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자주주총회 개최·운영을 위한 회사법적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8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0년 초부터 전세계를 강타한 COVID-19의 영향으로 비대면이 일상이 된 현실과는 달리 주주총회의 비대면화, 즉 전자주주총회는 여전히 잘 개최·운영되지 않고 답보상태에 있다. 그 이유는 전자주주총회를 개최·운영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시 말해, 전자주주총회를 개최할 수 있는지 여부도 불분명한 상황에서는 기업들이 그 개최·운영에 따른 법적 리스크를 떠안으면서까지 전자주주총회를 개최·운영할 유인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우리나라에서 전자주주총회를 실효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최·운영하기 위한 전제로서 회사법적·실무적 과제가 무엇인지를 모색하였다.
      첫째, 하이브리드형 전자주주총회, 완전형 전자주주총회 모두를 허용하는 근거 조항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전자주주총회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다고 해서 회사가 반드시 ‘전자주주총회만’ 개최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회사가 ‘전자주주총회도’ 선택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 개최·운영 방법에 대한 선택지를 넓혀주는 것뿐이다.
      둘째, 전자주주총회의 사전 정비 사항으로서 어떠한 송수신 방식을 갖추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회사의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회사가 그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정보 전달의 쌍방향성과 즉시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함은 기본이다.
      셋째, 회사가 ‘정보 전달의 쌍방향성과 즉시성’을 충분히 염두에 두고 통신 장애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였음에도 회사의 통제할 수 없는 사유로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주주총회 결의의 유효성이 상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사가 통신 장애에 따른 법적 리스크에 대한 걱정 없이 자유롭게 전자주주총회를 개최·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넷째, 전자주주총회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주주들이 전자주주총회를 반대하는 이유는 주주총회의 비대면성으로 인해 그나마 대면 주주총회장을 통해서 유지할 수 있었던 회사와의 대화가 단절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에 전자주주총회장이야말로 주주총회의 ‘회의체’로서의 기능이 유지·강화되어 ‘언택트(untact)’가 아닌 ‘온택트(ontact)’의 장이 되어야 한다. 주주들이 의사진행 과정에 참여하고 더 나아가 주주총회장이 회사와 주주 사이의 대화의 장이 될 수 있도록, 가상 출석 주주에게도 질문이나 동의를 제출할 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회사는 질문이나 동의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출 뿐만 아니라 질문이나 동의를 자의적으로 처리하는 등의 불공정한 의사진행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자주주총회가 도입된다고 해서 기존의 전자투표, 서면투표제도가 폐지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전자주주총회를 개최·운영하더라도 주주들이 전자투표, 서면투표제도를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주주가 사전에 전자투표, 서면투표를 하고 주주총회 당일 가상 출석을 한 경우, 사전에 행사한 의결권의 효력은 주주가 주주총회 당일 의결권을 행사한 시점에 상실되는 것으로 봄으로써 주주의 진정한 의사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법적 기반을 갖춘 전자주주총회제도를 마련해 줌으로써 달라진 시대와 기업환경에 걸맞는 주주총회가 운영되고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번역하기

      2020년 초부터 전세계를 강타한 COVID-19의 영향으로 비대면이 일상이 된 현실과는 달리 주주총회의 비대면화, 즉 전자주주총회는 여전히 잘 개최·운영되지 않고 답보상태에 있다. 그 이유는 ...

      2020년 초부터 전세계를 강타한 COVID-19의 영향으로 비대면이 일상이 된 현실과는 달리 주주총회의 비대면화, 즉 전자주주총회는 여전히 잘 개최·운영되지 않고 답보상태에 있다. 그 이유는 전자주주총회를 개최·운영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시 말해, 전자주주총회를 개최할 수 있는지 여부도 불분명한 상황에서는 기업들이 그 개최·운영에 따른 법적 리스크를 떠안으면서까지 전자주주총회를 개최·운영할 유인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우리나라에서 전자주주총회를 실효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최·운영하기 위한 전제로서 회사법적·실무적 과제가 무엇인지를 모색하였다.
      첫째, 하이브리드형 전자주주총회, 완전형 전자주주총회 모두를 허용하는 근거 조항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전자주주총회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다고 해서 회사가 반드시 ‘전자주주총회만’ 개최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회사가 ‘전자주주총회도’ 선택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 개최·운영 방법에 대한 선택지를 넓혀주는 것뿐이다.
      둘째, 전자주주총회의 사전 정비 사항으로서 어떠한 송수신 방식을 갖추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회사의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회사가 그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정보 전달의 쌍방향성과 즉시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함은 기본이다.
      셋째, 회사가 ‘정보 전달의 쌍방향성과 즉시성’을 충분히 염두에 두고 통신 장애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였음에도 회사의 통제할 수 없는 사유로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주주총회 결의의 유효성이 상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사가 통신 장애에 따른 법적 리스크에 대한 걱정 없이 자유롭게 전자주주총회를 개최·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넷째, 전자주주총회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주주들이 전자주주총회를 반대하는 이유는 주주총회의 비대면성으로 인해 그나마 대면 주주총회장을 통해서 유지할 수 있었던 회사와의 대화가 단절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에 전자주주총회장이야말로 주주총회의 ‘회의체’로서의 기능이 유지·강화되어 ‘언택트(untact)’가 아닌 ‘온택트(ontact)’의 장이 되어야 한다. 주주들이 의사진행 과정에 참여하고 더 나아가 주주총회장이 회사와 주주 사이의 대화의 장이 될 수 있도록, 가상 출석 주주에게도 질문이나 동의를 제출할 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회사는 질문이나 동의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출 뿐만 아니라 질문이나 동의를 자의적으로 처리하는 등의 불공정한 의사진행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자주주총회가 도입된다고 해서 기존의 전자투표, 서면투표제도가 폐지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전자주주총회를 개최·운영하더라도 주주들이 전자투표, 서면투표제도를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주주가 사전에 전자투표, 서면투표를 하고 주주총회 당일 가상 출석을 한 경우, 사전에 행사한 의결권의 효력은 주주가 주주총회 당일 의결권을 행사한 시점에 상실되는 것으로 봄으로써 주주의 진정한 의사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법적 기반을 갖춘 전자주주총회제도를 마련해 줌으로써 달라진 시대와 기업환경에 걸맞는 주주총회가 운영되고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like the reality that contact-free society has become common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since early 2020, Virtual Shareholder Meetings(VSM) rather than In Person Shareholder Meetings are still not seen well in Korea. This is because there is no legal basis for permitting companies to hold VSM.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what are legally and practically required to permit the VSM and to ensure it to operate efficiently in Korea.
      First, a provision that permit both Hybrid Shareholder Meeting and Virtual-Only Sha reholder Meeting should be stipulated in Korean Commercial Code. This means that companies will have not only In Person Shareholder Meeting but also VSM as one of their options.
      Second, regarding the means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a company and its shareholders at the VSM, the company may choose them according to various circumstances of the company. However, it is essential that ‘interactivity and immediacy of information delivery’ should be ensured.
      Third, even though the company has prepared countermeasures for system problems in advance, if the problems occur, the validity of the resolution of the VSM should be maintained. By doing so, companies can freely hold and operate VSM without worrying about the legal risks of the system problems.
      Fourth, in order to ensure that virtual attendance shareholders as well as actual attendance shareholders can participate in the proceedings at the VSM, companies should give virtual attendance shareholders opportunities to speak and vote in real time during the meeting. In addition, the companies should not only have a system to deal with them, but also try not to be unfair in the process.
      Finally, after voting in writing or electronically in advance, if a shareholder attends a VSM virtually on the day of the meeting, the validity of the voting exercised in advance shall be deemed to be expired at the time when the shareholder vote again on the day of the meeting, so that the true intention of the shareholder shall not be undermined.
      Based on the above, by providing a legal basis for VSM, it is expected that companies will be able to hold and operate shareholder meetings in various ways in accordance with the new era and business environment.
      번역하기

      Unlike the reality that contact-free society has become common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since early 2020, Virtual Shareholder Meetings(VSM) rather than In Person Shareholder Meetings are still not seen well in Korea. This is because ther...

      Unlike the reality that contact-free society has become common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since early 2020, Virtual Shareholder Meetings(VSM) rather than In Person Shareholder Meetings are still not seen well in Korea. This is because there is no legal basis for permitting companies to hold VSM.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what are legally and practically required to permit the VSM and to ensure it to operate efficiently in Korea.
      First, a provision that permit both Hybrid Shareholder Meeting and Virtual-Only Sha reholder Meeting should be stipulated in Korean Commercial Code. This means that companies will have not only In Person Shareholder Meeting but also VSM as one of their options.
      Second, regarding the means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a company and its shareholders at the VSM, the company may choose them according to various circumstances of the company. However, it is essential that ‘interactivity and immediacy of information delivery’ should be ensured.
      Third, even though the company has prepared countermeasures for system problems in advance, if the problems occur, the validity of the resolution of the VSM should be maintained. By doing so, companies can freely hold and operate VSM without worrying about the legal risks of the system problems.
      Fourth, in order to ensure that virtual attendance shareholders as well as actual attendance shareholders can participate in the proceedings at the VSM, companies should give virtual attendance shareholders opportunities to speak and vote in real time during the meeting. In addition, the companies should not only have a system to deal with them, but also try not to be unfair in the process.
      Finally, after voting in writing or electronically in advance, if a shareholder attends a VSM virtually on the day of the meeting, the validity of the voting exercised in advance shall be deemed to be expired at the time when the shareholder vote again on the day of the meeting, so that the true intention of the shareholder shall not be undermined.
      Based on the above, by providing a legal basis for VSM, it is expected that companies will be able to hold and operate shareholder meetings in various ways in accordance with the new era and business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전자주주총회 개관
      • Ⅲ. 일본의 전자주주총회 도입 논의
      • Ⅳ. 우리나라에서의 전자주주총회 개최·운영을 위한 법적·실무적 과제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전자주주총회 개관
      • Ⅲ. 일본의 전자주주총회 도입 논의
      • Ⅳ. 우리나라에서의 전자주주총회 개최·운영을 위한 법적·실무적 과제
      • Ⅴ. 나오며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21

      2 김건식, "회사법" 박영사 2021

      3 윤승영, "코로나19 이후 원격 주주총회 제도화에 대한 소고" 한국기업법학회 34 (34): 89-120, 2020

      4 송홍선, "주총회 활성화를 위한 전자투표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 자본시장연구원 2018

      5 김은경, "주주총회개최의 발전적 방향을 위한 법적 과제-인터넷상의 주주총회를 중심으로-" 한국재산법학회 20 (20): 255-274, 2003

      6 정찬형, "주주총회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한국상사법학회 23 (23): 43-87, 2004

      7 김주영, "주식회사대계Ⅱ" 박영사 2019

      8 김병태, "주식회사대계Ⅱ" 박영사 2019

      9 장영수, "전자투표제도와 전자위임장권유제도의 운영현황과 개선과제" 한국증권법학회 16 (16): 169-202, 2015

      10 홍복기, "전자주주총회 제도의 도입" 한국상사법학회 22 (22): 2003

      1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21

      2 김건식, "회사법" 박영사 2021

      3 윤승영, "코로나19 이후 원격 주주총회 제도화에 대한 소고" 한국기업법학회 34 (34): 89-120, 2020

      4 송홍선, "주총회 활성화를 위한 전자투표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 자본시장연구원 2018

      5 김은경, "주주총회개최의 발전적 방향을 위한 법적 과제-인터넷상의 주주총회를 중심으로-" 한국재산법학회 20 (20): 255-274, 2003

      6 정찬형, "주주총회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한국상사법학회 23 (23): 43-87, 2004

      7 김주영, "주식회사대계Ⅱ" 박영사 2019

      8 김병태, "주식회사대계Ⅱ" 박영사 2019

      9 장영수, "전자투표제도와 전자위임장권유제도의 운영현황과 개선과제" 한국증권법학회 16 (16): 169-202, 2015

      10 홍복기, "전자주주총회 제도의 도입" 한국상사법학회 22 (22): 2003

      11 김순석, "전자주주총회"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8

      12 윤영신, "전자주주주총회에 관한 외국 입법동향과 전자주주총회 도입관련 제도적 정비사항에 관한 연구" 한국상사법학회 35 (35): 65-115, 2016

      13 장영수, "전자위임장권유제도의 도입에 관한 법적 연구" 한국증권법학회 15 (15): 169-202, 2014

      14 박상근, "인터넷과 주주총회" 서울대학교법학연구소 42 (42): 2001

      15 김순석, "온라인ㆍ비대면 환경에서 주주총회 활성화 방안" 법무부 (77) : 1-43, 2017

      16 송옥렬, "상법강의" 홍문사 2021

      17 강병훈,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전자주주총회 허용>"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2018

      18 박철호,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전자주주총회 근거규정 신설 등>"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2020

      19 권종호, "버츄얼주주총회 실현을 위한 법리적 과제 -입법의 방향성에 관한 제언-" 한국기업법학회 19 (19): 111-136, 2005

      20 권용수, "버추얼 주주총회 개최·운영에 관한 쟁점 검토 - 일본 ʻ하이브리드형 버추얼 주주총회 실무 가이드ʼ를 참고로 -" 한국상사법학회 39 (39): 125-159, 2020

      21 정경영, "電子株主總會의 法理에 관한 試論" 한국비교사법학회 12 (12): 453-496, 2005

      22 정쾌영, "株主總會의 電子化에 관한 立法論的 考察" 한국상사법학회 21 (21): 315-345, 2002

      23 三菱UFJ信託銀行株式会社 名古屋証券代行部, "バーチャル株主総会の概要と実務課題について"

      24 奥山健志, "バーチャル株主総会とその実施に際しての留意点-参加型、出席型、産競法改正法案に基づくバーチャルオンリー株主総会-" (444) : 2021

      25 太田洋, "バーチャルオンリー株主総会を解禁する産競法一部改正法案の概要と実務対応(下)" (2260) : 2021

      26 太田洋, "バーチャルオンリー株主総会を解禁する産競法一部改正法案の概要と実務対応(上)" (2259) : 2021

      27 経済産業省, "ハイブリッド型バーチャル株主総会の実施ガイド(別冊)実施事例集"

      28 経済産業省, "ハイブリッド型バーチャル株主総会の実施ガイド"

      29 石川智也, "ドイツ、アメリカのバーチャル株主総会の最新動向と日本への示唆-第1部 ドイツ-" (436) : 2020

      30 辰巳郁, "ドイツ, アメリカのバーチャル株主総会の最新動向と日本への示唆-第2部 アメリカ-" (436) : 2020

      31 太田洋, "わが国上場会社においてバーチャルオンリー株主総会を許容する場合における法的論(上)"

      32 経済産業省, "さらなる対話型株主総会プロセスに向けた中長期課題に関する勉強会とりまとめ(案)-ハイブリッド型バーチャル株主総会に関する論点整理-"

      33 경제개혁연대, "[논평] 국회는 전자주주총회 법적 근거 도입하는 상법 개정안 통과시켜야"

      34 Broadridge, "Virtual shareholder meetings-2020 facts and figures-"

      35 Fairfax, Lisa M., "Virtual Shareholder Meetings Reconsidered" 40 : 2010

      36 "The Best Practices Committee for Shareowner Participation in Virtual Annual Meetings, Principles and Best Practices for Virtual Annual Shareowner Meetings"

      37 Rutgers Center for Corporate Law and Governance, "Report of the 2020Multi-Stakeholder Working Group on Practices for Virtual, Shareholder Meetings"

      38 Balotti, R. Franklin, "Meetings of Stockholders" Wolters Kluwer 2020

      39 American Bar Association, "Handbook for the Conduct of Shareholders’ Meetings"

      40 Freshfields Bruckhaus Deringer, "Germany: The Act on the mitigation of the consequences of the Covid-19 pandemic in the areas of insolvency, civil and criminal procedure law - Main points of interest and preliminary analysis-"

      41 Schilha, Ralph, "Corona Crisis as a Legal Challenge for the Annual General Meeting 2020"

      42 Höreth, "Arbeitshandbuch für die Hauptversammlung" Vahlen 2021

      43 Reichert, "Arbeitshandbuch für die Hauptversammlung" Vahlen 2021

      44 이승희, "2021년 정기주총 전자투표・온라인주주총회 도입 현황" 경제개혁연구소 2021

      45 이승희, "2021년 정기주총 전자주주총회 도입 방안 검토" 경제개혁연구소 2020

      46 이승희, "2021년 정기주총 전자주주총회 도입 방안 검토" 경제개혁연구소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0.84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