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상경험에 대한 사회적 반응과 우울의 관계: 외상 후 인지의 매개효과와 성차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24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에 대한 사회적 반응, 외상 후 인지, 외상 후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모형이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 지 탐색적으로 확인했다. 이를 위해 만 19-29세의 성인 남녀 385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체크 리스트, 외상경험에 대한 사회적 반응 척도(K-SRQ), 외상 후 인지 척도(PTCI), 우울 척도 (CES-D)를 포함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경 험에 대한 사회적 반응 중 정서적지지와 통제하기가 외상 후 인지를 완전매개로 외상 후 우 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지지와 통제하기에서는 성차가 나 타나지 않았으며, 외상 후 인지와 우울은 여성 집단에서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 이 남성에 비해 외상 후 적응에서 취약한 것이 단지 부정적인 사회적 반응을 받기 때문은 아 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연구모형에 대한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적지지와 통제 하기가 외상 후 인지를 거쳐 외상 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 었다. 정서적지지가 외상 후 인지를 설명하는 경로는 여성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외상 후 인지가 우울을 설명하는 경로는 남성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에 대한 사회적 반응, 외상 후 인지, 외상 후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모형이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 지 탐...

      본 연구에서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에 대한 사회적 반응, 외상 후 인지, 외상 후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모형이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 지 탐색적으로 확인했다. 이를 위해 만 19-29세의 성인 남녀 385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체크 리스트, 외상경험에 대한 사회적 반응 척도(K-SRQ), 외상 후 인지 척도(PTCI), 우울 척도 (CES-D)를 포함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경 험에 대한 사회적 반응 중 정서적지지와 통제하기가 외상 후 인지를 완전매개로 외상 후 우 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지지와 통제하기에서는 성차가 나 타나지 않았으며, 외상 후 인지와 우울은 여성 집단에서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 이 남성에 비해 외상 후 적응에서 취약한 것이 단지 부정적인 사회적 반응을 받기 때문은 아 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연구모형에 대한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적지지와 통제 하기가 외상 후 인지를 거쳐 외상 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 었다. 정서적지지가 외상 후 인지를 설명하는 경로는 여성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외상 후 인지가 우울을 설명하는 경로는 남성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reactions to trauma disclosure and post-traumatic cognitions, depression by gender comparis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gender affects the relationship.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385 young adults in Korea whose ages were between 19 and 29 who had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more than once in a lifetim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the Traumatic Event Checklist,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K-SRQ), the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 (PTCI),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support and taking control explain the level of depression only through indirect path via post-traumatic cognitions. Secon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post-traumatic cognitions and depression. Women were more negative towards themselves and the world, more blaming themselves, and more depressed than men. However,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support and taking control. Third, the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Women’s post-traumatic cognitions were more affected by emotional support than men, and men’s depression was more affected by post-traumatic cognitions than wom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reactions to trauma disclosure and post-traumatic cognitions, depression by gender comparis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gender affects the relationship. The data were 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reactions to trauma disclosure and post-traumatic cognitions, depression by gender comparis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gender affects the relationship.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385 young adults in Korea whose ages were between 19 and 29 who had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more than once in a lifetim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the Traumatic Event Checklist,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K-SRQ), the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 (PTCI),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support and taking control explain the level of depression only through indirect path via post-traumatic cognitions. Secon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post-traumatic cognitions and depression. Women were more negative towards themselves and the world, more blaming themselves, and more depressed than men. However,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support and taking control. Third, the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Women’s post-traumatic cognitions were more affected by emotional support than men, and men’s depression was more affected by post-traumatic cognitions than wom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방법
      • 연구대상
      • 연구절차
      • 측정도구
      • 요약
      • 방법
      • 연구대상
      • 연구절차
      • 측정도구
      • 분석방법
      • 결과
      • 연구 참가자들이 경험한 외상사건의 유형
      •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 주요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상관분석
      • 주요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
      • 측정모형의 검증
      • 구조모형의 검증
      • 구조모형의 분석
      • 매개효과 검증
      • 남녀 집단에서 모형 적합도와 경로 차이
      •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2003

      2 심기선, "한국판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사회적 반응 척도(K-SRQ)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271-296, 2014

      3 조용래, "한국판 외상 후 인지 검사의 요인구조와 수렴 및 변별타당도: 외상경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2 (12): 369-391, 2012

      4 서영석, "한국인이 경험한 외상사건: 종류 및 발생률"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671-701, 2012

      5 Allen, J. G., "트라우마의 치유" 학지사 2010

      6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6 (6): 59-76, 2001

      7 안현의, "청소년의 외상 경험과 인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3 (13): 31-41, 2005

      8 김교헌, "자기노출의 기능" 11 (11): 81-107, 1992

      9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10 안현의, "복합외상(complex trauma)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한국심리학회 26 (26): 105-119, 2007

      1 권석만,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2003

      2 심기선, "한국판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사회적 반응 척도(K-SRQ)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271-296, 2014

      3 조용래, "한국판 외상 후 인지 검사의 요인구조와 수렴 및 변별타당도: 외상경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2 (12): 369-391, 2012

      4 서영석, "한국인이 경험한 외상사건: 종류 및 발생률"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671-701, 2012

      5 Allen, J. G., "트라우마의 치유" 학지사 2010

      6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6 (6): 59-76, 2001

      7 안현의, "청소년의 외상 경험과 인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3 (13): 31-41, 2005

      8 김교헌, "자기노출의 기능" 11 (11): 81-107, 1992

      9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10 안현의, "복합외상(complex trauma)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한국심리학회 26 (26): 105-119, 2007

      11 장진이,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의 자기체계 손상과 심리적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2 김주환,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3 오현자, "가출청소년의 외상경험에 대한 자기노출이 부적정서와 침입 경험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89-106, 2009

      14 조용래,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대처전략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정서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3 (13): 445-467, 2013

      15 Kilpatrick, D. G., "Violence and Risk of PTSD, Major Depression, Substance Abuse/Dependence, and Comorbitidy: Result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Adolescents" 71 (71): 692-700, 2003

      16 Kishton, J. M., "Unidimensional Versus Domain Representative Parceling of Questionnaire Items: An Empirical Example" 54 (54): 757-765, 1994

      17 Beck, J. G., "Understanding the Interpersonal Impact of Trauma: Contributions of PTSD and Depression" 23 (23): 443-450, 2009

      18 Joseph, S., "Understanding posttraumatic stress: A psychosocial perspective on PTSD and treatment" Wiley 1997

      19 Foa, E. B., "Treating the trauma of rap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PTSD" Guilford Press 1998

      20 Frazier, P., "Traumatic Event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Prevalence and Associated Symptoms" 56 (56): 450-460, 2009

      21 Breslau, N., "Traum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Community : The 1996 Detroit Area Survey of Trauma" 55 (55): 626-632, 1998

      22 Foa, E. B., "The Validation of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9 (9): 445-451, 1997

      23 Foa, E. B., "The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PTCI): Development and Validation" 11 (11): 303-314, 1999

      24 Bandalos, D. L.,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 (9): 78-102, 2002

      25 Radloff, L. 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1): 385-401, 1977

      26 Lepore, S. J., "Talking Facilitates Cognitive-emotional Processes of Adaptation to an Acute Stressor" 78 (78): 499-508, 2000

      27 Carlson, G. A., "Suicidal Behavior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1 (21): 361-368, 1982

      28 Byrne, B. 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Lawrence Erlbaum 2001

      29 Ullman, S. E., "Structural Models of the Relations of Assault Severity, Social Support, Avoidance Coping, Self-blame, and PTSD Among Sexual Assault Survivors" 31 (31): 23-37, 2007

      30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56-75, 1995

      31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423, 1988

      32 Simmons, C. A., "Speculation as to Why Women "Get" PTSD More Often Than Men" 31 (31): 85-98, 2007

      33 Vaux, A.,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Praeger 1988

      34 Strack, S., "Social Confirmation of Dysphoria: Shared and Private Reactions to Depression" 44 (44): 798-806, 1983

      35 Tolin, D. F., "Sex Differences in Traum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Quantitative Review of 25 years of Research" 132 (132): 959-992, 2006

      36 Norris, F. H., "Sex Differences in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oes Culture Play a Role?" 14 (14): 7-28, 2001

      37 Ullman, S. 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 A Measure of Reactions to Sexual Assault Victims" 24 (24): 257-271, 2000

      38 Shalev, A. Y., "Prospective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Following Trauma" 155 (155): 630-637, 1998

      39 Briere, J., "Principles of Trauma Therapy" Sage Publication 17-, 2006

      40 Ozer, E. J., "Predi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ymptoms in Adults: A Meta-analysis" 129 (129): 52-73, 2003

      41 Ullman, S. E., "Predictors of PTSD Symptom Severity and Social Reactions in Sexual Assault Victims" 14 (14): 369-389, 2001

      42 Kessler, R. 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52 (52): 1048-1060, 1995

      43 Moser, J. 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n Trauma-exposed College Students: The Role of Trauma-related Cognitions, Gender, and Negative Affect" 21 (21): 1039-1049, 2007

      44 Frazier, P., "Perceived Control and Posttraumatic Distress: A Temporal Model" 10 (10): 207-223, 2001

      45 Frazier, P., "Perceived Control and Adjustment to Trauma: A Comparison Across Events" 23 (23): 303-324, 2004

      46 Brewin, C. R.,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rauma-exposed Adults" 68 (68): 748-766, 2000

      47 Coyne, J. C., "Living With a Depressed Person" 55 (55): 347-352, 1987

      48 Wills, T. A., "Handbook of Health Psycholog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9-234, 2001

      49 Andrews, B., "Gender, Social Support and PTSD in Victims of Violent Crime" 16 (16): 421-427, 2003

      50 Belle, D., "Gender and Stress" Free Press 257-277, 1987

      51 Tolin, D. F., "Gender and PTSD" Guilford Press 76-97, 2002

      52 Flaherty, J.,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Social Support: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an Empirical Test" 28 (28): 1221-1228, 1989

      53 Luxton, D. D.,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PTSD Symptoms Following Combat Exposure" 27 (27): 1027-1033, 2010

      54 Ullman, S. E., "Exploring the Relationships of Women’s Sexual Assault Disclosure, Social Reactions, and Problem Drinking" 23 (23): 1235-1257, 2008

      55 Guay, S., "Exploring the Links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and Potential Research Avenues" 19 (19): 327-338, 2006

      56 Foa, E. B., "Emotional Processing of Fear: Exposure to Corrective Information" 99 (99): 20-35, 1986

      57 Pennebaker, J. W., "Disclosure of Traumas and Immune Function: Health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56 (56): 239-245, 1988

      5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59 Coyne, J. C., "Depression and the Response of Others" 85 (85): 186-193, 1976

      60 Coyne, J. C., "Depression and Coping In Stressful Episodes" 90 (90): 439-447, 1981

      61 Ahrens, C. A., "Deciding Whom to Tell : Expectations and Outcomes of Rape Survivors' First Disclosures" 31 (31): 38-49, 2007

      62 Watson, S. B., "Brief Screening for Traumatic Life Events in Female Undergraduate Health Service Patients" 7 (7): 261-282, 2007

      63 Foa, E. B., "Behavioral/Cognitive Conceptualization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0 (20): 155-176, 1989

      64 Russell, D. W.,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45 (45): 18-29, 1998

      65 Dunmore, E., "A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Cognitive Factors in Persisten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fter Physical or Sexual Assault" 39 (39): 1063-1084, 2001

      66 Simmons, C. A., "A Cognitive Model to Explain Gender Differences in Rate of PTSD Diagnosis" 5 (5): 290-299, 2005

      67 Ehlers, A., "A Cognitive Model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38 (38): 319-345,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1 1.71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1.81 2.936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