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의 설립과 개편 양상 = Aspects of Establishment and Reorganization of Secondary Schools in Jeju Are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0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 설립에 나타난 중등교육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당시 제주는 중등학교의 팽창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역으로 일제시기 정규 중학교가 실업계 학교 2개밖에 없었던데 비해, 1949년 무렵에는 정규 중학교가 10개 가까이 늘어났다. 이는 해방직후 내재된 제주도민의 중등교육 수요가 나타난 것으로 학교 설립 양상을 통해 중등교육의 변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해방직후 제주의 중등학교는 비정규 사설 중학원에서 정규 중학교로의 개편 양상을 띄었다. 1945년 이후 제주 지역 중학원의 급격한 증가는 중등교육의 확대에 대한 지역 사회의 내적 공감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1946년 후반기 이후 제주도 제와 미군정 신학제의 실시로 행정기구가 확대되고 중학원의 제도권화가 진행되었다. 당시 제도권 정규 학교로의 개편은 행정당국에 의한 행정력의 강화뿐 아니라, 해당 학생들에게 중등학교 학력이 상급학교 진학과 취업에 용이하였기 때문이기도 했다. 해방 직후 설립된 다수의 중학원은 점차 제도권 정규 중학교로 개편되어 갔고 이는 제주 지역 중등학교의 기반이 되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 설립에 나타난 중등교육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당시 제주는 중등학교의 팽창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역으로 일제시기 정규 중학교가 실업...

      이 논문은 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 설립에 나타난 중등교육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당시 제주는 중등학교의 팽창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역으로 일제시기 정규 중학교가 실업계 학교 2개밖에 없었던데 비해, 1949년 무렵에는 정규 중학교가 10개 가까이 늘어났다. 이는 해방직후 내재된 제주도민의 중등교육 수요가 나타난 것으로 학교 설립 양상을 통해 중등교육의 변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해방직후 제주의 중등학교는 비정규 사설 중학원에서 정규 중학교로의 개편 양상을 띄었다. 1945년 이후 제주 지역 중학원의 급격한 증가는 중등교육의 확대에 대한 지역 사회의 내적 공감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1946년 후반기 이후 제주도 제와 미군정 신학제의 실시로 행정기구가 확대되고 중학원의 제도권화가 진행되었다. 당시 제도권 정규 학교로의 개편은 행정당국에 의한 행정력의 강화뿐 아니라, 해당 학생들에게 중등학교 학력이 상급학교 진학과 취업에 용이하였기 때문이기도 했다. 해방 직후 설립된 다수의 중학원은 점차 제도권 정규 중학교로 개편되어 갔고 이는 제주 지역 중등학교의 기반이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he aspects of changes in secondary education that appeared in the establishment of secondary schools in Jeju are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t that time, Jeju was a representative region showing the expansion of secondary schoo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ere only two regular middle schools, but by 1949, the number of regular middle schools increased to ten. This indicates that the inherent demand of Jeju-do residents for secondary education surface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the meaning of changes in secondary education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aspects of school establishment.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secondary schools in Jeju showed the aspects of reorganization from non-regular private middle schools to regular middle schools.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middle schools in Jeju area after 1945 was made possible due to the internal sympathy of local community for the expansion of secondary education. After the second half of 1946,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expanded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iddle schools was carried out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Jeju-do provincial system and the U. S. military government’s new school system. At that time, the reorganization of the system into regular schools enabled not only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to strengthen the administrative power, but also made it easy for students with academic background of secondary school to enter into higher education or get a job. Many middle schools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were gradually reorganized into regular middle schools in the system, which became the foundation of secondary schools in Jeju.
      번역하기

      This is a study on the aspects of changes in secondary education that appeared in the establishment of secondary schools in Jeju are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t that time, Jeju was a representative region showing the expansion of secondary schoo...

      This is a study on the aspects of changes in secondary education that appeared in the establishment of secondary schools in Jeju are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t that time, Jeju was a representative region showing the expansion of secondary schoo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ere only two regular middle schools, but by 1949, the number of regular middle schools increased to ten. This indicates that the inherent demand of Jeju-do residents for secondary education surface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the meaning of changes in secondary education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aspects of school establishment.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secondary schools in Jeju showed the aspects of reorganization from non-regular private middle schools to regular middle schools.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middle schools in Jeju area after 1945 was made possible due to the internal sympathy of local community for the expansion of secondary education. After the second half of 1946,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expanded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iddle schools was carried out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Jeju-do provincial system and the U. S. military government’s new school system. At that time, the reorganization of the system into regular schools enabled not only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to strengthen the administrative power, but also made it easy for students with academic background of secondary school to enter into higher education or get a job. Many middle schools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were gradually reorganized into regular middle schools in the system, which became the foundation of secondary schools in Jeju.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1945-1946년 전반기 중학원의 설립
      • Ⅲ. 1946년 후반기 이후의 제도권 정규 학교화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1945-1946년 전반기 중학원의 설립
      • Ⅲ. 1946년 후반기 이후의 제도권 정규 학교화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주신보, "훈도시험실시"

      2 이상일, "해방후~1950년대 초 고등공민학교의 설립과 교육"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3 고창훈, "해방전후사의 인식 4" 한길사 1989

      4 한림중학교 총동창회, "한중 46년사" 1993

      5 한림중학교, "한림중학교 50년사" 1997

      6 한림읍, "한림읍지" 1963

      7 한국중등교육협의회, "한국 중등교육 35년사" 1980

      8 이광호, "한국 교육체제 재편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1945~1955년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1

      9 하도향토지 발간위원회, "하도향토지" 2006

      10 제주신보, "하귀중학기성회 역원 일동, 솔선코 토지15만여평 희사"

      1 제주신보, "훈도시험실시"

      2 이상일, "해방후~1950년대 초 고등공민학교의 설립과 교육"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3 고창훈, "해방전후사의 인식 4" 한길사 1989

      4 한림중학교 총동창회, "한중 46년사" 1993

      5 한림중학교, "한림중학교 50년사" 1997

      6 한림읍, "한림읍지" 1963

      7 한국중등교육협의회, "한국 중등교육 35년사" 1980

      8 이광호, "한국 교육체제 재편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1945~1955년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1

      9 하도향토지 발간위원회, "하도향토지" 2006

      10 제주신보, "하귀중학기성회 역원 일동, 솔선코 토지15만여평 희사"

      11 제주신보, "하귀중학기성회 결성"

      12 제주신보, "하귀중학 건설에, 애월면민들이 궐기"

      13 제주신보, "하귀중학 건설에, 면유지 궐기"

      14 제주신보, "통신기술자 모집"

      15 제주신보, "타이피스트 모집"

      16 제주신보, "초등교사 채용 시험"

      17 제주신보, "중학강의록"

      18 제주신보, "중등교육협회 모금 200만원에 달"

      19 제주신보, "중등교육협회 모금 150만원 돌파"

      20 박정훈, "중등교육론" 진명문화사 1983

      21 오성철, "중등 직업교육에 대한 사회적 선호‧기피 현상의 역사적 변천" 14 : 73-101, 2004

      22 그란트 미드, "주한미군정 연구" 공동체 1993

      23 김찬흡, "제주항일인사실기" 북제주군문화원 2005

      24 김동만, "제주지방건국준비위원회·인민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14 : 191-207, 1991

      25 제주여자고등학교, "제주여고 50년사" 2001

      26 조선일보, "제주여강 졸업식"

      27 김찬흡, "제주애월읍명감" 2012

      28 "제주신성여자초급중학교 설립인가 신청의 건, 『설립 및 폐지』"

      29 제주시, "제주시 30년사" 1985

      30 제주상업고등학교, "제주상고 50년사" 2003

      31 제주도, "제주도지 2" 1994

      32 이영권, "제주도 유력자 집단의 정치사회적 성격 : 1945-1960"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1

      33 동아일보, "제주도 시찰기(하)"

      34 양한권, "제주도 4·3 폭동의 배경에 관한 연구" 5 : 175-254, 1988

      35 제주도 교육위원회, "제주교육사" 1979

      36 제주도 교육청, "제주교육사" 제주도인쇄공업협동조합 1999

      37 고창훈, "제주 민중항쟁의 경제 사회적 해석" (창간) : 1991

      38 양정심, "제주 4·3항쟁 –저항과 아픔의 역사" 한성인쇄 2008

      39 제주4·3평화재단, "제주 4.3사건 추가 진상 조사 보고서" 2020

      40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제주 4.3사건 진상 조사 보고서" 2003

      41 제주농업고등학교, "제농 80년사" 1990

      42 김창후, "재일제주인의 항일운동" 4 : 258-273, 1995

      43 박찬식, "일제하 제주지역의 청년운동" 4 : 81-108, 1995

      44 양진건, "일제하 제주도 학교설립운동" 24 : 31-51, 2004

      45 양진건, "일제하 제주도 초등학교 개설운동" 1 : 31-52, 1992

      46 文昌奎, "일제하 제주도 초등교육기관의 형성에 관한 연구"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47 박찬식, "일제하 제주도 민족해방 주도세력의 성격" (창간) : 1991

      48 정혜정, "일제하 ‘학술강습소’의 문화운동과 샘골학원" 역사와교육학회 (29) : 39-85, 2019

      49 강명숙, "일제시대 학교제도의 체계화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32 (32): 1-23, 2010

      50 강명숙, "일제시대 제1차 조선교육령 제정과 학제 개편" 한국교육사학회 31 (31): 7-34, 2009

      51 허영란, "일제시기 읍·면 협의회와 지역정치 - 1931년 읍•면제 실시를 중심으로 -" 역사문제연구소 18 (18): 135-177, 2014

      52 제주 4·3연구, "이제사 말햄수다 2" 도서출판 한울 1989

      53 제주 4·3연구소, "이제사 말햄수다 1" 도서출판 한울 1989

      54 제주신보, "육군 위생 간부 후보생 모집"

      55 오현고등학교, "오현고 50년사" 2002

      56 제주신보, "여자경찰관 모집"

      57 제주신보, "약동하는 문화전선 교사협회발족"

      58 애월중학교, "애월중 60년사" 2006

      59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원연합회, "애월읍 역사문화지" 2013

      60 신성학원 총동문회, "신성 40년사" 1952

      61 신성학원 총동문회, "신성 100년사" 2009

      62 박철희, "식민지기 한국 중등교육 연구 : 1920~30년대 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63 오성철, "식민지 초등교육의 형성" 교육과학사 2000

      64 안홍선, "식민지 중등교육 체제 형성과 실업교육" 교육과학사 2017

      65 성산수산고등학교총동문회, "성산수고동문 40년" 1994

      66 "성산공립수산초급중학교 설립의 건, 『설립 및 폐지』"

      67 서귀포농업고등학교, "서농 60년사" 1997

      68 서귀포시, "서귀포시지" 1987

      69 제주신보, "생도모집, 조선해양대학"

      70 강명숙, "사립학교의 기원" 학이시습 2015

      71 중문마을회, "불란지야 불싸지라" 1996

      72 북제주군, "북제주군지(하)" 2006

      73 제주신보, "민생문제에 전력경주. 제주도지사 박경훈"

      74 강일국, "미군정기 한국 중등교육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75 정일훈, "미군정기 중등교육정책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6 양진건, "미군정기 제주교육(Ⅰ)" 17 : 143-168, 1997

      77 김녕중학교동창회, "만장" 1976

      78 제주신보, "독학생의 전당근로 청소년의 학교 서울통신대학의 3대강의록"

      79 제주신보, "도청직원 채용시험"

      80 제주신보, "도 교육면 급진적향상. 현“교양” 사범학교 승격. 금년 내 수산학교도 신설! 도총무국장 담"

      81 대정고등학교, "대정고 50년사" 2008

      82 제주 4·3연구, "다시 하귀중학원을 기억하며" 한울아카데미 2003

      83 테어도르 휴즈, "냉전세계질서 속에서의 ‘해방공간’-해방 직후의 남북한 문학" 한국문학연구소 (28) : 3-30, 2005

      84 남제주군, "남제주군지" 1986

      85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원연합회, "남원읍 역사문화지" 2008

      86 박수양, "김녕리 향토지" 1986

      87 제주신보, "기자 모집"

      88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 "근·현대 제주교육 100년사" 경신인쇄사 2011

      89 제주신보, "군악대원 모집"

      90 제주신보, "국방경비대 모병"

      91 제주신보, "교육시설 확충은 긴급. 공중, 신설에 협조하자"

      92 제주신보, "교육문제토의 중, 초등교장회의"

      93 제주신보, "교사회지회장회의"

      94 제주신보, "공업기술 강습생 모집"

      95 제주여자중학교, "건학 60년" 2006

      96 황환상, "美軍政期 韓國 中等敎育의 形成過程에 관한 硏究" 江原大學校 敎育大學院 1987

      97 朴明林, "濟州島 4·3 民衆抗爭에 關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88

      98 李映勳, "日帝下 濟州島의 人口變動에 關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0

      99 제주 4·3연구, "『제주항쟁』 창간호" 실천문학사 1991

      100 강명숙, "6-3-3-4제 단선형 학제 도입의 이념적 성격" 한국교육사학회 26 (26): 7-30, 2004

      101 윤석찬, "4·3이 제주교육에 미친 영향 : 교육시설의 피해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2 제민일보 4·3취재반, "4·3은 말한다 4" 전예원 1997

      103 제민일보 4·3취재반, "4·3은 말한다 1" 전예원 1994

      104 제주특별자치도, "4·3사건 교육계 피해조사 보고서" 2008

      105 김창후, "4·3과 재일제주인" 2010-2014, 2010

      106 제주 4·3연구, "4·3 장정 1" 도서출판 갈무지 1990

      107 제주신보, "2차 교양생 모집중"

      108 이길상, "20세기 한국 교육사" 집문당 2007

      109 김찬흡, "20세기 제주인명사전" 제주문화원 2000

      110 박찬식, "1947년 제주31사건 연구집회와 총파업 주도세력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32) : 255-302, 2006

      111 주익종, "1930년대 중엽 이후 조선인 중등학교의 확충" 24 : 97-137, 1998

      112 강명숙, "1910년대 사립고등보통학교의 설립 인가와 운영" 한국교육사학회 35 (35): 1-2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ju Studies -> Society for Jeju Studies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