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상담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Practice for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7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practice. The interview data of 19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could be expected to learn better about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practice. The interview data of 19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could be expected to learn better about the counseling and enhanced effective counseling skills. They are experienced different challenges, depending on the stage of practice. So, they have no energy to do, but changed in perspective for counseling and the experience of self-reflection. They also described positive experiences which they recognized that counselor is profession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상담자인 대학생들의 상담실습 경험을 질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담실습 수업을 들은 대학생 19명을 대상으로 합의에 의한 질적 방법(C...

      본 연구는 예비상담자인 대학생들의 상담실습 경험을 질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담실습 수업을 들은 대학생 19명을 대상으로 합의에 의한 질적 방법(CQR)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은 상담수행능력의 향상을 기대하면서 실습과목에 임했다. 이들은 실습과정 전반에 걸친 어려움 외에 실습단계에 따라 각기 다른 어려움을 경험하며 의욕이 상실 되기도 하였으나 상담실습을 통하여 상담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자기성찰의 경험을 하게 되었다. 또한, 상담을 전문직으로 재인식하게 된 점을 긍정적인 경험으로 기술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아롱, "한국의 상담자 전문교육과정의 적합성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최해림,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713-730, 2006

      3 김인규, "학부 상담학과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793-811, 2009

      4 이진희, "통찰명상 중의 경험내용에 대한 질적분석-알아차림을 중심으로-" 13 (13): 105-120, 2001

      5 이승은, "초심상담자의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15 (15): 441-460, 2003

      6 신재호, "초보상담자의 상담 성과에 관한 질적 분석 : 도움된 경험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05

      7 최은실, "초보 상담자의 반응 부담이 내담자상태 알아차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8 오정희, "초보 상담자들의 첫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07

      9 김길문, "초보 상담자가 상담 회기 내에 경험한 어려움과 대처 과정: 질적 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1-20, 2004

      10 박재황, "청소년 상담교육과정 개발연구"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3

      1 최아롱, "한국의 상담자 전문교육과정의 적합성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최해림,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713-730, 2006

      3 김인규, "학부 상담학과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793-811, 2009

      4 이진희, "통찰명상 중의 경험내용에 대한 질적분석-알아차림을 중심으로-" 13 (13): 105-120, 2001

      5 이승은, "초심상담자의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15 (15): 441-460, 2003

      6 신재호, "초보상담자의 상담 성과에 관한 질적 분석 : 도움된 경험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05

      7 최은실, "초보 상담자의 반응 부담이 내담자상태 알아차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8 오정희, "초보 상담자들의 첫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07

      9 김길문, "초보 상담자가 상담 회기 내에 경험한 어려움과 대처 과정: 질적 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1-20, 2004

      10 박재황, "청소년 상담교육과정 개발연구"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3

      11 이수림, "질적 분석을 통한 상담과정 중 내담자 지혜 발달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791-813, 2009

      12 이재창, "전문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8 (8): 1-26, 1996

      13 유형근, "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한·미 교육실습체제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59-80, 2007

      14 유형근, "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15-233, 2006

      15 지승희, "인턴상담원이 지각하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의 도움 및 아쉬운 경험"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75-89, 2005

      16 조형숙, "예비유아교사들이 선호하는 유아교육과 교수의 이미지"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169-194, 2011

      17 송은화,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도와 실태, 만족도 연구 - 숙련과정에 있는 상담자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17-334, 2005

      18 손은정, "상담자의 자기 성찰(reflection)과 전문성 발달" 한국상담학회 4 (4): 367-380, 2003

      19 김진숙, "상담자교육에서 성찰적 실천의 의미와 적용"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813-831, 2005

      20 심흥섭,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1998

      21 문수정, "상담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12 (12): 1-18, 2000

      22 방기연, "상담수퍼바이저 교육에 대한 고찰" 15 (15): 119-131, 2002

      23 이소연, "상담수련생의 전문적 역량의 문제에 대한 수퍼바이저의 인식과 개입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연세대학교 2012

      24 김정택, "상담가 교육에 대한 연구 : 대학원 석사과정 상담교육의 현황과 전문상담가 양성 인턴쉽을 위한 제언" 5 (5): 13-29, 1993

      25 이숙영, "상담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학회 40 (40): 11-250, 2002

      26 김계현, "바람직한 전문상담의 모형"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2 (12): 109-124, 1994

      27 송미경,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497-517, 2008

      28 성승연, "국내 상담자 교육 연구에 대한 소고-수퍼비전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27 : 5-18, 2009

      29 김선경,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 학지사 2003

      30 Williams, P. L., "Using theorie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reflective practice to influence educational change" 20 (20): 28-34, 1998

      31 Schon, D. 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1983

      32 Skovholt, T. M.,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 Stage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Wiley 1992

      33 Neufeldt, S. A., "Supervision strategies for the first practicum"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1999

      34 Morrissette, P. J., "Self-supervision : A primer for counselors and helping professionals" Brunner-Routledge 2002

      35 Lambert, M. J., "Research summary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psychotherapy outcome" 38 (38): 357-361, 2001

      36 Happner, P. P., "Research design in coenseling" Books/Cole 1992

      37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Guidelines and principles for accreditations of programs in professional psychology"

      38 Williams, E. N., "Experience of Novice Therapist in Prepracticum : Trainees’, Clients’, and Supervisor’ Perceptions of Therapist’s Personal Reactions and Management Strategies" 44 (44): 390-399, 1997

      39 Schon, D. A.,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oward a 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s" NJossey-bass publishers 1987

      40 Ward, C. C., "Counseling supervision : A reflective model" 38 (38): 23-34, 1998

      41 Hill, C. 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52 (52): 196-205, 2005

      42 Neufeldt, S. A., "A qualitative study of experts’ conceptualization of supervisee reflectivity" 43 (43): 3-9, 1996

      43 Hill, C. E.,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25 (25): 517-572,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