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Lazear and Moore(1984,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가 제시한 인센티브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연공임금의 인센티브 효과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노동패널 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51951
2009
-
300
학술저널
5-31(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Lazear and Moore(1984,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가 제시한 인센티브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연공임금의 인센티브 효과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노동패널 1...
본 연구는 Lazear and Moore(1984,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가 제시한 인센티브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연공임금의 인센티브 효과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노동패널 10차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8개 직종별로 임금근로자 및 자영업자의 생애소득 현재가치(P) 및 경력-임금 프로파일의 기울기(S)의 관계를 의미하는 소위 (S-P) 프로파일에 대해 분석을 한 결과, 인센티브 가설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공임금이 근로자에 대한 인센티브 기능을 갖고 있다는 증거라고 판단된다. 이는 향후 기업 임금체계 개선에 있어 연공임금에 대한 균형감 있는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seniority wage has the incentive effect in Korean labor market by testing the incentive hypothesis of Lazear and Moore(1984,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Using 10th KLIPS(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we compare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seniority wage has the incentive effect in Korean labor market by testing the incentive hypothesis of Lazear and Moore(1984,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Using 10th KLIPS(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we compare (S-P) profile of salaried workers with that of self-employed workers in 8 occupations and find that the incentive hypothesis is supported. These results show that seniority wage is the incentive device of firms for worker`s effort. Therefore we have to find the solution that have sense of balance about seniority wage for taking optimal compensation system inside firms.
기업가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기업의 전략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의 지분율과 산업환경 선택의 조절효과 탐색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소비자들의 제품 평가 및 행위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중국진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