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디지털 시대의 참여적 학습을 위한 교수자의 온라인 기반 수업 활동체제 분석 :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85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nprecedented pandemic caused by Corona 19 has had a great impact on all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the 'non-face-to-face
      culture' formed throughout society is We have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we
      can participate. This has an impact on school education as well, leading to a rapid
      transition to an all-out 'online education'.
      This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s, and only after the pandemic situation due to
      COVID-19 was faced, a foundation was formed to expand from offline school to
      online school through digital technology.
      However, the rapid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rought a lot of
      confusion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the educational gap caused by the learner'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 Due to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concerns about students who have not been sufficiently exposed to school
      and community life, and content-oriented classes focused on knowledge transfer
      reduced learn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es, resulting in resistance fromparents and students.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of online-based classes varies
      greatly according to the competence of instructors (teachers) who communicate
      closely with students in schools, and the importance of the space and its role can
      be reexamin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rapid change of learning form,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online-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is based
      on content, and Jenkins(2006) ‘participatory learning’ is what can be suggest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articipant learning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participatory culture' in which individuals freely
      express their thoughts in a digital space, share them with the community they
      belong to, and engage in active participatory activities.
      Participatory learning focuses on enabling learners in the digital age to take an
      interest in the problems of others and society and work with community members
      to solve them so that their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society. Therefore,
      participatory learning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reflect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present age,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along with a thematic approach according to the learner's interest,
      and instructional design for social experience beyond the space of the school are
      emphasized. In order to put it into practice, I believe that the competence of the
      instructor i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ystematically examine how teachers practiced
      'participatory learn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actual school
      education field. Instructors are influenced and interact and make decisions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ir community. Considering this environment, qualitative
      research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and ‘activity theory’ was used as the
      analysis frame.
      To this end, four professors who practiced participatory learn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were selecte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cusing on their class cases, and each activ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activity system. In particular, the systematic development
      process of instructors for participatory learning was analyzed step by step through
      the process of trying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that occur within the activity
      system. The difficulties were objectively identified and directions were drawn to
      practice participatory learning in the future education field.
      As a result of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activity system of instructors who
      practiced participatory learning in online-based classes, this study found that the
      primary contradiction between the existing system that adheres to formal education
      and the current system that embraces new changes was the most common. ‘The
      digital-based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ormal and customary
      school education practices' were derived as a secondary contradiction.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is contradi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actice activities of
      participatory learning were improved and developed step by step, and the practical
      direction of the instructor for online-based participatory learning operation was
      presented by synthesizing the analysis contents.
      Las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participatory learning in the chaotic school education field in the face of a
      rapid transition to a pandemic, and presents a practical direction through systematic
      analysi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operating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professor who wants to practice participatory learning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unprecedented pandemic caused by Corona 19 has had a great impact on all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the 'non-face-to-face culture' formed throughout society is We have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we can particip...

      The unprecedented pandemic caused by Corona 19 has had a great impact on all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the 'non-face-to-face
      culture' formed throughout society is We have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we
      can participate. This has an impact on school education as well, leading to a rapid
      transition to an all-out 'online education'.
      This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s, and only after the pandemic situation due to
      COVID-19 was faced, a foundation was formed to expand from offline school to
      online school through digital technology.
      However, the rapid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rought a lot of
      confusion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the educational gap caused by the learner'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 Due to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concerns about students who have not been sufficiently exposed to school
      and community life, and content-oriented classes focused on knowledge transfer
      reduced learn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es, resulting in resistance fromparents and students.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of online-based classes varies
      greatly according to the competence of instructors (teachers) who communicate
      closely with students in schools, and the importance of the space and its role can
      be reexamin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rapid change of learning form,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online-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is based
      on content, and Jenkins(2006) ‘participatory learning’ is what can be suggest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articipant learning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participatory culture' in which individuals freely
      express their thoughts in a digital space, share them with the community they
      belong to, and engage in active participatory activities.
      Participatory learning focuses on enabling learners in the digital age to take an
      interest in the problems of others and society and work with community members
      to solve them so that their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society. Therefore,
      participatory learning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reflect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present age,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along with a thematic approach according to the learner's interest,
      and instructional design for social experience beyond the space of the school are
      emphasized. In order to put it into practice, I believe that the competence of the
      instructor i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ystematically examine how teachers practiced
      'participatory learn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actual school
      education field. Instructors are influenced and interact and make decisions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ir community. Considering this environment, qualitative
      research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and ‘activity theory’ was used as the
      analysis frame.
      To this end, four professors who practiced participatory learn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were selecte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cusing on their class cases, and each activ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activity system. In particular, the systematic development
      process of instructors for participatory learning was analyzed step by step through
      the process of trying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that occur within the activity
      system. The difficulties were objectively identified and directions were drawn to
      practice participatory learning in the future education field.
      As a result of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activity system of instructors who
      practiced participatory learning in online-based classes, this study found that the
      primary contradiction between the existing system that adheres to formal education
      and the current system that embraces new changes was the most common. ‘The
      digital-based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ormal and customary
      school education practices' were derived as a secondary contradiction.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is contradi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actice activities of
      participatory learning were improved and developed step by step, and the practical
      direction of the instructor for online-based participatory learning operation was
      presented by synthesizing the analysis contents.
      Las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participatory learning in the chaotic school education field in the face of a
      rapid transition to a pandemic, and presents a practical direction through systematic
      analysi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operating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professor who wants to practice participatory learning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로 발생한 사상 초유의 팬데믹(Pandemic)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사회 전반적으로 형성된 ‘비대면 문화’는 온라인 환경에서 외부와 연결되고, 소통하며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게 되었다. 이는 학교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며 전면적인 ‘온라인 교육’으로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 환경의 변화는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전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현실이며 코로나19로 인해 팬데믹 상황을 맞이하고 나서야 본격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오프라인 공간인 학교에서 온라인 공간인 학교 외부로 확장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게 되었다.
      하지만 교육 환경의 급격한 전환은 학습자의 사회, 경제, 문화적 배경에 따라 발생하는 교육격차의 문제 외에도 많은 혼란을 가져다주었다. 비대면 교육의 확대로 인해 학교와 공동체 생활을 충분히 접하지 못한 학생들에 대한 우려와 지식 전달 위주의 콘텐츠 중심의 수업은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참여를 떨어뜨리며 학부모와 학생의 반발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특히 학교에서 학생들과 밀접하게 소통하는 교수자(교사)의 역량에 따라 온라인 기반 수업의 만족도가 크게 차이 나는 모습이 보이며 학교라는 공간과 그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재조명할 수 있게 되었다.
      학습 형태의 급격한 전환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해 콘텐츠 중심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에 대한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는 것이 Jenkins(2006)의 ‘참여적 학습’이다.
      참여적 학습은 디지털 공간에서 개인이 자유롭게 생각을 표현하고 이를 그들이 속한 공동체에 공유하며 적극적인 참여 활동을 이루어나가는 ‘참여적 문화’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가 타인과 사회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 구성원과 협력해 그들의 활동이 사회에 기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참여적 학습은 현시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학습자의 관심에 따른 주제적 접근과 함께 디지털 기술이 결합한 학습환경 그리고 학교라는 공간을 넘어 사회적 경험을 위한 교수설계가 강조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 교수자의 역량을 중요하다고 보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실제 학교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참여적 학습’을 어떻게 실천했는지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수자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영향을 받으며 상호작용 및 의사결정을 내린다. 이러한 교수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연구 방법으로 질적 연구를 택하였으며 ‘활동이론’을 분석 틀로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참여적 학습을 학교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실천한 교수자 4인을 선정해 그들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활동체제의 구성요소에 맞추어 각 활동을 분석하였다. 특히 활동체제 내에서 발생하는 모순과 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참여적 학습을 위한 교수자의 체제적 발전과정을 단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에 참여적 학습을 실천하는 교수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교육 현장에서 참여적 학습을 실천하기 위한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온라인 기반 수업에서 참여적 학습을 실천한 교수자의 활동체제를 종합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형식적인 교육을 고수하는 기존 체제와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려는 현 체제 사이에서 발생하는 1차적 모순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디지털 기반으로 급격하게 변화한 교육 환경과 형식적이고 관습적인 학교 교육 관행’이 2차적 모순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참여적 학습의 실천 활동이 단계적으로 향상되고 발전되는 모습이 확인되었으며 분석 내용을 종합해 온라인 기반 참여적 학습 운영을 위한 교수자의 실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팬데믹으로 급격한 전환을 맞이해 혼란한 학교 교육 현장에 참여적 학습이라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실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연구의 결과가 향후 참여적 학습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수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교수·학습 설계를 하고 운영해 나가는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코로나19로 발생한 사상 초유의 팬데믹(Pandemic)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사회 전반적으로 형성된 ‘비대면 문화’는 온라인 환경에서 외부와 연결...

      코로나19로 발생한 사상 초유의 팬데믹(Pandemic)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사회 전반적으로 형성된 ‘비대면 문화’는 온라인 환경에서 외부와 연결되고, 소통하며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게 되었다. 이는 학교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며 전면적인 ‘온라인 교육’으로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 환경의 변화는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전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현실이며 코로나19로 인해 팬데믹 상황을 맞이하고 나서야 본격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오프라인 공간인 학교에서 온라인 공간인 학교 외부로 확장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게 되었다.
      하지만 교육 환경의 급격한 전환은 학습자의 사회, 경제, 문화적 배경에 따라 발생하는 교육격차의 문제 외에도 많은 혼란을 가져다주었다. 비대면 교육의 확대로 인해 학교와 공동체 생활을 충분히 접하지 못한 학생들에 대한 우려와 지식 전달 위주의 콘텐츠 중심의 수업은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참여를 떨어뜨리며 학부모와 학생의 반발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특히 학교에서 학생들과 밀접하게 소통하는 교수자(교사)의 역량에 따라 온라인 기반 수업의 만족도가 크게 차이 나는 모습이 보이며 학교라는 공간과 그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재조명할 수 있게 되었다.
      학습 형태의 급격한 전환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해 콘텐츠 중심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에 대한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는 것이 Jenkins(2006)의 ‘참여적 학습’이다.
      참여적 학습은 디지털 공간에서 개인이 자유롭게 생각을 표현하고 이를 그들이 속한 공동체에 공유하며 적극적인 참여 활동을 이루어나가는 ‘참여적 문화’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가 타인과 사회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 구성원과 협력해 그들의 활동이 사회에 기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참여적 학습은 현시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학습자의 관심에 따른 주제적 접근과 함께 디지털 기술이 결합한 학습환경 그리고 학교라는 공간을 넘어 사회적 경험을 위한 교수설계가 강조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 교수자의 역량을 중요하다고 보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실제 학교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참여적 학습’을 어떻게 실천했는지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수자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영향을 받으며 상호작용 및 의사결정을 내린다. 이러한 교수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연구 방법으로 질적 연구를 택하였으며 ‘활동이론’을 분석 틀로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참여적 학습을 학교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실천한 교수자 4인을 선정해 그들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활동체제의 구성요소에 맞추어 각 활동을 분석하였다. 특히 활동체제 내에서 발생하는 모순과 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참여적 학습을 위한 교수자의 체제적 발전과정을 단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에 참여적 학습을 실천하는 교수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교육 현장에서 참여적 학습을 실천하기 위한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온라인 기반 수업에서 참여적 학습을 실천한 교수자의 활동체제를 종합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형식적인 교육을 고수하는 기존 체제와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려는 현 체제 사이에서 발생하는 1차적 모순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디지털 기반으로 급격하게 변화한 교육 환경과 형식적이고 관습적인 학교 교육 관행’이 2차적 모순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참여적 학습의 실천 활동이 단계적으로 향상되고 발전되는 모습이 확인되었으며 분석 내용을 종합해 온라인 기반 참여적 학습 운영을 위한 교수자의 실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팬데믹으로 급격한 전환을 맞이해 혼란한 학교 교육 현장에 참여적 학습이라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실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연구의 결과가 향후 참여적 학습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수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교수·학습 설계를 하고 운영해 나가는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 연구 문제
      • 3. 용어의 정의
      • 1) 디지털 시대
      • I.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 연구 문제
      • 3. 용어의 정의
      • 1) 디지털 시대
      • 2) 온라인 기반 수업
      • 3) 참여적 학습
      • 4) 활동이론
      • Ⅱ. 이론적 배경
      • 1. 디지털 시대의 특징과 교수·학습
      • 1) 디지털 시대와 참여적 문화
      • 2) 교수·학습으로서의 참여적 학습
      • 2. 참여적 학습 실천을 위한 온라인 기반 수업
      • 1) 학습 환경 변화에 따른 온라인 기반 수업 현황
      • 2) 참여적 학습을 위한 온라인 기반 수업 교수자의 역할
      • 3. 활동이론
      • 1) 활동이론의 발전 과정
      • 2) 활동체제의 구성요소와 확장학습 이론(expansive learning theory)
      • 3) 분석 틀로서의 활동이론 방법론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및 기간
      • 1) 연구 대상
      • 2) 연구 기간
      • 2. 질적 자료 수집
      • 1) 면담 가이드
      • 2) 심층 면담
      • 3. 질적 자료 분석
      • 1) 자료 처리 및 분석
      • 2) 분석의 타당도 검증
      • 3) 연구 윤리 실천
      • 4. 연구 절차
      • Ⅳ. 연구 결과
      • 1. 활동 이론적 분석
      • 1) 온라인 기반 참여적 학습을 실천한 교수자의 활동체제 구성요소
      • 2) 온라인 기반 참여적 학습 실천을 위한 이상적 활동체제 상정
      • 3) 온라인 기반 참여적 학습을 실천한 교수자의 활동체제 속 모순
      • 4) 교수자의 활동체제 확장·전이 및 발전과정
      • 2. 온라인 기반 참여적 학습을 운영하기 위한 교수자의 실천 방안
      • 1) 온라인 기반 참여적 학습을 실천한 교수자의 활동체제 종합분석
      • 2) 온라인 기반 참여적 학습 운영을 위한 실천 방향성
      •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