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조경시공․관리(식재 및 시설물)업의 경제효과 분석- 조경시공․관리업의 대분류 신설과 산업연관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 = An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of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lanting and Facilities) Industry - Development of a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ection and the Input-Output Analysis Result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913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에 도입된 후 지속적인 성장을 거쳐 1997년 이후부터 건설업에서 독립된 영역으로 인정된 조경산업은 국가 경제와 타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간 연관관계와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조경업이 타 산업에 미치는 경제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산업연관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관련 법령 및 기준 등을 검토하여 조경업 중 조경시공․관리(식재 및 시설물)업을 우선하여 정립하고, 이 산업을 포함한 산업연관표를 재구성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산업연관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경시공․관리(식재 및 시설물)업은 총 유발효과를 기준으로 전 산업 평균과 비교하여 생산 1.03배, 부가가치 1.16배, 고용 1.02배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경제효과 측면에서 건설, 재료 및 서비스 산업 등에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조경시공․관리(식재 및 시설물)업은 타 산업에 미치는 경제효과가 높은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국내에 도입된 후 지속적인 성장을 거쳐 1997년 이후부터 건설업에서 독립된 영역으로 인정된 조경산업은 국가 경제와 타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간 연관관계...

      국내에 도입된 후 지속적인 성장을 거쳐 1997년 이후부터 건설업에서 독립된 영역으로 인정된 조경산업은 국가 경제와 타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간 연관관계와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조경업이 타 산업에 미치는 경제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산업연관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관련 법령 및 기준 등을 검토하여 조경업 중 조경시공․관리(식재 및 시설물)업을 우선하여 정립하고, 이 산업을 포함한 산업연관표를 재구성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산업연관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경시공․관리(식재 및 시설물)업은 총 유발효과를 기준으로 전 산업 평균과 비교하여 생산 1.03배, 부가가치 1.16배, 고용 1.02배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경제효과 측면에서 건설, 재료 및 서비스 산업 등에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조경시공․관리(식재 및 시설물)업은 타 산업에 미치는 경제효과가 높은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introduced in Korea and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sector with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ince 1997, has a notable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and various other industries.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a methodology that explores inter-industry relationships and economic impacts. The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lanting and facilities) industry was prioritized and defined following a review of relevant laws and standards. Input-output analysis was subsequently conducted by reorganizing the input-output table to incorporate this indust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put-output analysis, the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lanting and facilities) industry was analyzed to induce 1.03 times the production, 1.16 times the added value, and 1.02 times the employment compared to the industry-wide averages based on the total inducement effect. Furthermore, a strong economic correlation is observed with the construction, material, and service industries. Based on the analysis, the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lanting and facilities) industry demonstrates substantial economic impacts on interrelated industries.
      번역하기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introduced in Korea and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sector with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ince 1997, has a notable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and various other industries.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r...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introduced in Korea and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sector with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ince 1997, has a notable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and various other industries.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a methodology that explores inter-industry relationships and economic impacts. The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lanting and facilities) industry was prioritized and defined following a review of relevant laws and standards. Input-output analysis was subsequently conducted by reorganizing the input-output table to incorporate this indust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put-output analysis, the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lanting and facilities) industry was analyzed to induce 1.03 times the production, 1.16 times the added value, and 1.02 times the employment compared to the industry-wide averages based on the total inducement effect. Furthermore, a strong economic correlation is observed with the construction, material, and service industries. Based on the analysis, the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lanting and facilities) industry demonstrates substantial economic impacts on interrelated industr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