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입원(소) 정신장애인의 회복인식 영향요인 : 60세 미만과 60세 이상 다집단 분석 = Factors Influencing Recovery Perception of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 Mental Hospitals and Mental Care Facilities : Multi-Group Analysis Under 60 and Over 60 years o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36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신의료기관과 정신요양시설에 입원(소)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 대상 실증연구는 매우 적다. 따라서 이들의 회복인식 및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고, 회복인식 영향요인들이 연령...

      정신의료기관과 정신요양시설에 입원(소)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 대상 실증연구는 매우 적다. 따라서 이들의 회복인식 및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고, 회복인식 영향요인들이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더욱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1) 입원(소) 정신장애인의 회복인식과 관련된 요인들을 살펴보고, (2) 회복 인식 영향 요인이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연구 참여자는 2021년 국가인권위원회 정신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입원(소) 정신장애인 145명이다. 분석을 통해 (1) 입(원)소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회복 인식 영향요인을 인구사회학적 변인들과 퇴원준비 요인 중심으로 살펴보고, (2) 회복 인식 영향 요인들이 60세 미만 및 60세 이상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가 있고, 장애등록을 하고, 교육수준이 높고, 퇴원계획 상담을 받은 당사자들의 회복인식이 높았고, 당사자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시설에 대한 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회복 인식수준도 높았다. 둘째, 다집단 분석결과 60세 미만에서는 유병기간이 길수록 회복인식이 높은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유병기간에 따른 회복인식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60세 이하에서는 성별에 따른 회복인식 차이가 없는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남성의 회복인식이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당사자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인식과 퇴원계획 상담여부는 모든 연령대에서 회복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정신장애인의 회복증진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용득, "탈시설과 지역사회중심 복지서비스 구축, 어떻게 할 것인가?: 자립과 상호의존을 융합하는 커뮤니티 케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492-520, 2018

      2 최윤정, "커뮤니티케어 체계에서 정신장애인 서비스 지원 방안" 사회복지정책실천회 5 (5): 87-132, 2019

      3 이주경 ; 송지현 ; 이혜경, "지역사회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정신장애인 당사자와 가족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복지학회 22 (22): 35-69, 2020

      4 홍선미 ; 전준희 ; 하경희,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55 (55): 169-197, 2022

      5 김소영 ; 노병일, "지역사회 의료기관 거주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족․기관 요인" 한국지역사회학회 26 (26): 103-118, 2018

      6 강명진 ; 엄태완, "조현병을 지닌 사람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 경험 탐색: 만성 정신장애인에 대한 통합사례관리사의 경험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2 (42): 277-298, 2022

      7 황숙연, "정신장애인의 회복의 인식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7) : 28-63, 2007

      8 엄태완 ; 최명민 ; 이기영,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정신보건세팅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4) : 94-124, 2006

      9 하경희, "정신장애인의 동료지지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175-201, 2012

      10 강석임 ; 이용표, "정신장애인 회복과정 영향 요인-스트레스, 사회적 자원 및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1 (41): 116-143, 2013

      1 김용득, "탈시설과 지역사회중심 복지서비스 구축, 어떻게 할 것인가?: 자립과 상호의존을 융합하는 커뮤니티 케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492-520, 2018

      2 최윤정, "커뮤니티케어 체계에서 정신장애인 서비스 지원 방안" 사회복지정책실천회 5 (5): 87-132, 2019

      3 이주경 ; 송지현 ; 이혜경, "지역사회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정신장애인 당사자와 가족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복지학회 22 (22): 35-69, 2020

      4 홍선미 ; 전준희 ; 하경희,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55 (55): 169-197, 2022

      5 김소영 ; 노병일, "지역사회 의료기관 거주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족․기관 요인" 한국지역사회학회 26 (26): 103-118, 2018

      6 강명진 ; 엄태완, "조현병을 지닌 사람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 경험 탐색: 만성 정신장애인에 대한 통합사례관리사의 경험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2 (42): 277-298, 2022

      7 황숙연, "정신장애인의 회복의 인식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7) : 28-63, 2007

      8 엄태완 ; 최명민 ; 이기영,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정신보건세팅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4) : 94-124, 2006

      9 하경희, "정신장애인의 동료지지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175-201, 2012

      10 강석임 ; 이용표, "정신장애인 회복과정 영향 요인-스트레스, 사회적 자원 및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1 (41): 116-143, 2013

      11 조윤화, "정신장애인 지역사회통합 지원방안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4

      12 국가인권위원회, "정신장애인 인권증진과 사회통합을 위한 정신재활시설 운영 개선 정책권고"

      13 김희정, "정신장애로부터의 회복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정신간호학회 18 (18): 379-389, 2009

      14 안희철 ; 김민아, "정신요양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5 (45): 53-82, 2017

      15 하경희, "정신보건제도의 도입과 토착화에 관한 연구: 정신질환자의 탈원화와 지역사회정신보건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30 (30): 197-226, 2019

      16 서미경 ; 김재훈 ; 이진향, "정신보건시설에서의 정신장애인 권리침해에 관한 연구 -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9) : 330-367, 2008

      17 김문근, "정신보건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을 위한 정신보건기관 기능 재조정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5

      18 이철호, "정신보건법과 정신장애인의 인권" 한국헌법학회 13 (13): 229-258, 2007

      19 허만세, "정신병원 장기입원환자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의 퇴원연계서비스 모형 개발을 위한 참여실행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9 (39): 203-231, 2020

      20 전진아,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과제" 2020 (2020): 30-42, 2020

      21 황령희, "정보접근과 사회적 지지가 여성장애인의 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성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13 (13): 21-43, 2003

      22 권선진, "장애인의 보건의료· 건강 실태와 정책과제" 2018 (2018): 21-33, 2018

      23 이영미,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노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35-58, 2013

      24 강상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21

      25 황윤희 ; 이가언, "요양병원 장기입원 노인의 재가 전환 경험: 지역사회 통합돌봄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32 (32): 382-395, 2021

      26 강석임,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회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30) : 97-129, 2011

      27 정명숙 ; 강석임,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사회복지연구소 24 : 81-108, 2010

      28 전진아, "수요자 중심의 정신건강서비스 접근성 강화전략 연구" 보건사회연구원 2019

      29 강상경, "선진사례를 통해 본 정신장애인지역사회통합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21

      30 김선주, "노인정신장애인의 프로그램 욕구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부산지역 정신요양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8 (8): 198-207, 2008

      31 전경숙 ; 장숙랑 ; 박수잔, "노인의 사회 관계망 및 사회적 지지와 허약의 관계" 대한노인병학회 16 (16): 84-94, 2012

      32 전경숙, "노년기 건강의 사회적 요인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회 28 (28): 459-475, 2008

      33 김남순,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 복지 서비스 제공 모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34 방영석 ; 이동주 ; 배윤수, "개인화 서비스의 수용에 있어서 인지된 개인화와 이해의 역할" 한국경영학회 40 (40): 355-382, 2011

      35 Jacobson, H., "What is recovery? A conceptual model and explication" 52 (52): 482-485, 2001

      36 김태근, "U-CAN 회귀분석(사회과학 자료분석)" 인간과 복지 2006

      37 Helgeson, V., "Two Important Distinctions in Social Support : Kind of Support and Perceived Versus Received" 23 (23): 825-845, 1993

      38 Van Lith, T., "The lived experience of art making as a companion to the mental health recovery process" 33 (33): 652-660, 2011

      39 Yanos, P. T., "The impact of illness identity on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 13 (13): 73-93, 2010

      40 Minogue, J. L., "Subjective Experience of Recovery from Serious Mental Illness in Younger and Older Adults" William James College 2015

      41 Verhaeghe, M., "Stigmatization and self-esteem of persons in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 the role of peer support" 54 (54): 206-218, 2008

      42 Turner, F. J., "Social work treatment: Interlocking theoretical approach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43 Pevalin, D. J., "Social precursors to onset and recovery from episodes of common mental illness" 33 (33): 299-306, 2003

      44 McGurk, S. R., "Response to cognitive rehabilitation in older versus younger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11 (11): 90-105, 2008

      45 Davidson, L., "Recovery from versus recovery in serious mental illness : One strategy for lessening confusion plaguing recovery" 16 (16): 459-470, 2007

      46 Schön, U. K.,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 a gender perspective" 24 (24): 557-564, 2010

      47 Liberman, R. P., "Recovery from schizophrenia : a concept in search of research" 56 (56): 735-742, 2005

      48 Anthony, W. A,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 the guiding vision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in the 1990s" 16 (16): 521-538, 1993

      49 Anthony, W. A,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 The newvision of services researchers" 1 (1): 13-14, 1991

      50 Corrigan, P. W., "Recovery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35 (35): 231-239, 1999

      51 Pilgrim, D., "Recovery and mental health: A critical sociological account"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2013

      52 Loos, S., "Recovery and decision-making involvement in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from six countries :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17 (17): 1-8, 2017

      53 Ralph, R. O, "Recovery advisory group recovery model, a work in progress"

      54 Pratt, S. I., "Psychosocial rehabilitation in older adult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and recommendations for development of rehabilitative approaches" 11 (11): 7-40, 2008

      55 Bartels, S. J.,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 recent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22 (22): 381-385, 2009

      56 Sánchez, J., "Predicting recovery in individuals with serious mental illness_Expand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framework" 65 (65): 197-212, 2022

      57 Leendertse, J. C. P., "Personal recovery in people with a psychotic disorder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associated factors" 12 : 622628-, 2021

      58 Karlin, B. E., "Patterns and predictors of mental health service use and mental illness among older and young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5 (5): 275-, 2008

      59 Tepper, M., "Older adults’ perceptions of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 Impact of psychiatric hospitalization prior to 1990" 36 (36): 93-98, 2013

      60 Vanderplasschen, W., "Mental health, recovery, and the community" 2013 : 1-3, 2013

      61 Speer, D. C., "Mental health needs of older adults and primary care : Opportunity for interdisciplinary geriatric team practice" 10 (10): 85-, 2003

      62 Gujarati, D. N., "Essentials of Econometrics" McGraw-Hill/Irwin 2010

      63 Adnanes, M., "Discharge planning, self-management, and community support Strategies to avoid psychiatric rehospitalisation from a service user perspective" 103 (103): 1033-1040, 2020

      64 Xiao, S., "Discharge planning in mental healthcare settings : a review and concept analysis" 28 (28): 816-832, 2019

      65 Victoria Department of Human Service, "Discharge Planning Guideslines"

      66 Hu, L. T., "Cutoff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67 Rethink Mental Illness, "Care Programme Approach Factsheet"

      68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11

      69 보건복지부, "2021 정신건강사업안내"

      70 보건복지부, "2020년도 등록장애인현황" 보건복지부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