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여성농악단은 기존의 남성 위주의 농악에서 벗어나 여성들로만 구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농악단이다. 1950년대 중기부터 1970년대까지 활발한 활동으로 대중 농악공연 저변화에 공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970184
용인 :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국악학과 , 2024. 2
2024
한국어
경기도
115 ; 26 cm
지도교수: 한진
I804:41015-20000074887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남원여성농악단은 기존의 남성 위주의 농악에서 벗어나 여성들로만 구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농악단이다. 1950년대 중기부터 1970년대까지 활발한 활동으로 대중 농악공연 저변화에 공헌...
남원여성농악단은 기존의 남성 위주의 농악에서 벗어나 여성들로만 구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농악단이다. 1950년대 중기부터 1970년대까지 활발한 활동으로 대중 농악공연 저변화에 공헌하였다. 시대적으로 호남우도농악을 연행하게 된 단원들이 우도농악 설장고 명인이였던 전사섭, 김병섭 등에게 지도받은 영향으로 오늘날까지 독특한 연희 형태로 전승 및 보존되어, 2022년 12월 15일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 65호 호남여성농악-포장걸립-(湖南女性農樂 -布帳乞粒-)이 상쇠(유순자, 1955.05.11.), 설장고(유점례, 1956.09.11.)가 지정되었다. 또한 여성농악단의 설장고 개인놀음은 개인놀이 발달에 영향을 주어 설장고의 독립적인 연주형태로 성립되었다.
본고에서는 남원여성농악단 배분순, 호남우도농악 전사섭 두 명인들의 생애와 복색, 설장고놀이의 기원과 그 형성과정을 고찰하였으며, 설장고 개인놀이 연행 중 장단을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자료로 국립극장 예술자료실 1실 “1985년 무용예술큰잔치 민속무용, 명무의 밤”과“2022년 남원여성농악단 설장고놀이 배분순 자택 녹음”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장단 구조별 단락을 소분하며, 장단의 수를 구분하고 장단의 패턴에 따른 빠르기, 리듬 형태의 분석, 중복되는 연주형태인 휘모리장단, 굿거리장단, 자진모리장단을 중심으로 종합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남원여성농악단 설장고의 전신인 전사섭 설장고와 남원여성농악단 설장고의 각기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설장고의 음악적구조는 외형적으로 단순해 보이지만 장단의 기본적인 구조, 혼합 구조박, 복합 구조 형태 등의 리듬과 패턴들이 존재하고 있다. 설장고 장단은 일정한 구조에서 대박은 유지하며 설장고 춤사위에 따라서 소박들을 자유롭게 분해하는 변주와 변형 유형이 보여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농악의 판이 연행되는 공연 현장의 크기에 구조에 따라 음악이 수용되고 즉흥적인 연주 형태 속에서 규칙과 불규칙 패턴의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연희 연희자 및 전문예술인들에게 두 설장고 놀이의 특징과 유사성, 개연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앞으로도 두 예인들의 예술세계를 밝히는 학술적 근거마련과 연구가 지속되길 바라며, 대한민국 농악 및 연희사에 있어 창조적 계승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mwon Women's Nongak Band is the first female-only Nongak band of Korea that broke away from the traditional male-centric Nongak. From the mid-1950s to the 1960s, it contributed to setting a foundation in Nongak performances through actively showcasi...
Namwon Women's Nongak Band is the first female-only Nongak band of Korea that broke away from the traditional male-centric Nongak. From the mid-1950s to the 1960s, it contributed to setting a foundation in Nongak performances through actively showcasing its performance.The members who performed Honam Udo Nongak at the time were influenced by the masters of Udo Nongak Jeon Sa-seop, KimByung-seop, and Noon-dong, and were handed down and preserved in a unique form of performance to this day, and on December 15 2022, the 65th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eollanam-do, Honam Women's Nongak–Po Jang Geolip–(湖南女性農樂 –布帳乞粒–) was designated as Sangsoe (Yoo Soon-ja, May 11, 1955) and Seol Jang-gu (Yoo Jeol-rye, May 11, 1956). In addition, the Women’s Nongak Band’s individual pla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play and was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form of Seoljanggo’s performance. This paper reviews the lives of two masters, Namwon Women Nongak’s Bae Boonsoon of Namwon Women Nongak Band, and Jeon
Sa-seop of Honam Udo Nongak, as well as the origin and formation of Seoljanggu, and analyzes Seoljanggu’s solo performance, strictly focusing on the rhythmic component. As for the collection of research data, the National Theater Arts Archive's first room, "Folk Dance at the 1985 Dance Arts Festival, Night of Myeongmu" and "Recording at home in the order of distribution of Seoljangnori of Namwon Women's Agricultural Band in 2022" were studied. It was subdivided by its rhythmic structure, then comprehensively analyzed by the number of rhythms, the spee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rhythm, the structure of the rhythm, and overlapping types of performances such as Hwimori rhythm, Gutgeori rhythm, and Jajinmori rhyth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Jeon Sa-seop Seoljanggu, the predecessor of Namwon Women Nongak Band Seoljanggu, and Namwon Women Nongak Band Seoljanggu. Although the musical structure of Seoljanggu seems simple in its appearance, there existed different rhythms and patterns such as its basic structure, mixed structure beat, and complex structure. Seoljanggu rhythm maintained dae-bak in a certain structure while at the same time showed variations of so-bak that freely decompose and change according to its Seolgujang dance. In addition, it could be discovered that music followed (accepted?) according to the structure/size? of the performance stage of Nongak, and a mix of regular and irregular patterns was found in the process of its highly improvised style of performance. I hope this study serves as the fundamental research that enhances the traditional performers and professional artists in their understanding of two Seoljanggu’s characteristics, similarity, and plausibility. I hope there is continued research and academic support that reveals the art world of the two artists going forward, and that the creative succession will carry on in the history of Nongak and Yeonhui in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