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Family of Origin Reflective Experience of Novice Counsel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05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초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 혜 경 교육상담학과, 교육상담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초심상담자는 상담자 발달과정에서 누구나 거치는 단계로 그 어느 때보 다 혼란과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또한 상담자 의 자리에서 내담자를 만나고 있기에 그 중요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초 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 필요성은 교육적 측면에서 상당히 강조되고 있고 초심상담자들 또한 자신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다양한 방 법으로 원가족 경험을 성찰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을 탐구함으로써 그들이 원가족성찰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그들 경험이 생성하는 독특한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심상담자의 경험 실제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상담자 발달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 육장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방법은 질 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개별인간의 경험을 보다 통합적이고 맥락적인 시각 에서 접근하는 연구방법으로 본 연구를 탐구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구성한 연구 퍼즐은 첫째, 상 담수련 전 연구참여자들의 원가족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상담수련 장면에 서 연구참여자들의 원가족성찰 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원가족성찰 후 연구 참여자들은 초심상담자로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이다. 본 연구자는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연구참여자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선문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SM-202305-015-2)을 받았다. 연구의 참여자는 원가족성찰 경험과 삶에 대한 충분한 이야기를 할 수 있 어야 함을 고려해 상담자 활동 기간 및 교육 분석이나 수퍼비전 경험을 기 준으로 선정한 초심상담자 3명이다. 참여자 인터뷰 대화는 각 1회 90 분~120분 내외로 5회기씩 진행 하였고, 필요시 추가 인터뷰 대화를 진행 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은 인터뷰 대화 전사본을 중심으로 수차례 반복해서 읽으며 개인의 경험과 사회적 환경에서 나타나는 패턴, 내러티브 줄거리 및 주요 주제 등을 찾아내 주제이야기를 구성 후 내러티브 풀어내기를 작성하였다. 이 후 연구참여자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다시 분석과 해석함으로써 경험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연구참여자의 경험이야기로 구성되었고, 그 경험의 의미는 <원가족에서의 미해결 문제를 알아차림>, <가족규칙으로부터 거리두기>, <회피와 도전 사이의 갈등>, <지지자들을 통해 용기 냄>, <고통을 수용하며 상담자의 길로 나아감>등 다섯 가지로 구성되었다. <원가족에서의 미해결 문제를 알아차림>은 연구참여자들이 상담에 입문하여 원가족성찰을 하게 되면서 자신 안에 원가족 경험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음을 알아차리게 된 것을 의미한다. 이들은 상담 장면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대화 및 내담자에 대한 역전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퍼비전을 받는 과정에서 자신의 미해결 문제를 알아차리게 되었다. <가족규칙으로부터 거리두기>는 각 참여자들이 원가족 안에서 내사한 가족규칙을 자각하고 그로부터 거리를 두는 모습을 의미한다. 이들은 어린 시절 생존을 위해 지킬 수밖에 없던 가족규칙을 넘어 자신의 성장을 위해 새로운 선택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회피와 도전 사이의 갈등>은 연구참여자들이 원가족성찰을 경험하며 겪게 되는 고통으로 이를 회피하고 싶어 하다가도 이 고통을 잘 다루어야만 상담자로서 성장해 나갈 수 있다는 사실 속에 갈등하는 모습을 의미한다. <지지자들을 통해 용기냄>은 참여자들이 고통과 혼란을 겪어내는 동안 그들의 어려움을 함께 버텨준 존재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들은 고통과 막막함 속에서도 자신을 지지해주고 격려해주는 수퍼바이저와 동료 상담자, 가족과 친구들을 통해 용기를 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통을 수용하며 상담자의 길로 나아감>은 연구참여자들이 나름의 변화를 이루어내기까지 겪어야 하는 모든 고통을 수용하면서 끝끝내 상담자로서 성장하고자 다짐하고 있는 모습을 의미한다.
      세 명의 연구참여자들은 원가족성찰을 통해 원가족 경험 안에서 미해결된 자신의 문제를 알아차리게 되었고, 가족규칙으로부터 거리를 두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 과정을 피하고 싶은 욕구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장하고 싶은 욕구사이에서 괴로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들은 원가족성찰과정의 괴로움을 지지자들의 응원을 통해 극복해 가고 있었고, 모든 일련의 과정 속에서 원가족성찰로 인한 고통을 수용하며 상담자로 성장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초심상담자들이 원가족성찰을 어떻게 시작하게 되고 경험하게 되는지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발생적 맥락과 경험확장 측면에서 깊이 있게 살펴본 연구이다. 둘째, 초심상담자 원가족성찰과 관련해 지지자들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줌으로써 원가족성찰을 촉진할 수 있는 바람직한 상호작용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셋째, 원가족성찰의 중요성만 강조되던 상담자 교육환경에 원가족성찰 과정에서 초심상담자가 경험하는 어려움을 생생하게 드러냄으로써 교육적 함의를 제시한다. 넷째, 가족문화 특성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는 개인에 대한 생생한 정보 및 성인기 자녀의 독립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이와 관련한 상담실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서는 사전인터뷰를 통한 연구참여자의 특성을 파악한 선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불어 초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 경험 실태 조사의 필요성, 그리고 초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 경험에 대한 다른 질적 연구 및 관련 변인에 대한 양적 연구로의 확장에 대해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초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 혜 경 교육상담학과, 교육상담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초심상담자는 상담자 발달과정에서 누구나 거치는 단계로 그 어...

      <초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 혜 경 교육상담학과, 교육상담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초심상담자는 상담자 발달과정에서 누구나 거치는 단계로 그 어느 때보 다 혼란과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또한 상담자 의 자리에서 내담자를 만나고 있기에 그 중요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초 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 필요성은 교육적 측면에서 상당히 강조되고 있고 초심상담자들 또한 자신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다양한 방 법으로 원가족 경험을 성찰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을 탐구함으로써 그들이 원가족성찰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그들 경험이 생성하는 독특한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심상담자의 경험 실제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상담자 발달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 육장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방법은 질 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개별인간의 경험을 보다 통합적이고 맥락적인 시각 에서 접근하는 연구방법으로 본 연구를 탐구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구성한 연구 퍼즐은 첫째, 상 담수련 전 연구참여자들의 원가족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상담수련 장면에 서 연구참여자들의 원가족성찰 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원가족성찰 후 연구 참여자들은 초심상담자로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이다. 본 연구자는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연구참여자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선문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SM-202305-015-2)을 받았다. 연구의 참여자는 원가족성찰 경험과 삶에 대한 충분한 이야기를 할 수 있 어야 함을 고려해 상담자 활동 기간 및 교육 분석이나 수퍼비전 경험을 기 준으로 선정한 초심상담자 3명이다. 참여자 인터뷰 대화는 각 1회 90 분~120분 내외로 5회기씩 진행 하였고, 필요시 추가 인터뷰 대화를 진행 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은 인터뷰 대화 전사본을 중심으로 수차례 반복해서 읽으며 개인의 경험과 사회적 환경에서 나타나는 패턴, 내러티브 줄거리 및 주요 주제 등을 찾아내 주제이야기를 구성 후 내러티브 풀어내기를 작성하였다. 이 후 연구참여자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다시 분석과 해석함으로써 경험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연구참여자의 경험이야기로 구성되었고, 그 경험의 의미는 <원가족에서의 미해결 문제를 알아차림>, <가족규칙으로부터 거리두기>, <회피와 도전 사이의 갈등>, <지지자들을 통해 용기 냄>, <고통을 수용하며 상담자의 길로 나아감>등 다섯 가지로 구성되었다. <원가족에서의 미해결 문제를 알아차림>은 연구참여자들이 상담에 입문하여 원가족성찰을 하게 되면서 자신 안에 원가족 경험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음을 알아차리게 된 것을 의미한다. 이들은 상담 장면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대화 및 내담자에 대한 역전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퍼비전을 받는 과정에서 자신의 미해결 문제를 알아차리게 되었다. <가족규칙으로부터 거리두기>는 각 참여자들이 원가족 안에서 내사한 가족규칙을 자각하고 그로부터 거리를 두는 모습을 의미한다. 이들은 어린 시절 생존을 위해 지킬 수밖에 없던 가족규칙을 넘어 자신의 성장을 위해 새로운 선택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회피와 도전 사이의 갈등>은 연구참여자들이 원가족성찰을 경험하며 겪게 되는 고통으로 이를 회피하고 싶어 하다가도 이 고통을 잘 다루어야만 상담자로서 성장해 나갈 수 있다는 사실 속에 갈등하는 모습을 의미한다. <지지자들을 통해 용기냄>은 참여자들이 고통과 혼란을 겪어내는 동안 그들의 어려움을 함께 버텨준 존재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들은 고통과 막막함 속에서도 자신을 지지해주고 격려해주는 수퍼바이저와 동료 상담자, 가족과 친구들을 통해 용기를 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통을 수용하며 상담자의 길로 나아감>은 연구참여자들이 나름의 변화를 이루어내기까지 겪어야 하는 모든 고통을 수용하면서 끝끝내 상담자로서 성장하고자 다짐하고 있는 모습을 의미한다.
      세 명의 연구참여자들은 원가족성찰을 통해 원가족 경험 안에서 미해결된 자신의 문제를 알아차리게 되었고, 가족규칙으로부터 거리를 두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 과정을 피하고 싶은 욕구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장하고 싶은 욕구사이에서 괴로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들은 원가족성찰과정의 괴로움을 지지자들의 응원을 통해 극복해 가고 있었고, 모든 일련의 과정 속에서 원가족성찰로 인한 고통을 수용하며 상담자로 성장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초심상담자들이 원가족성찰을 어떻게 시작하게 되고 경험하게 되는지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발생적 맥락과 경험확장 측면에서 깊이 있게 살펴본 연구이다. 둘째, 초심상담자 원가족성찰과 관련해 지지자들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줌으로써 원가족성찰을 촉진할 수 있는 바람직한 상호작용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셋째, 원가족성찰의 중요성만 강조되던 상담자 교육환경에 원가족성찰 과정에서 초심상담자가 경험하는 어려움을 생생하게 드러냄으로써 교육적 함의를 제시한다. 넷째, 가족문화 특성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는 개인에 대한 생생한 정보 및 성인기 자녀의 독립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이와 관련한 상담실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서는 사전인터뷰를 통한 연구참여자의 특성을 파악한 선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불어 초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 경험 실태 조사의 필요성, 그리고 초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 경험에 대한 다른 질적 연구 및 관련 변인에 대한 양적 연구로의 확장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자의 내러티브 1
      •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9
      • 3. 연구 퍼즐 25
      • Ⅰ. 서론 1
      • 1. 연구자의 내러티브 1
      •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9
      • 3. 연구 퍼즐 25
      • Ⅱ. 선행연구 고찰 26
      • 1. 초심상담자의 특성 26
      • 2. 원가족 경험에 대한 이해 31
      • 3. 초심상담자의 원가족성찰 48
      • Ⅲ. 연구방법 62
      • 1. 내러티브 탐구 63
      • 2. 연구참여자 73
      • 3. 연구 진행 절차 77
      • 4. 윤리적 고려 83
      • 5. 연구의 엄격성 85
      • Ⅳ. 연구참여자 내러티브 풀어내기 88
      • 1. 이다온의 이야기 88
      • 2. 강태훈의 이야기 113
      • 3. 유자연의 이야기 139
      • Ⅴ. 연구참여자 경험의 의미 161
      • 1. 원가족에서의 미해결문제를 알아차림 161
      • 2. 가족규칙으로부터 거리두기 165
      • 3. 회피와 도전 사이에서 갈등 168
      • 4. 지지자들을 통해 용기냄 171
      • 5. 고통을 수용하며 상담자의 길로 나아감 174
      • Ⅵ. 논의 및 결론 177
      • 1. 요약 177
      • 2. 논의 182
      • 3. 의의 및 제언 195
      • 참고문헌 199
      • ABSTRACT 2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