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元代 杭州의 美術品 市場과 新安船의 古器物 = The Yuan Art Market in Hangzhou and Antique Artworks Discovered from the Sinan Shipwreck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antiqu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ceramic wares discovered in the Sinan shipwreck. First, I selected antiques among the findings from Sinan shipwreck, the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ontext...

      This paper focuses on antiqu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ceramic wares discovered in the Sinan shipwreck. First, I selected antiques among the findings from Sinan shipwreck, the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these objects had been loaded, as well as the paths used for transporting them, with reference to the trends of the Hangzhou art market of Yuan (元, 1271~1368) Dynasty China, and to observe how Japanese demand for Chinese ceramics reflected the antiquities found in the Sina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eramics and other antiquities carried in the Sinan vessel,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ncient art market, customers’ tastes and their selections, and the distribution channels.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most of the ancient ceramic items found in the Sinan shipwreck were in small quantities of just one or two pieces each. They are thought to have been purchased at the art market in Hangzhou, rather than having been ordered in advance. They are dated from the end of the Southern Song (南宋, 1127~1279) Dynasty to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 and they display some traces of abrasion due to having be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y had been placed in wooden boxes specially made for these kinds of objects and that they were stored in their own special place for transportation on the Sinan vessel.
      Secondly, the retro trend of the Song (宋, 9601~1279) Dynasty continued well through the early Yuan Dynasty. As society stabilized, the demand for antiques such as paintings, ceramics, bronze works, and jade works had increased in the Hangzhou art market, and counterfeit antiques were also prevalent. The ancient ceramics among the Sinan's cargo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official-ware style ceramics produced in response to the retro trend that prevailed from the late Southern Song Dynasty to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as well as to the vogue for Chinese objects introduced to Japan (唐物趣味) which had spread in Japan during that period.
      Thirdly, it is presumed that there were three routes via which the antique ceramic wares flowed into the Hangzhou art market. Firstly, objects handed down by upper class families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were disbursed into the market as demand for art objects rapidly increased at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when society and politics were stabilizing. Secondly, ceramics that had been buried in dugouts for safekeeping during the wars from Southern Song until the beginning of the Yuan period appeared in the art market in Hangzhou on a large scale, as society and the economy of the Yuan Dynasty were stabilizing. Finally, as the society of Sichuan Province collapsed due to the wars, massive numbers of people were displaced into different regions including Hangzhou, and among them there must have been antique traders selling ceramics.
      Fourthly, several written sources attest to the fact that demand for antiques had been increasing in Japan. Referring to records on Song Dynasty ceramics in Hōjō Sadatoki jū san-kaiki (北條貞時十三回忌, Twelf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Hōjō Sadatoki, 1323) and Butsunichian Kōmotsu mokuroku (佛日庵公物目錄, Catalog of Objects in Butsunichian) from Butsunichian, sub-temple of Engaku-ji Temple (圓覺寺) in Kamakura, written by a Buddhist monk named Hosei (法淸) in 1363,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Japanese people who then frequented Hangzhou were also exposed to the retro trend and the circulation of antiques. And this must have permeated into the lives of the upper classes in Japan. Further study of the selective reception of Japan toward art works in the art market in Hangzhou in the Yuan Dynasty is to be elaborate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신안선에 실린 도자기의 특징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古器物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신안선에 실린 고기물을 선정하고, 이 고기물들이 신안선에 실렸던 배경과 이동경로를 元代 杭州 ...

      본고는 신안선에 실린 도자기의 특징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古器物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신안선에 실린 고기물을 선정하고, 이 고기물들이 신안선에 실렸던 배경과 이동경로를 元代 杭州 미술품 시장의 흐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본의 중국도자기 수요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신안선에 실린 도자기를 비롯한 고기물을 대상으로 당시 고미술품 시장의 역사적 배경과 수요자의 취향과 선택, 그리고 유통경로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성과와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신안선의 고기물 도자기는 사전에 주문 제작한 것이 아니라 대부분 1~2개의 소량으로 발견되었는데, 항저우 미술품 시장의 현장에서 구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시기적으로는 남송 말~원 초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하여 생긴 거친 마모흔이 남아 있었다. 이러한 기물들은 신안선에 선적될 당시 나무상자를 이용하여 특별하게 포장되었으며, 특별한 위치에 배치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송대의 복고풍의 유행은 원 초까지 이어졌다. 사회가 안정되면서부터 항저우의 미술품 시장에는 회화, 도자기, 청동기, 옥기 등 고기물의 수요가 많아졌으며, 고기물을 비롯해서 이전의 미술품을 모방해서 만든 것도 크게 유행하였다. 신안선에 실렸던 고기물 도자기는 당시 일본에서 유행했던 唐物趣味와 함께 중국의 남송 말에서 원초에 일었던 복고풍의 유행으로 생산된 관요풍 도자기의 유행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진다.
      셋째, 이들 고기물이 항저우 미술품 시장으로 유입된 경로는 세 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먼저, 항저우에 거주하던 남송 시기 상류층 집안에서 전해져 내려온 것이 원 초 정치와 사회가 점차 안정을 되찾은 후, 미술품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시장으로 유통된 것이며, 또 하나는 남송 시기부터 원 초까지의 전란을 피해 중국 전역의 움집에 묻혔던 도자기가 원의 사회와 경제가 안정되자 항저우의 미술시장에 대거 등장한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전란으로 인해 쓰촨지역 사회가 붕괴되고 다량의 인구가 항저우를 비롯한 각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것이며, 그 중에는 도자기를 팔았던 古器物常도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
      넷째, 일본에서 고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사실은 여러 문헌자료를 통해 입증이 되고 있 다. 1323년의 『北條貞時十三回忌』와 1363년에 法淸이라는 승려가 작성한 가마쿠라 圓覺寺의 佛日庵의 『佛日庵公物目錄』에 기록된 송대 도자기에 대한 기록을 통해 볼 때 당시 항저우를 자주 왕래하던 일본인들도 중국의 복고풍이나 고기물에 대한 흐름을 분명 체감하였으며 일본 상류층의 생활 속에 깊이 파고들었을 것이다. 원대 항저우 미술시장의 예술품을 대하는 일본의 선택적인 수용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는 향후의 과제로 남겨 놓는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宋·元 時期 杭州 美術品 市場의 흐름
      • Ⅲ. 新安船에 실린 古器物
      • Ⅳ. 杭州의 古器物 流通 經路와 新安船
      • Ⅴ.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宋·元 時期 杭州 美術品 市場의 흐름
      • Ⅲ. 新安船에 실린 古器物
      • Ⅳ. 杭州의 古器物 流通 經路와 新安船
      • Ⅴ.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미, "흙을 빚어 옥을 만들다-용천청자" 부산박물관 199-211, 2011

      2 고미경, "정요연구" 북경대학교 2015

      3 李知宴, "일본 소장의 키누타(Kinuta) 청자" 1977

      4 小池富雄,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국립중앙박물관 280-281, 2016

      5 김영미,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국립중앙박물관 304-, 2016

      6 小池富雄, "신안선의 중국 칠기로 판명된 칠공예사 상의 중요한 지견" 국립중앙박물관 115-116, 2016

      7 김영미, "신안선의 고미술 도자기에 대한 고찰"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14 : 2013

      8 久保智康, "신안선 속의 금속공예" 국립해양유물전시관 273-276, 2007

      9 김호동,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사계절 377-, 2002

      10 국립중앙박물관, "고려시대 향로" 국립중앙박물관 14-16, 2013

      1 김영미, "흙을 빚어 옥을 만들다-용천청자" 부산박물관 199-211, 2011

      2 고미경, "정요연구" 북경대학교 2015

      3 李知宴, "일본 소장의 키누타(Kinuta) 청자" 1977

      4 小池富雄,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국립중앙박물관 280-281, 2016

      5 김영미,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국립중앙박물관 304-, 2016

      6 小池富雄, "신안선의 중국 칠기로 판명된 칠공예사 상의 중요한 지견" 국립중앙박물관 115-116, 2016

      7 김영미, "신안선의 고미술 도자기에 대한 고찰"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14 : 2013

      8 久保智康, "신안선 속의 금속공예" 국립해양유물전시관 273-276, 2007

      9 김호동,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사계절 377-, 2002

      10 국립중앙박물관, "고려시대 향로" 국립중앙박물관 14-16, 2013

      11 國立歷史民俗博物館, "陶磁器の文化史" 大塚巧藝社 79-, 1998

      12 李輝柄, "遂寧窖藏瓷器淺議-兼談成都附近縣市窖藏瓷器" 文物出版社 4 : 1994

      13 京都國立博物館, "日本人と茶-その歷史․その美意識" 74-, 2002

      14 鄭良謨, "新安發見陶磁器の種類と諸問題" 10·11 : 1984

      15 馮先銘, "新安海底沈船引揚げ陶磁器に關聯した問題に對する檢討" 10·11 : 1984

      16 李知宴, "新安海底文物の發見から龍泉窯靑磁の發見を見る" 10·11 : 1984

      17 鄭良謨, "新安海底文物" 國立中央博物館 1977

      18 鄭良謨, "新安海域 陶磁器의 編年的 考察" 1977

      19 橫田賢二郞, "新安沈船と大宰府·博多の貿易陶磁器-森田勉氏の硏究成果によせて-" 9 : 1989

      20 "新世紀萬有文庫" 辽宁敎育出版社 1999

      21 村井章介, "文化は貿易船に乘って-鎌倉時代の日中交流" (410) : 97-,

      22 "封印された南宋陶瓷展圖錄" 朝日新聞社 1998

      23 弓場紀知, "封印された南宋陶器展, 圖錄" 朝日新聞社 113-121, 1998

      24 張帆, "宋韻-四川窖藏文物輯粹" 中國國家博物館 266-, 2006

      25 賈大泉, "宋代四川經濟述論" 四川省社會科學院出版社 265-, 1985

      26 楊仁愷, "國寶沈浮錄" 遼海出版社 1-8, 1999

      27 庄文彬, "四川遂村南宋窖藏" 文物出版社 4-28, 1994

      28 四川省文物管理委員會, "四川省簡陽縣東溪園藝場元墓" 文物出版社 2 : 1987

      29 周密, "唐宋史料筆記叢刊" 中華書局 1988

      30 高立人, "吉州永和窯" 文匯出版社 85-, 2001

      31 張臨生, "古器散論" 臺灣故宮博物院 1-38, 2016

      32 馮先銘, "南朝鮮新安沈船及瓷器問題探討" 1985

      33 周峰, "元明淸名城杭州" 浙江人民出版社 101-102, 1997

      34 葉文程, "中國古陶瓷硏究論文集" 紫禁城出版社 97-106, 1988

      35 余家棟, "中國古陶瓷標本 江西吉州窯" 嶺南美術出版社 46-47, 2002

      36 出川哲郞, "『封人された南宋陶磁展』圖錄" 朝日新聞社 1998

      37 Youn Heena, "Objects of Popular Devotion: Longquan Ceramic Religious Figures during the Song-Yuan-Ming Period" SOAS, University of London

      38 Ankeny Weitz, "Notes on the Early Yuan Antique Art Market in Hangzhou" 27 : 27-, 1997

      39 Laurence Bergreen, "Marco Polo From Venice to Xanadu" 206-232,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5 0.52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