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출산력조사를 통해 본 일본의 인구정치, 1940~1950년대 = ‘Population Politics’ in Japan, 1940s-1950s: Focused on the Meaning of a Fertility Surv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39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focused on a fertility survey, aims at tracing the trajectory of the demographic discourse of Japan in the 1940s and 1950s to understand its political meaning. At that time, the frame for considering the population in Japan rapidly chang...

      This article, focused on a fertility survey, aims at tracing the trajectory of the demographic discourse of Japan in the 1940s and 1950s to understand its political meaning. At that time, the frame for considering the population in Japan rapidly changed from the “surplus population theory” to the “population-decrease society and population-resource theory” and to the “birth control theory.” Although the problem of surplus population in rural communities was a serious one, Japan’s state attempted to resolve the problem with industrialization and immigration policies until the 1930s. However, at the time the Japanese government did not consider birth control as an alternative. Here, there was a concept of population of ‘total war system’ that manpower was recognized as material resources. At the same time, it was thought that the shift to a “population-decease society” witnessed in Europe factored into the weakening of national power, and Japanese government recognize it as a bad exampl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ducted the fertility survey (1940) and examined the conditions of fertility by city, rural areas, and by occupation. The “Population Policy Establishment Guidelines” (1941), which set the growth of the Japanese population as the core issue, was established based on this fertility survey. However, during the occupation of GHQ/SCAP, Japanese society was caught in a trap of unemployment and poverty due to population return to the continent and the baby boom. Birth control also became a direct means of solving this problem. Furthermore, birth control was interpreted as the virtue of democratic and rational subjects, which guaranteed the quality of the population and determines the size of a reasonable family. The U.S. private foundation, for example, the Rockefeller Foundation played a critical role in changing this kind of population discourse by supporting the research expenses required for a fertility survey of Japanese demographers and expanding intellectual exchang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ways an obsession with pure-breddedness and overwhelmingness of the Japanese national population. Prior to 1945, the results of Japan’s fertility surve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hina, the Soviet Union and India, being consumed as a way to stimulate the security crisis. There was also a serious sense of crisis about the high fertility of the colonial people. This tendency led to an attempt to expel minority group by Japan’s government since 1945. The historical cycle of the Japanese population, which resulted in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today, needs to be reviewe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population discour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40-50년대 일본의 출산력조사를 중심으로 인구담론의 궤적을 추적하고 그 정치적 의미를 파악한 것이다. 이 시기 일본에서 인구를 바라보는 프레임은 “과잉인구론” → “인구감...

      이 글은 1940-50년대 일본의 출산력조사를 중심으로 인구담론의 궤적을 추적하고 그 정치적 의미를 파악한 것이다. 이 시기 일본에서 인구를 바라보는 프레임은 “과잉인구론” → “인구감소사회론/자원인구론” → “산아제한론”으로 급격히 변화해갔다. 1930년대까지 농촌의 과잉인구 문제는 심각했고, 일본 국가는 이 문제를 산업화와 해외이민을 통해 해결하려 했다. 그런데 당시 일본정부는 산아제한을 대안으로 상정하지 않았다. 여기에는 인구를 물질적 자원으로 파악하는, 제1차 세계대전 이래 ‘총력전시대’의 관념이 존재했다. 또, 당시 유럽에서 목격되는 인구감소사회로의 전환이 국가의 힘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이를 반면교사로 삼으려 했다. 1940년에 후생성은 출산력조사를 통해 도농별, 직업별 출산력의 양태를 관찰했다. 일본인구의 증식을 핵심의제로 삼는 《인구정책확립요강》(1941)은 이 출산력조사를 근거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GHQ/SCAP의 점령기 동안 일본의 인구담론은 출산조절을 통한 인구억제로 급격히 전환되었다. 패전 이후 일본사회는 대륙으로부터 귀환한 인구와 베이비붐으로 인해 실업과 빈곤의 함정에 빠졌고, 산아제한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직접적인 수단으로 부상하였다. 나아가 산아제한은 인구의 질을 담보하면서 합리적인 가족의 크기를 결정하는 시민주체의 덕성으로서 의미화되었다. 록펠러재단을 필두로 한 미국의 민간재단은 일본 인구학자들의 출산력조사에 소요되는 연구비를 지원하고 연구자 교류를 확대함으로써 이러한 인구담론의 전환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한편, 일본의 인구담론에는 늘 일본 민족인구의 순혈성과 압도성에 대한 집착이 존재했다. 1945년 이전, 일본의 출산력조사의 결과물은 중국, 소련, 인도의 출산력과의 비교를 거쳐 안보위기를 자극하는 방식으로 소비되었다. 피식민지 민족인구의 높은 출산력에 대한 위기감도 심각했다. 이러한 경향은 1945년 이후 일본 국가의 마이너리티 인구에 대한 방출의 시도로 이어졌다. 과잉인구사회로부터 저출산고령화사회로 이어진 일본 인구의 거대한 생애사적 순환은 ‘인구담론/표상의 정치적 구성’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다시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荻野美穂, "「家族計画」への道: 近代日本の生殖をめぐる政治" 岩波書店 2008

      2 김인수, "총력전기 식민지 조선의 인류(人流)와 물류(物流)의 표상정치" 인문과학연구소 (47) : 85-127, 2016

      3 이정선, "전시체제기 일제의 총동원정책과 ‘內鮮混血’ 문제" 역사문제연구소 17 (17): 217-255, 2013

      4 김인수, "재일한인 인구 및 실업 통계의 정치적 의미, 1945~1955" 한국사회사학회 (113) : 127-159, 2017

      5 소현숙, "일제시기 출산통제담론 연구" 38 : 2000

      6 오구마, 에이지, "일본 단일민족신화의 기원" 소명출판 2003

      7 권태환, "인구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8 한국인구학회, "인구대사전" 통계청 2006

      9 박명규, "식민권력과 통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10 후지메, 유키, "성의 역사학: 근대국가는 성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삼인 2004

      1 荻野美穂, "「家族計画」への道: 近代日本の生殖をめぐる政治" 岩波書店 2008

      2 김인수, "총력전기 식민지 조선의 인류(人流)와 물류(物流)의 표상정치" 인문과학연구소 (47) : 85-127, 2016

      3 이정선, "전시체제기 일제의 총동원정책과 ‘內鮮混血’ 문제" 역사문제연구소 17 (17): 217-255, 2013

      4 김인수, "재일한인 인구 및 실업 통계의 정치적 의미, 1945~1955" 한국사회사학회 (113) : 127-159, 2017

      5 소현숙, "일제시기 출산통제담론 연구" 38 : 2000

      6 오구마, 에이지, "일본 단일민족신화의 기원" 소명출판 2003

      7 권태환, "인구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8 한국인구학회, "인구대사전" 통계청 2006

      9 박명규, "식민권력과 통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10 후지메, 유키, "성의 역사학: 근대국가는 성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삼인 2004

      11 김인수,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50년사, 1965-2015" 한울 2015

      12 朝鮮總督官房調査課, "都市出産力調査結果報告(第一報)" 15 (15): 1944

      13 朝鮮總督官房調査課, "農村出産力調査結果報告(第一報)" 15 (15): 1944

      14 本多龍雄, "調査硏究: 差別出産力について" 68 : 1957

      15 篠崎信男, "産児制限実態調査結果の概要" 5 (5): 1948

      16 国立社会保障, "現代日本の結婚と出産" 2017

      17 雪山慶正, "朝鮮における農業人口の性格" 厚生省人口問題硏究所 4 (4): 1943

      18 足立泰紀, "日本帝国圈の農林資源開発: ‘資源化’と総力戦体制の東アジア"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3

      19 伊達雄高, "日本の出生率低下の要因分析" 内閣府経済社会総合研究所 2004

      20 高澤涥夫, "戦時下の日本:昭和前期の歴史社会学" 行路社 1992

      21 杉田菜穗, "戦前日本における人口問題と社会政策: 書評に応える" 14 (14): 2013

      22 梅森直之, "宇垣一成とその時代: 大正·昭和前期の軍部·政党·官僚" 新評論 1999

      23 厚生省人口問題硏究所, "國土計劃資料2: 文化程度ト人口增殖力トノ關係ニ關スル一資料"

      24 佐藤正廣, "國勢調査と近代日本" 岩波書店 2002

      25 厚生省予防局, "国民優生図解" 1941

      26 岡崎文規, "出産力調査結果の概説" 1 (1): 1940

      27 舘稔, "人口問題説話" 汎洋社 1943

      28 厚生省人口問題硏究所, "人口問題硏究(機關紙)"

      29 Homei, Aya, "The Science of Population and Birth Control in Post-War Japan" Routledge 2016

      30 Latham, Michael E., "The Right Kind of Revolu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2011

      31 Huang, Yu-ling, "The Population Council and Population Control in Postwar East Asia" The Rockefeller Foundation

      32 Thompson, Warren S., "The Need for a Population Policy in Japan" 15 (15): 1950

      33 Davis, Kingsley, "Social Structure and Fertility: An Analytic Framework" 4 : 1956

      34 Balfour, Marshall, "Public Health and Demography in the Far East: Report of a Survey Trip, September 13 - December 13, 1948" The Rockefeller Foundation 1950

      35 Oakley, Deborah, "American-Japanese Interaction in the Development of Population Policy in Japan" 4 (4): 1978

      36 Förster, Stig, "A World at Total War: Global Conflict and the Politics of Destruction, 1937~194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7 조정우, "1930년대 제국일본의 식민지 인구 재배치와 선만척식회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1 1.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