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치료감호 청구절차와 정신감정에 관한 연구:수사재판기록 분석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Psychiatric Examination in th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Proced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077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Act was enacted to supplant Social Protection Act, which had been accused of violating human righ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purpose of treatment,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Act added the need for treatment as a requirement of a disposition and provides that prosecutors and judges shall consult with psychiatric expert opinions. This article examines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procedures with a focus on forensic psychiatric examination that is meant to reinforce the therapeutic function of mental treatment and custod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only 65.8% among 187 cases filed between 2014 and 2016 included forensic examination reports. Also, psychiatric examination results as to the need for treatment and the risk of recidivism were found to have not been fully accepted in the cou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oles of forensic psychiatric examination need to be reinforced in the procedure and judgement regarding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purports, first and foremost, to provide treatment to mentally disordered offenders but at the same time, it accompanies a deprivation of freedom to a substantial extent. In this regard,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need for treatment in order to avoid human rights violations due to custody without treatment. Also,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need for treatment under the act specifically means the need for treatment “at a medical treatment and detention facility.” The purposes of recidivism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by means of medical treatment can be fully achieved when the judgment is based on the rigorous examination of a candidate’s psychiatric conditions.
      번역하기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Act was enacted to supplant Social Protection Act, which had been accused of violating human righ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purpose of treatment,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Act added the need for treatment as a req...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Act was enacted to supplant Social Protection Act, which had been accused of violating human righ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purpose of treatment,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Act added the need for treatment as a requirement of a disposition and provides that prosecutors and judges shall consult with psychiatric expert opinions. This article examines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procedures with a focus on forensic psychiatric examination that is meant to reinforce the therapeutic function of mental treatment and custod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only 65.8% among 187 cases filed between 2014 and 2016 included forensic examination reports. Also, psychiatric examination results as to the need for treatment and the risk of recidivism were found to have not been fully accepted in the cou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oles of forensic psychiatric examination need to be reinforced in the procedure and judgement regarding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purports, first and foremost, to provide treatment to mentally disordered offenders but at the same time, it accompanies a deprivation of freedom to a substantial extent. In this regard,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need for treatment in order to avoid human rights violations due to custody without treatment. Also,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need for treatment under the act specifically means the need for treatment “at a medical treatment and detention facility.” The purposes of recidivism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by means of medical treatment can be fully achieved when the judgment is based on the rigorous examination of a candidate’s psychiatric condi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권침해의 요소가 많았던 (구)사회보호법이 폐지되면서 대체입법으로 제정된 치료감호법은 치료의 필요성을 요건으로 추가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단이나 감정을 받은 후 치료감호를 청구하도록 함으로써 인권침해의 가능성을 제한하고 치료의 기능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이 논문은 치료감호의 청구절차와 선고 현황을 살펴보고, 치료감호의 치료 목적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라고 할 수 있는 정신감정이 활용되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2014년부터 2016년 사이에 치료감호가 청구된 사건 187건의 수사재판기록에 대한 조사결과, 공판단계에서 정신감정서가 증거로 제출된 사건의 비율은 65.8%에 불과했으며, 특히 기소와 동시에 치료감호가 병합청구된 사건에서 정신감정 시행률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치료감호선고의 요건인 치료의 필요성과 재범의 위험성에 대한 감정결과가 판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치료감호 청구 및 선고에서 정신감정의 역할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치료감호제도는 범죄를 저지른 정신장애인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와 동시에 상당한 정도의 자유박탈을 수반한다. 이러한 기본권 제한이 단순 구금에 의한 인권침해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특히 치료감호시설에서 치료받을 필요성이 반드시 인정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판단은 상당 기간의 의학적 교육과 훈련을 받은 전문의의 감정을 근거로 함으로써 치료를 통한 재범방지와 사회복귀 촉진이라는 치료감호제도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인권침해의 요소가 많았던 (구)사회보호법이 폐지되면서 대체입법으로 제정된 치료감호법은 치료의 필요성을 요건으로 추가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단이나 감정을 받은 후 치료감...

      인권침해의 요소가 많았던 (구)사회보호법이 폐지되면서 대체입법으로 제정된 치료감호법은 치료의 필요성을 요건으로 추가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단이나 감정을 받은 후 치료감호를 청구하도록 함으로써 인권침해의 가능성을 제한하고 치료의 기능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이 논문은 치료감호의 청구절차와 선고 현황을 살펴보고, 치료감호의 치료 목적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라고 할 수 있는 정신감정이 활용되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2014년부터 2016년 사이에 치료감호가 청구된 사건 187건의 수사재판기록에 대한 조사결과, 공판단계에서 정신감정서가 증거로 제출된 사건의 비율은 65.8%에 불과했으며, 특히 기소와 동시에 치료감호가 병합청구된 사건에서 정신감정 시행률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치료감호선고의 요건인 치료의 필요성과 재범의 위험성에 대한 감정결과가 판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치료감호 청구 및 선고에서 정신감정의 역할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치료감호제도는 범죄를 저지른 정신장애인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와 동시에 상당한 정도의 자유박탈을 수반한다. 이러한 기본권 제한이 단순 구금에 의한 인권침해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특히 치료감호시설에서 치료받을 필요성이 반드시 인정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판단은 상당 기간의 의학적 교육과 훈련을 받은 전문의의 감정을 근거로 함으로써 치료를 통한 재범방지와 사회복귀 촉진이라는 치료감호제도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민영, "형사사법에서 정신감정의 신뢰성 제고 및 효과적 활용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7

      2 송문호, "형법상 치료감호에 대한 비판적 고찰" 12 (12): 5-21, 2000

      3 윤상민, "현행 치료감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25 (25): 377-400, 2009

      4 김혜경, "치료명령제도의 도입에 따른 법적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학회 28 (28): 109-137, 2016

      5 강현구, "치료감호에 의한 자유박탈의 부당한 장기화" 163 (163): 163-185, 2016

      6 박지선, "조현병 환자의 범죄에 대한 고찰: 범행 특성 및 범죄 전력을 중심으로" 한국법심리학회 5 (5): 1-11, 2014

      7 조병철, "정신질환유형에 따른 배경정보와 범죄현장행동특성 예측요인 연구" 경찰대학 17 (17): 127-173, 2017

      8 이양훈, "정신장애인범죄 실태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21) : 153-176, 2011

      9 오봉욱, "정신장애인 성폭력 범죄에 대한 고찰" 한국교정복지학회 (33) : 167-189, 2014

      10 성경숙, "정신장애범죄자에 대한 치료처분제도의 개선방안: 미국의 치료법원의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학회 22 (22): 87-108, 2010

      1 최민영, "형사사법에서 정신감정의 신뢰성 제고 및 효과적 활용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7

      2 송문호, "형법상 치료감호에 대한 비판적 고찰" 12 (12): 5-21, 2000

      3 윤상민, "현행 치료감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25 (25): 377-400, 2009

      4 김혜경, "치료명령제도의 도입에 따른 법적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학회 28 (28): 109-137, 2016

      5 강현구, "치료감호에 의한 자유박탈의 부당한 장기화" 163 (163): 163-185, 2016

      6 박지선, "조현병 환자의 범죄에 대한 고찰: 범행 특성 및 범죄 전력을 중심으로" 한국법심리학회 5 (5): 1-11, 2014

      7 조병철, "정신질환유형에 따른 배경정보와 범죄현장행동특성 예측요인 연구" 경찰대학 17 (17): 127-173, 2017

      8 이양훈, "정신장애인범죄 실태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21) : 153-176, 2011

      9 오봉욱, "정신장애인 성폭력 범죄에 대한 고찰" 한국교정복지학회 (33) : 167-189, 2014

      10 성경숙, "정신장애범죄자에 대한 치료처분제도의 개선방안: 미국의 치료법원의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학회 22 (22): 87-108, 2010

      11 장승일, "정신장애범죄인에 대한 치료감호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4 (4): 103-128, 2016

      12 김경화, "정신장애 범죄자의 교정처우" 한국교정복지학회 (35) : 33-70, 2014

      13 류은숙,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교정처우에 관한 연구 - 사회내 처우를 중심으로 -" 한국공안행정학회 24 (24): 97-128, 2015

      14 허일태,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강제적 의료조치와 보안처분" 법학연구소 28 (28): 387-414, 2011

      15 류기환, "정신보건법과 치료감호법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법학회 (23) : 501-520, 2006

      16 강지현, "자유박탈적 보안처분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보안형벌과 보호수용제도 비판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7 (17): 29-55, 2015

      17 성경숙, "우리나라 치료감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원 20 (20): 329-352, 2008

      18 김일수, "보호감호처분의 재도입 및 보안처분제도의 형법 편입" 법학연구원 (58) : 355-394, 2010

      19 정세종, "법원의 心神障碍人 판단경향과 시사점 - 판결문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범죄심리학회 13 (13): 167-184, 2017

      20 강동욱, "범죄행위를 한 정신장애자의 법적 처우에 관한 연구- 정신감정을 중심으로 -" 법조협회 53 (53): 5-39, 2004

      21 최기홍, "범죄와 정신질환의 관계, 사회적 편견은 어느정도인가"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16 (16): 19-28, 2017

      22 박지선, "묻지마 범죄의 특성과 유형-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4 (4): 107-124,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0.80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