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년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의 노동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 A Photovoice Study on the Work Experiences of Young Adults Peer Support Workers with Mental Disor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43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의 노동 경험을 당사자의 관점에서 이 해하는 것이다. 동료지원 서비스 제공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청년 동료지원가 7명은 6회기에 걸친 포토보이스 연구에 참여하였고, 집단토의를 거쳐 4개의 대주제(‘동료지원 가의 하는 일과 어려움’, ‘동료지원의 가치’, ‘이상적인 근무지’, ‘동료지원가에게 회복의 의미’)를 직접 선정하였다. 이들은 각 대주제와 관련하여 사진으로 자신의 노동 경험을 표현하였고, 연구자의 주제분석을 통해 총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 들은 동료지원가로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어려움을 경험하였지만, 동료지원의 가치를 상기하면서 근무 환경에 대한 바람을 나타냈으며 회복 의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청년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들을 지원하기 위 한 슈퍼비전 제공, 편안하고 낙인 없는 조직문화 조성, 안정적인 고용과 역량 강화를 지 원하는 체계의 마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의 노동 경험을 당사자의 관점에서 이 해하는 것이다. 동료지원 서비스 제공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청년 동료지원가 7명은 6회기에 걸친 포토...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의 노동 경험을 당사자의 관점에서 이 해하는 것이다. 동료지원 서비스 제공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청년 동료지원가 7명은 6회기에 걸친 포토보이스 연구에 참여하였고, 집단토의를 거쳐 4개의 대주제(‘동료지원 가의 하는 일과 어려움’, ‘동료지원의 가치’, ‘이상적인 근무지’, ‘동료지원가에게 회복의 의미’)를 직접 선정하였다. 이들은 각 대주제와 관련하여 사진으로 자신의 노동 경험을 표현하였고, 연구자의 주제분석을 통해 총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 들은 동료지원가로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어려움을 경험하였지만, 동료지원의 가치를 상기하면서 근무 환경에 대한 바람을 나타냈으며 회복 의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청년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들을 지원하기 위 한 슈퍼비전 제공, 편안하고 낙인 없는 조직문화 조성, 안정적인 고용과 역량 강화를 지 원하는 체계의 마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work experiences of young adult peer support workers with mental disorders from their perspectives. Seven young workers at organizations providing peer support services participated in six sessions of photovoice and selected four themes (work and challenges of providing peer support, value of peer support, ideal place of workplace, and meaning of recovery to peer support workers) through group discussions. They expressed their work experiences through photographs relative to each theme, and 19 subthemes emerged through thematic analysi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hallenges at individual and social level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various tasks as peer support workers, but they expressed their desires for their workplace environment, the value they found in providing peer support, and how the meaning of recovery changed based on their work. Study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provide supervision, develop a comfortable organizational culture without stigma, and prepare a system that promotes stable employment and capacity building for young adult peer support workers with mental disorder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work experiences of young adult peer support workers with mental disorders from their perspectives. Seven young workers at organizations providing peer support services participated in six sessions of photovoice and selected fo...

      This study explored the work experiences of young adult peer support workers with mental disorders from their perspectives. Seven young workers at organizations providing peer support services participated in six sessions of photovoice and selected four themes (work and challenges of providing peer support, value of peer support, ideal place of workplace, and meaning of recovery to peer support workers) through group discussions. They expressed their work experiences through photographs relative to each theme, and 19 subthemes emerged through thematic analysi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hallenges at individual and social level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various tasks as peer support workers, but they expressed their desires for their workplace environment, the value they found in providing peer support, and how the meaning of recovery changed based on their work. Study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provide supervision, develop a comfortable organizational culture without stigma, and prepare a system that promotes stable employment and capacity building for young adult peer support workers with mental disorde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