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부부처 연계형’ 특성화고 성과 진단 = Analysis on Outcom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ported by Government Minist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37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n Performanc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with six area(operation system, reorganization of operating system, curriculum which reflect latest industrial trend, teacher's specialized awareness, career guidance, performance management). To achieve the purpose, performed survey, analysis on performance report written by Government Ministries,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s of Analysis, Generally Performance was high. But, there are problems likes lack of; collaboration among the participation, employment the teacher who has specialized awareness, presentation of a carrier path for the student and reinforcement the carrier guidance, preparation of a performance management which is considering both operation model and stage of growth.
      suggestions for realizing the these strategies were presented;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eed to play a role as a supporter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nd discover the new industry area for foster the human resource. Government Ministries were expand their support. and all of member in each schools should be endeavor to gain expected resul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n Performanc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with six area(operation system, reorganization of operating system, curriculum which reflect latest industrial trend,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n Performanc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with six area(operation system, reorganization of operating system, curriculum which reflect latest industrial trend, teacher's specialized awareness, career guidance, performance management). To achieve the purpose, performed survey, analysis on performance report written by Government Ministries,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s of Analysis, Generally Performance was high. But, there are problems likes lack of; collaboration among the participation, employment the teacher who has specialized awareness, presentation of a carrier path for the student and reinforcement the carrier guidance, preparation of a performance management which is considering both operation model and stage of growth.
      suggestions for realizing the these strategies were presented;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eed to play a role as a supporter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nd discover the new industry area for foster the human resource. Government Ministries were expand their support. and all of member in each schools should be endeavor to gain expected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아닌 인력 수요 부처가 고교에 재정을 직접 투입하는 특성화고 육성사업의 성과를 진단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한 성과진단 틀은 연구진이 문헌고찰 및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서 개발되었는데, 성과진단 영역은 전체적인 사업 운영 시스템, 특성화 교육체제 개편 현장중심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교원 역량 강화, 학생 성장경로 및 진로지도, 사업 성과관리의 다섯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성과 진단에 활용된 자료는 단위학교 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부처별 성과평가 자료, 교육과학기술부, 지원부처, 사업전담기관, 지원 대상 특성화고 및 시도교육청의 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부처 연계형 특성화고 육성 사업의 성과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일부 부처 사업의 경우, 사업 주체 간의 연계성이 미흡하였다. 특성화고 운영체제는 대체로 특성화 방향설정, 학교전체 특성화 전환 등이 안정적으로 이루지고 있었다.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은 특성화 방향에 맞춰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산업체 요구 반영, 현장실습 운영 등은 미흡하였다. 교원 역량은 산업현장에 대한 전문성 확보 노력이 미흡하였으며, 산학겸임교원의 특성화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현장성 있는 내용 전달에 어려움이 있었다. 학생 성장경로는 세부적인 정보 제공이나 안내가 미흡하였으며 맞춤식 진로지도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성과관리는 학교 발달 단계를 고려한 맞춤형 성과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가 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한 제언으로 교육과학기술부는 지속적인 행·재정적 지원과 신규 지원 분야를 발굴하고, 지원부처는 지원 대상 분야 및 학교 확대, 부처 및 학교 특성에 맞는 지원을 하며, 시도교육청은 행·재정지원, 단위학교 장학 지원을 하며, 단위학교에서는 부처의 인력 양성 방향에 맞는 독자적인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아닌 인력 수요 부처가 고교에 재정을 직접 투입하는 특성화고 육성사업의 성과를 진단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한 성과진단 틀은 연구진이 문헌고찰 및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아닌 인력 수요 부처가 고교에 재정을 직접 투입하는 특성화고 육성사업의 성과를 진단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한 성과진단 틀은 연구진이 문헌고찰 및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서 개발되었는데, 성과진단 영역은 전체적인 사업 운영 시스템, 특성화 교육체제 개편 현장중심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교원 역량 강화, 학생 성장경로 및 진로지도, 사업 성과관리의 다섯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성과 진단에 활용된 자료는 단위학교 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부처별 성과평가 자료, 교육과학기술부, 지원부처, 사업전담기관, 지원 대상 특성화고 및 시도교육청의 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부처 연계형 특성화고 육성 사업의 성과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일부 부처 사업의 경우, 사업 주체 간의 연계성이 미흡하였다. 특성화고 운영체제는 대체로 특성화 방향설정, 학교전체 특성화 전환 등이 안정적으로 이루지고 있었다.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은 특성화 방향에 맞춰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산업체 요구 반영, 현장실습 운영 등은 미흡하였다. 교원 역량은 산업현장에 대한 전문성 확보 노력이 미흡하였으며, 산학겸임교원의 특성화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현장성 있는 내용 전달에 어려움이 있었다. 학생 성장경로는 세부적인 정보 제공이나 안내가 미흡하였으며 맞춤식 진로지도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성과관리는 학교 발달 단계를 고려한 맞춤형 성과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가 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한 제언으로 교육과학기술부는 지속적인 행·재정적 지원과 신규 지원 분야를 발굴하고, 지원부처는 지원 대상 분야 및 학교 확대, 부처 및 학교 특성에 맞는 지원을 하며, 시도교육청은 행·재정지원, 단위학교 장학 지원을 하며, 단위학교에서는 부처의 인력 양성 방향에 맞는 독자적인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인적지원부, "희망을 실현하는 실업계고 육성전략" 2007

      2 나승일, "특성화 전문계고 장기발전모형 개발 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2 (42): 25-44, 2010

      3 나승일, "특성화 전문계고 장기발전모형 개발 및 성과관리방안 연구" 서울: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09

      4 정철영, "특성화 전문계고 1:1 맞춤형 컨설팅 결과보고서(64개교)" 교육과학기술부, 노동부, 중소기업청,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09

      5 송달용, "특성화 고등학교 성과분석 및 운영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6 나승일, "정부부처 위탁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7 장은정, "원격대학 성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3 (23): 67-104, 2007

      8 강경종, "산업자원부의 특성화 고등학교 참여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9 이병욱, "발명특허 특성화고 운영 방안" 대전:특허청 2007

      10 박동열, "국방부 위탁 특성화 고교 선정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 교육인적지원부, "희망을 실현하는 실업계고 육성전략" 2007

      2 나승일, "특성화 전문계고 장기발전모형 개발 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2 (42): 25-44, 2010

      3 나승일, "특성화 전문계고 장기발전모형 개발 및 성과관리방안 연구" 서울: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09

      4 정철영, "특성화 전문계고 1:1 맞춤형 컨설팅 결과보고서(64개교)" 교육과학기술부, 노동부, 중소기업청,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09

      5 송달용, "특성화 고등학교 성과분석 및 운영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6 나승일, "정부부처 위탁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7 장은정, "원격대학 성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3 (23): 67-104, 2007

      8 강경종, "산업자원부의 특성화 고등학교 참여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9 이병욱, "발명특허 특성화고 운영 방안" 대전:특허청 2007

      10 박동열, "국방부 위탁 특성화 고교 선정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1 나승일, "광주광역시 전문계 고등학교 특성화 및 종합발전방안" 광주광역시교육청 2007

      12 관계부처 합동,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방안"

      13 나승일, "고교단계 직업교육체제 혁신지원-정부부처 특성화고 활성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0

      14 Astin,A, "Assessment for excellent: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 education" MacMillan 1991

      15 Schmitz,C.C, "Assessing the validity of higher education indicators" 64 (64): 503-521, 1993

      16 특허청, "2010년도 특성화고 운영 계획서" 대전:저자 2010

      17 한국발명진흥회, "2009년 발명·특허 특성화고 지원사업 결과보고"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