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l polymer electrolyte-based lithium ion battery using a radiation techn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7291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2020]

      • 학위논문사항

        Thesis(M.A.)-- 서강대학교 대학원 : 화학과,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영어

      • DDC

        54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한민국

      • 형태사항

        iv, 26 p. : ill., charts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관우.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 UCI식별코드

        I804:11029-00000006478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the in situ formation of poly(vinylpyrrolidone based gel polymer electrolyte (PVP-GPE) inside LIB cell was studied by quicker and more efficient electron beam irradiation. For this purpose, a radiation sensitive GPE precursor solution was prepared by mixing VP as a monomer, PD as a crosslinker with a commercial liquid electrolyte, and gel behavior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were performed at various irradiation doses. The analytical results revealed that PVP-GPE was created by EB irradiation at the absorbed dose of 1 kGy (corresponding to th e irradiation duration of 3 seconds). The PVP-GPE-1 exhibited a gel fraction of 97%, good thermal stability, good electrochemical stable voltage window (2.0 ~ 4.7 V), and good ion conductivity. As a result, the in situ formation of PVP-GPE-1-based coin-type LIB cell showed the initial discharge capacity of 133 mAh/g, and its capacity retention at the cycle number of 50 was 69%, quite comparable to that with a liquid electrolyte (135 mAh/g and 72%).
      번역하기

      In this research, the in situ formation of poly(vinylpyrrolidone based gel polymer electrolyte (PVP-GPE) inside LIB cell was studied by quicker and more efficient electron beam irradiation. For this purpose, a radiation sensitive GPE precursor solutio...

      In this research, the in situ formation of poly(vinylpyrrolidone based gel polymer electrolyte (PVP-GPE) inside LIB cell was studied by quicker and more efficient electron beam irradiation. For this purpose, a radiation sensitive GPE precursor solution was prepared by mixing VP as a monomer, PD as a crosslinker with a commercial liquid electrolyte, and gel behavior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were performed at various irradiation doses. The analytical results revealed that PVP-GPE was created by EB irradiation at the absorbed dose of 1 kGy (corresponding to th e irradiation duration of 3 seconds). The PVP-GPE-1 exhibited a gel fraction of 97%, good thermal stability, good electrochemical stable voltage window (2.0 ~ 4.7 V), and good ion conductivity. As a result, the in situ formation of PVP-GPE-1-based coin-type LIB cell showed the initial discharge capacity of 133 mAh/g, and its capacity retention at the cycle number of 50 was 69%, quite comparable to that with a liquid electrolyte (135 mAh/g and 72%).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상온 방사선가교반응을 이용하여 조립된 전지의 액상전해질을 겔 전환시켜 이차전지를 제조하고 전지의 성능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일정 조성비에서 1-Vinyl-2-Pyrrolidone (VP),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D), 1 M LiClO4 liquid electrolyte를 이용하여 방사선 민감성 전구체 조성물 를 제조하고 다양한 방사선 조사 조건하에 겔 거동 및 전기 화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형성된 겔 전해질의 특성 분석 결과 92 wt% 액상 전해질 을 함유한 겔 전해질 이 성공적으로 제조 되었고 액상전해질과 유사한 수준의 이온 전도도와 4.7 V 까지 전기화학적으로 분해되지 않고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겔 전해질 기반 코인셀 단위전지 적용 성능 평가 결과 방전용량은 상용 액상전해질 기반 단위전지에서 보고되고 있는 수준과 유사한 수준 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상온 방사선가교반응을 이용하여 조립된 전지의 액상전해질을 겔 전환시켜 이차전지를 제조하고 전지의 성능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일정 조성비에서 1-Vinyl-2-Pyrrolidone (VP...

      본 연구에서는 상온 방사선가교반응을 이용하여 조립된 전지의 액상전해질을 겔 전환시켜 이차전지를 제조하고 전지의 성능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일정 조성비에서 1-Vinyl-2-Pyrrolidone (VP),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D), 1 M LiClO4 liquid electrolyte를 이용하여 방사선 민감성 전구체 조성물 를 제조하고 다양한 방사선 조사 조건하에 겔 거동 및 전기 화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형성된 겔 전해질의 특성 분석 결과 92 wt% 액상 전해질 을 함유한 겔 전해질 이 성공적으로 제조 되었고 액상전해질과 유사한 수준의 이온 전도도와 4.7 V 까지 전기화학적으로 분해되지 않고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겔 전해질 기반 코인셀 단위전지 적용 성능 평가 결과 방전용량은 상용 액상전해질 기반 단위전지에서 보고되고 있는 수준과 유사한 수준 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