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학습에 있어 チ·ツ음은 학생들이 발음하기 어려워하는 음이다. 한국어에 정확히 대응되는 음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과거 일본어 학습에서는 チ·ツ음을 어떻게 받아들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30897
2017
Korean
왜학서 ; 중국자료 ; 기리시탄 자료 ; チ·ツ ; 일본어 교육 ; Japanese textbooks ; Chinese data ; Christian data ; チ and ツ ; Japanese education
KCI등재
학술저널
39-52(1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어 학습에 있어 チ·ツ음은 학생들이 발음하기 어려워하는 음이다. 한국어에 정확히 대응되는 음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과거 일본어 학습에서는 チ·ツ음을 어떻게 받아들이�...
일본어 학습에 있어 チ·ツ음은 학생들이 발음하기 어려워하는 음이다. 한국어에 정확히 대응되는 음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과거 일본어 학습에서는 チ·ツ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사용했을까· 15세기에서 18세기의 왜학서에 나타난 한국어 음주를 고찰하고 중국자료, 기리시탄 자료와 비교·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일본어 チ·ツ음은 15세기까지 파찰음화하지 않았고, 17세기 이후에 파찰음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5세기자료에서는 チ는 `디`로, ツ는 `두`로 표기되다가 17세기 이후자료에서는 チ는 `지, 찌, □`, ツ는 `주, 쭈`, `즈, 쯔, □`로 자음이 ㄷ에서 ㅈ으로 파찰음화 되어 나타나는데서 알 수 있었다. 이는 중국자료와 기리시탄 자료에도 나타나는 현상으로 왜학서의 일본어가 당시 일본어의 음운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일본어 チ·ツ음을 한국어로 표기함에 있어 평음(平音) `ㅈ`만을 사용하지 않고 다양하게 표기하고 있는 점, 18세기 이후 자료에서는 모음 부분을 `ㅜ`에서 `ㅡ`로 바꾸어 표기하고 있는 점에서는 당시 조선인들이 일본어를 얼마나 세심하게 관찰하고 자연스럽게 발음하고자 노력했는지 알 수 있었다. 이는 현대 일본어 チ·ツ음 교육에서도 잣대가 되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チ·ツ음의 정확한 발음도 중요하지만, 음운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チ·ツ음을 자연스럽게 구사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 그것이 올바른 チ·ツ음 교육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 시대에 이미 외국어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일본어다운 일본어를 구사하고자 한 점은 현대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panese characters, チ and ツ are difficult to pronounce especially for beginners since, in Korean, there is no exact sound corresponding to them. How were those characters accepted and transcribed in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in 15th to 18th...
Japanese characters, チ and ツ are difficult to pronounce especially for beginners since, in Korean, there is no exact sound corresponding to them. How were those characters accepted and transcribed in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in 15th to 18th century Korea? A comparison with Chinese and Christian data shows results as follows:
Japanese characters, チ and ツ had not turned into affricates till the 15th century. Their sounds became affricates from the 17th century. In the 15th century data, チ was transcribed into `디` and ツ into `두`. Since the 17th century, チ has been transcribed into `지, 찌, □` and ツ into `주, 쭈` or `즈, 쯔, □`. The consonants of チ and ツ were pronounced as affricates such as `ㅈ` from `ㄷ`.
Japanese characters, チ and ツ were transcribed into various Korean sounds not just the ordinary sound `ㅈ` and the vowels have been transcribed from `ㅜ` to `ㅡ` since the 18th century. It shows the Korean people`s efforts to transcribe as faithfully as possible the Japanese sound into the original sound.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for modern Japanese education is that our ancestors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nd made efforts to communicate accurately by speaking Japanes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riginal sounds.
참고문헌 (Reference)
1 劉昌惇, "李朝語辭典" 延世大學校 出版部 1987
2 송민, "李崇寧博士頌壽紀念論叢" 乙酉文化社 3-16, 1968
3 이한섭, "한국인을 위한 알기 쉬운 현대일본어학" 인문사 17-395, 2014
4 정승혜, "조선후기 왜학서 연구" 태학사 21-338, 2003
5 정광, "조선시대의 외국어 교육" 김영사 14-535, 2014
6 이한섭, "일어학 개설" 한신문화사 3-224, 1989
7 김영옥, "왜학서에 나타난 일본어 문자에 대한 一考察" 동아시아일본학회 (28) : 217-232, 2008
8 김영옥, "왜학서에 나타난 어중 · 어미 は행음 표기" 언어정보연구소 (21) : 27-40, 2015
9 김영옥, "왜학서에 나타나는 이단활용동사의 일단화현상" 동아시아일본학회 (51) : 61-76, 2014
10 김영옥, "왜학서에 나타나는 비탁음의 변천" 언어정보연구소 (20) : 5-20, 2015
1 劉昌惇, "李朝語辭典" 延世大學校 出版部 1987
2 송민, "李崇寧博士頌壽紀念論叢" 乙酉文化社 3-16, 1968
3 이한섭, "한국인을 위한 알기 쉬운 현대일본어학" 인문사 17-395, 2014
4 정승혜, "조선후기 왜학서 연구" 태학사 21-338, 2003
5 정광, "조선시대의 외국어 교육" 김영사 14-535, 2014
6 이한섭, "일어학 개설" 한신문화사 3-224, 1989
7 김영옥, "왜학서에 나타난 일본어 문자에 대한 一考察" 동아시아일본학회 (28) : 217-232, 2008
8 김영옥, "왜학서에 나타난 어중 · 어미 は행음 표기" 언어정보연구소 (21) : 27-40, 2015
9 김영옥, "왜학서에 나타나는 이단활용동사의 일단화현상" 동아시아일본학회 (51) : 61-76, 2014
10 김영옥, "왜학서에 나타나는 비탁음의 변천" 언어정보연구소 (20) : 5-20, 2015
11 김영옥, "왜학서 학습서류의 공통 어휘에 대하여" 한국일본어학회 (22) : 109-121, 2008
12 김영옥, "왜학서 사전류의 공통 어휘에 대한 一考察" 동아시아일본학회 (25) : 37-49, 2008
13 정광, "역학서연구" J&C 8-655, 2002
14 土井忠生, "邦譯 日葡辭書" 岩波書店 1980
15 이태영, "譯註 捷解新語" 太學社 3-659, 1997
16 外山映次, "講座 國語史2 音韻史.文字史" 大修館書店 173-268, 1972
17 浜田敦, "續朝鮮資料による日本語硏究" 岩波書店 3-253, 1983
18 이한섭, "梅田博之 敎授 古稀記念 韓日語文學論叢" 태학사 831-849, 2001
19 박진완, "朝鮮資料の新硏究" 京都大學大學院 2005
20 조강희, "朝鮮資料による日本語音聲․音韻の硏究" 제이앤씨 15-357, 2001
21 浜田敦, "朝鮮資料による日本語硏究" 岩波書店 3-324, 1970
22 安田章, "朝鮮資料と中世國語" 笠間書院刊 1-435, 1980
23 安田章, "朝鮮語大辭典" 角川書店 30-32, 1986
24 辻星兒, "朝鮮語史における捷解新語" 岡山大學文學部 16 : 1-218, 1997
25 志部昭平, "朝鮮の日本語資料" 至文堂 50 (50): 150-160, 1985
26 室町時代語辭典編輯委員會, "時代別國語大辭典 室町時代編" 小學館 1994
27 한미경, "日本語?育의 관점에서 보는 『捷解新語』" 일본연구소 19 : 273-292, 2002
28 金田一春彦, "日本語百科大辭典" 大修館書店 1990
29 沖森卓也, "日本語史" 櫻楓社 6-195, 1989
30 ロドリゲス, "日本大文典" 三省堂 1955
31 日本大辭典刊行會, "日本國語大辭典" 小學館 1981
32 배석주, "方言集釋의 倭語硏究" 제이앤씨 7-129, 2006
33 李康民, "方言集釋と倭語類解" 京都大學國語學國文學硏究室 61 (61): 35-51, 1992
34 정광, "改修捷解新語 解題․索引․本文" 太學社 5-14, 1991
35 安田章, "改修捷解新語 解題·索引·本文" 太學社 15-37, 1991
36 김영옥, "捷解新語의 韓國語 對譯文에 나타나는 漢字語에 대한 一考察" 한국일본학회 66 (66): 15-26, 2006
37 김영옥, "捷解新語의 韓國語 對譯文에 나타나는 日本語 單語에 대하여" 한국일어일문학회 55 (55): 37-56, 2005
38 조남덕, "捷解新語의 改修分析" 書光學術資料社 5-156, 1994
39 李康民, "捷解新語와 日本語史" 漢陽大學校 日本學會 4 : 13-28, 1996
40 安田章, "捷解新語の重要性" 韓國日本學會 44 : 1-14, 2000
41 神原甚造, "弘治五年活字版朝鮮本伊路波に就いて""弘治五年朝鮮板伊路波"
42 浜田敦, "弘治五年 朝鮮板伊路波 諺文対音攷-国語史の立場から-" 京都大學國語學國文學硏究室 21 (21): 20-32, 1952
43 柳田征司, "室町時代の國語" 東京堂出版 7-112, 1985
44 安田章, "外國資料と中世國語" 三省堂 1-365, 1990
45 小倉進平,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刀江書院 2-455, 1940
46 橋本進吉, "國語音韻の硏究" 岩波書店 15-103, 1950
47 松本宙, "國語學硏究辭典" 明治書院 1983
48 佐藤喜代治, "國語學硏究事典" 明治書院 1983
49 國語學會, "國語學大辭典" 東京堂出版 1981
50 南廣祐, "古語辭典" 一潮閣 1997
51 土井洋一, "倭語類解考" 京都大學國語學國文學硏究室 28 (28): 2-48, 1959
52 兪昌均, "倭語類解 譯音考-國語史의 立場에서-" 韓國語文學會 5 : 135-151, 1959
53 김영옥, "倭學書에 나타나는 語頭 ハ行音에 대하여" 한국일어일문학회 60 (60): 1-14, 2007
54 森田武, "三本對照 捷解新語 釋文․索引․解題篇" 京都大學國文學會 211-272, 1973
55 安田章, "三本對照 捷解新語 釋文·索引·解題篇" 京都大學國文學會 275-337, 1973
56 김방한, "三學譯語․方言集釋考-주로 蒙古語資料에 關하여-" 白山學會 (1) : 91-132, 1966
57 홍윤표, "17세기 국어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사회적 코노테이션 기술의 필요성 -「역인(役人)」「공무원(公務員)」을 예로-
군대용어 `-지 말입니다`에 관한 일고찰 -일본어 종조사에 상응하는 용법을 중심으로-
在韓日本人一世と二世の二言語習得と二言語接觸狀況 - 二言語倂用能力との關わりから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5 | 0.847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