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 극동 한인문학의 정초(定礎)와 문학지리학(literary geogra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31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의 모든 역사와 활동이란 결국 땅에 뿌리를 내리는 지리적 세계를 벗어나서 존재할 수는 없다는 기본적인 인식하에, 본고에서는 1860년대 이후 한인들이 정착한 ‘연해주’의 지리를 둘러싼 담론과 이미지를 한인 작가들의 작품 속에서 고찰하였다. 방법론으로는 러시아 극동을 배경으로 하는 신소설 작가나 러시아극동에서 활동한 한인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그들이 연해주라는 공간 표상을 통해 자신들의 아픈 기억과 척박한 현실 문제, 그리고 미래를 응시했던 재생의 방식을 추적하며 당시의 역사·문화·예술사적 의의를 재조명하였다.
      러시아 극동으로 이주했던 한인들의 디아스포라 궤적을 다룬 소설들은 통시적 관점에서 대체로 항일 투쟁 영웅을 통한 뿌리 찾기 단계, 새로운 조국으로서의 사회주의 소련 예찬과 정착 단계, 강제이주 이후 이민족 속에서 고려인으로서 정체성의 고뇌를 했던 단계, 그리고 1990년대 이후의 체제의 붕괴와 다양화 사회로의 개방 단계로 구분된다. 물론, 연해주에서 비롯된 한인문학의 태동은 스탈린의 이주정책으로 연해주에서의 문학적 업적이 고스란히 이어지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러시아혁명을 계기로 조선적 민족주의자에서 국제적 사회주의자로 거듭나게 되는 고려인의 정체성은 이후 고려인의 삶을 규정하고 고려인 문학만의 특수성을 낳았다. 이주 한인들은 자신들과는 이질적인 사회에 동화하는 과정에서 조선과 러시아라는 두 개의 조국을 품으며, 중층적 정체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이것이 당시 이주 한인들에게 있어 일제와 양반지주를 주적으로 하는 ‘항일무장투쟁’과 러시아 내전 당시 일제나 러시아 백군에 대항해 붉은 군대 일원으로 참전하는 ‘러시아혁명’이 연접되는 이유일 것이다.
      러시아 극동에서의 항일 독립운동이 보다 중요한 이유는 이데올로기에 의한 투쟁의 반추를 통해 이 새로운 정착지에서 고려인의 뿌리 찾기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민초들에게 연해주는 생명의 땅이자 자신들을 숨 쉬게 하는 약속의 땅이었고, 조명희를 비롯한 일부 지식인들에게는 망명의 땅이자 조선 해방을 위한 기회의 공간이었다. 그와 같은 민족정신이 문학 작품으로 발현되어 상상의 민족 공동체를 만들게 하고, 그러한 공동체 의식을 통해 민족의 결속력이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구소련 붕괴 이후 중앙아시아의 공화국들이 독립하면서 자민족 중심주의가 극단으로 치닫자 이들이 제2의 고향인 연해주로 귀환했던 것처럼, 러시아 극동 한인문학에서 연해주는 한민족 수난사에서 ‘상상의 공동체’를 ‘현실의 공동체’로 귀속시키고, 이를 통해 ‘이념의 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했던 민족정신의 산실(産室 )이었던 것이다.
      번역하기

      인간의 모든 역사와 활동이란 결국 땅에 뿌리를 내리는 지리적 세계를 벗어나서 존재할 수는 없다는 기본적인 인식하에, 본고에서는 1860년대 이후 한인들이 정착한 ‘연해주’의 지리를 둘...

      인간의 모든 역사와 활동이란 결국 땅에 뿌리를 내리는 지리적 세계를 벗어나서 존재할 수는 없다는 기본적인 인식하에, 본고에서는 1860년대 이후 한인들이 정착한 ‘연해주’의 지리를 둘러싼 담론과 이미지를 한인 작가들의 작품 속에서 고찰하였다. 방법론으로는 러시아 극동을 배경으로 하는 신소설 작가나 러시아극동에서 활동한 한인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그들이 연해주라는 공간 표상을 통해 자신들의 아픈 기억과 척박한 현실 문제, 그리고 미래를 응시했던 재생의 방식을 추적하며 당시의 역사·문화·예술사적 의의를 재조명하였다.
      러시아 극동으로 이주했던 한인들의 디아스포라 궤적을 다룬 소설들은 통시적 관점에서 대체로 항일 투쟁 영웅을 통한 뿌리 찾기 단계, 새로운 조국으로서의 사회주의 소련 예찬과 정착 단계, 강제이주 이후 이민족 속에서 고려인으로서 정체성의 고뇌를 했던 단계, 그리고 1990년대 이후의 체제의 붕괴와 다양화 사회로의 개방 단계로 구분된다. 물론, 연해주에서 비롯된 한인문학의 태동은 스탈린의 이주정책으로 연해주에서의 문학적 업적이 고스란히 이어지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러시아혁명을 계기로 조선적 민족주의자에서 국제적 사회주의자로 거듭나게 되는 고려인의 정체성은 이후 고려인의 삶을 규정하고 고려인 문학만의 특수성을 낳았다. 이주 한인들은 자신들과는 이질적인 사회에 동화하는 과정에서 조선과 러시아라는 두 개의 조국을 품으며, 중층적 정체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이것이 당시 이주 한인들에게 있어 일제와 양반지주를 주적으로 하는 ‘항일무장투쟁’과 러시아 내전 당시 일제나 러시아 백군에 대항해 붉은 군대 일원으로 참전하는 ‘러시아혁명’이 연접되는 이유일 것이다.
      러시아 극동에서의 항일 독립운동이 보다 중요한 이유는 이데올로기에 의한 투쟁의 반추를 통해 이 새로운 정착지에서 고려인의 뿌리 찾기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민초들에게 연해주는 생명의 땅이자 자신들을 숨 쉬게 하는 약속의 땅이었고, 조명희를 비롯한 일부 지식인들에게는 망명의 땅이자 조선 해방을 위한 기회의 공간이었다. 그와 같은 민족정신이 문학 작품으로 발현되어 상상의 민족 공동체를 만들게 하고, 그러한 공동체 의식을 통해 민족의 결속력이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구소련 붕괴 이후 중앙아시아의 공화국들이 독립하면서 자민족 중심주의가 극단으로 치닫자 이들이 제2의 고향인 연해주로 귀환했던 것처럼, 러시아 극동 한인문학에서 연해주는 한민족 수난사에서 ‘상상의 공동체’를 ‘현실의 공동체’로 귀속시키고, 이를 통해 ‘이념의 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했던 민족정신의 산실(産室 )이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alization that all history and activities of mankind are inevitably rooted in the land and cannot exist outside the geographical world, the discourse and images of Primorsky where Koreans settled after the 1860s was observed from the works of Korean artists. As for the methodology, the historical/cultural/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times was revisited by tracing back to the artists’ painful memories, issues of barren reality, and the method of regeneration in contemplation of the futur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Primorsky in the new novels based on Russian Far East and the artworks of Korean artists who were active in the region.
      The novels that deal with the diaspora traces of Koreans who immigrated to Russian Far Eas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diachronic phases: finding their roots through heroes of anti-Japanese struggle, glorification of and settlement in socialist Soviet Union as a new homeland, torment from identity crisis as Russian Koreans among the emigrants after deportation, and the collapse of the regime and beginning of diverse society after the 1990s. Certainly, the birth of Korean literature that began from Primorsky did not completely reflect the literary accomplishments in Primorsky due to the immigration policy of Stalin.
      However, the identity of Russian Koreans that reformed from Joseon nationalists to international socialists in the wake of the Russian Revolution defined the lives of Russian Koreans and gave birth to the uniqueness of Russian Korean literature. Another fact that deserves special attention is that Korean migrants gained layered identities as they embraced both Joseon and Russia as their homeland during the process of assimilating to the disparate community. For Korean migrants, that is the reason why there is connection between the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that revolted against Japanese rule and aristocrat system in Korea and the “Russian Revolution,” where they joined the Red Army to fight against the counterrevolutionaries of Japan and Russia during the Russian civil war.
      The fact which is more closely linked and important tha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Russian Far East is that Russian Koreans began the search of their roots at a new settlement through the rumination of struggle on the grounds of ideologies. To the grass roots, Primorsky was the land of life and the promised land that gave them air to breathe, but to some intellectuals such as Cho Myeong-hui, it was the land of exile and opportunity for the independence of Joseon. Such national spirit was realized into literary works and created an imaginary ethnic community, and through such awareness, the solidarity of the nation was strengthened. As people returned to their second homeland of Primorsky when the ethnocentrism reached its peak due to the republics in Central Asia gainingd their independence after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Primorsky in terms of Russian Far East Korean Literature reverted the “imaginary community” to a “real community” in the historical struggle of Russian Koreans and cradled the national spirit that sought to realize the “community of ideology” as a result.
      번역하기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alization that all history and activities of mankind are inevitably rooted in the land and cannot exist outside the geographical world, the discourse and images of Primorsky where Koreans settled after the 1860s was obser...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alization that all history and activities of mankind are inevitably rooted in the land and cannot exist outside the geographical world, the discourse and images of Primorsky where Koreans settled after the 1860s was observed from the works of Korean artists. As for the methodology, the historical/cultural/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times was revisited by tracing back to the artists’ painful memories, issues of barren reality, and the method of regeneration in contemplation of the futur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Primorsky in the new novels based on Russian Far East and the artworks of Korean artists who were active in the region.
      The novels that deal with the diaspora traces of Koreans who immigrated to Russian Far Eas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diachronic phases: finding their roots through heroes of anti-Japanese struggle, glorification of and settlement in socialist Soviet Union as a new homeland, torment from identity crisis as Russian Koreans among the emigrants after deportation, and the collapse of the regime and beginning of diverse society after the 1990s. Certainly, the birth of Korean literature that began from Primorsky did not completely reflect the literary accomplishments in Primorsky due to the immigration policy of Stalin.
      However, the identity of Russian Koreans that reformed from Joseon nationalists to international socialists in the wake of the Russian Revolution defined the lives of Russian Koreans and gave birth to the uniqueness of Russian Korean literature. Another fact that deserves special attention is that Korean migrants gained layered identities as they embraced both Joseon and Russia as their homeland during the process of assimilating to the disparate community. For Korean migrants, that is the reason why there is connection between the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that revolted against Japanese rule and aristocrat system in Korea and the “Russian Revolution,” where they joined the Red Army to fight against the counterrevolutionaries of Japan and Russia during the Russian civil war.
      The fact which is more closely linked and important tha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Russian Far East is that Russian Koreans began the search of their roots at a new settlement through the rumination of struggle on the grounds of ideologies. To the grass roots, Primorsky was the land of life and the promised land that gave them air to breathe, but to some intellectuals such as Cho Myeong-hui, it was the land of exile and opportunity for the independence of Joseon. Such national spirit was realized into literary works and created an imaginary ethnic community, and through such awareness, the solidarity of the nation was strengthened. As people returned to their second homeland of Primorsky when the ethnocentrism reached its peak due to the republics in Central Asia gainingd their independence after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Primorsky in terms of Russian Far East Korean Literature reverted the “imaginary community” to a “real community” in the historical struggle of Russian Koreans and cradled the national spirit that sought to realize the “community of ideology” as a resul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 서론
      • II. 문학 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연해주’의 공간 표상
      • III. 연해주를 배경으로 한 항일 독립투쟁 및 사회주의적 민족주의 지향
      • IV.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민족 정체성 자각과 고향 회귀의식
      • 국문요약
      • I. 서론
      • II. 문학 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연해주’의 공간 표상
      • III. 연해주를 배경으로 한 항일 독립투쟁 및 사회주의적 민족주의 지향
      • IV.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민족 정체성 자각과 고향 회귀의식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회, "해외동포문학: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I" 도서출판 화신문고 321-338, 2006

      2 리 왜체쓸라브, "해외동포문학: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III" 도서출판 화신문고 94-109, 2006

      3 김기철, "해외동포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I" 도서출판 화신문고 58-87, 2006

      4 한진, "해외동포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II" 도서출판 화신문고 250-295, 2006

      5 리길수, "해외동포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소설 II" 해외동포문학편찬사업추진위원회 76-92, 2006

      6 연성용, "피로 물든 강제이주"

      7 최강민, "탈식민과 디아스포라문학" 제이앤씨 2009

      8 임채완,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집단적 기억과 재영토화" 북코리아 2014

      9 조규익, "카자흐스탄 고려시인 강태수의 삶과 문학" 인터북스 2012

      10 임형모, "조선사람 소비에트 고려인 고려사람 그리고 “고향”" 신아출판사 2016

      1 김종회, "해외동포문학: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I" 도서출판 화신문고 321-338, 2006

      2 리 왜체쓸라브, "해외동포문학: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III" 도서출판 화신문고 94-109, 2006

      3 김기철, "해외동포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I" 도서출판 화신문고 58-87, 2006

      4 한진, "해외동포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II" 도서출판 화신문고 250-295, 2006

      5 리길수, "해외동포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소설 II" 해외동포문학편찬사업추진위원회 76-92, 2006

      6 연성용, "피로 물든 강제이주"

      7 최강민, "탈식민과 디아스포라문학" 제이앤씨 2009

      8 임채완,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집단적 기억과 재영토화" 북코리아 2014

      9 조규익, "카자흐스탄 고려시인 강태수의 삶과 문학" 인터북스 2012

      10 임형모, "조선사람 소비에트 고려인 고려사람 그리고 “고향”" 신아출판사 2016

      11 우정권, "조명희와 <선봉>" 도서출판 역락 2005

      12 김병학, "재소고려인 정신문화의 쌍두마차, 고려일보와 고려극장, 황무지에서 지켜낸 민족혼"

      13 정상진, "아무르만에서 부르는 백조의 노래" 지식산업사 2005

      14 김준, "십오만원 사건" 카자흐 국영 문학예술출판사 1964

      15 우 블라지미르, "시월이 낳은 문학(머리말)"

      16 김준, "새농촌"

      17 한진, "민족문학의 진로"

      18 박 보리스, "러시아에서의 140년간: 재러 한인 이주사" 시대정신 2004

      19 반병률, "러시아 한인(고려인)사회와 정체성의 변화 ―러시아원동 시기(1863~1937)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40) : 99-124, 2008

      20 이상, "날개: 이상 작품선" 현대문학 195-203, 2011

      21 허병식, "근대한국의 문학지리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22 이희수, "근대전환기 동아시아 삼국과 한국: 근대인식과 정책"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23 박안토니나, "구소련 고려인 소설의 인문지리 연구 - 『십오만원 사건』과 『금각만』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69) : 205-231, 2015

      24 양원식, "고려일보의 어제와 오늘"

      25 장사선,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 도서출판 월인 2005

      26 이해조, "韓國新小說全集 / 全光鏞 ; 宋敏鎬 ; 白淳在 공[편]. 卷3" 乙酉文化史 303-401, 1969

      27 리길수, "「조선극장」. 『오늘의 빛』. 알마아따: 《자수싀》"

      28 김종욱, "「소학령(巢鶴嶺)」의 정치적 읽기" 우리말글학회 68 : 267-297, 2016

      29 Ким И., "Советский корейский театр"

      30 Ким Г. Н, "Связанные одной судьбой" Senim 2013

      31 Ким Сын Хва, "Очерки по истории советских корейцев" Издательство Наука 1965

      32 Ким М. Т, "Корейские интернационалисты в борьбе за власть Советов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1918-1922)" Издательство Наука 1979

      33 김세일, "(역사기록소설)홍범도 4" 제3문학사 1990

      34 김세일, "(역사기록소설)홍범도 1" 제3문학사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