물결 2008

      10 레비나스, 에마뉘엘, "전체성과 무한" 그린비 2018

      11 김성호, "장공 김재준과 임마누엘 레비나스 - 타자 인식 문제를 중심으로 -" 한신신학연구소 48 (48): 88-116, 2011

      12 레이너드, 케네스, "이웃" 도서출판 b 2010

      13 레비나스, 에마뉘엘, "윤리와 무한 : 필립 네모와의 대화" 다산글방 2000

      14 레비나스, 에마뉘엘, "우리 사이-타자 사유에 관한 에세이" 그린비 2019

      15 김진호, "오클로스와 ‘비참의 현상학’ : 지구화 시대의 민중신학의 과제에 대하여" 16 : 101-118, 2010

      16 한국신학연구소, "예수·민중·민족 : 안병무 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한국신학연구소 1992

      17 박재순, "열린 사회를 위한 민중신학" 한울 1995

      18 안병무, "역사와 해석" 한국신학연구소 1998

      19 안병무, "역사와 민중" 한길사 1993

      20 레비나스, 에마뉘엘, "신, 죽음 그리고 시간" 그린비 2018

      21 죽재 서남동 목사 유고집 편집위원회, "서남동 신학의 이삭줍기" 대한기독교서회 1999

      22 김명수, "민중신학의 현재와 미래 전망" 128 : 25-34, 2005

      23 서남동, "민중신학의 탐구" 한길사 1983

      24 김희헌, "민중신학과 범재신론" 너의오월 2014

      25 안병무, "민중신학 이야기" 한국신학연구소 1991

      26 NCC신학연구위원회, "민중과 한국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82

      27 레비나스, 에마뉘엘, "레비나스와의 대화-에세이와 대담" 두번째테제 2022

      28 조영현,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과 해방철학 비교연구: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중남미연구소 39 (39): 95-128, 2020

      29 강원돈, "다시 민중신학이다" 동연 2010

      30 류장현, "다문화사회의 떠돌이 민중에 대한 신학적 이해" 신학사상연구소 (148) : 41-66, 2010

      31 김희헌, "과정신학의 범재신론 지평에서 본 안병무의 민중 메시아론" 신학사상연구소 (140) : 233-274, 2008

      32 안병무, "공관복음서의 주제" 한국신학연구소 1997

      33 강원돈, "物의 神學-實踐과 唯物論에 굳게 선 神學의 摸索" 한울 1992

      34 Levinas, Emmanuel, "À l'heure des nations" Éditions de Minuit 1988

      35 Levinas, Emmanuel, "Totalité et Infini" Martinus Nijhoff 1961

      36 Peperzak, Adriaan T, "The Cambridge Companion to Levin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7 Ponzio, "Sujet et alterité sur Emmanuel Levinas" L'Harmatton 1996

      38 Levinas, Emmanuel, "Quatre Lectures Talmudiques" de Minuit 1968

      39 Robbins, Jill, "Is it Righteous to be?: Interviews with Emmanuel Levinas"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40 Levinas, Emmanuel, "Entre nous" Grasset 1991

      41 Mayama, Alain, "Emmanuel Levinas' Conceptual Affinities wth Liberation Theology" Peter Lang Publishing 2010

      42 Levinas, Emmanuel, "Du sacré au saint" Éditions de Minuit 1977

      43 Levinas, Emmanuel, "Difficile Liberté" Albin Michel 1976

      44 Levinas, Emmanuel, "Dieu, la mort et le temps" Editions Grasset et Fasquelle 1993

      45 Levinas, Emmanuel, "De Dieu qui vient à l'ideé" Vrin 1982

      46 Levinas, Emmanuel, "Autrement qu'être ou Au-Delà de l'essence" Martinus Nijhoff 1974

      47 한국신학연구소, "1980년대 한국민중신학의 전개" 한국신학연구소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