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경계 질환을 지닌 노인의 연하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26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신경계 질환을 지닌 노인의 연하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주관적 삼킴곤란, 영양상태, 사회적 지지가 연하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소재 종합병원 신경과에서 신경계 질환을 진단받은 65세 이상 노인 외래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하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한국판 MDADI를 이용하였고, 주관적 삼킴곤란은 K-SDQ, 영양상태는 MNA®-SF, 사회적지지는 MOS-SSS도구의 번역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하관련 삶의 질과 주관적 삼킴곤란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상태와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연하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기 위하여 단계선택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 실시 결과 유의한 영향요인은 성별, 교육수준, 신경계 주 진단, 식사유형, 주관적 삼킴곤란,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인 애정적 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 요인의 연하관련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42.1%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신경계 질환을 지닌 노인의 연하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주관적 삼킴곤란, 영양상태, 사회적 지지가 연하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신경계 질환을 지닌 노인의 연하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주관적 삼킴곤란, 영양상태, 사회적 지지가 연하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소재 종합병원 신경과에서 신경계 질환을 진단받은 65세 이상 노인 외래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하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한국판 MDADI를 이용하였고, 주관적 삼킴곤란은 K-SDQ, 영양상태는 MNA®-SF, 사회적지지는 MOS-SSS도구의 번역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하관련 삶의 질과 주관적 삼킴곤란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상태와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연하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기 위하여 단계선택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 실시 결과 유의한 영향요인은 성별, 교육수준, 신경계 주 진단, 식사유형, 주관적 삼킴곤란,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인 애정적 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 요인의 연하관련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42.1%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in the aged patients with neurologic disorders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perceived swallowing disturbance, nutritional status, and social support on the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This study included 120 out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diagnosed with neurological disorders at the Department of Neurology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Korean version of MDADI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the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Subjective swallowing disturbance was measured using K-SDQ, nutritional status was measured using MNA®-SF, an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using a translation of the MOS-SSS too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in the aged patients with neurologic disorders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and type of die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swallowing disturbance. Nutritional status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factors related to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As a result the study, factors related to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were gender, education level, neurological diagnosis, type of diet, perceived swallowing disturbance and affectionate support which is a sub-domain of social suppor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related to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was 42.1%.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in the aged patients with neurologic disorders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perceived swallowing disturbance, nutritional status, and social 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in the aged patients with neurologic disorders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perceived swallowing disturbance, nutritional status, and social support on the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This study included 120 out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diagnosed with neurological disorders at the Department of Neurology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Korean version of MDADI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the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Subjective swallowing disturbance was measured using K-SDQ, nutritional status was measured using MNA®-SF, an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using a translation of the MOS-SSS too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in the aged patients with neurologic disorders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and type of die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swallowing disturbance. Nutritional status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factors related to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As a result the study, factors related to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were gender, education level, neurological diagnosis, type of diet, perceived swallowing disturbance and affectionate support which is a sub-domain of social suppor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related to Dysphagia-specific quality of life was 42.1%.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Ⅱ. 문헌 고찰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Ⅱ. 문헌 고찰 6
      • 1. 연하관련 삶의 질 6
      • 2. 연하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10
      • 1) 주관적 삼킴곤란 10
      • 2) 영양상태 13
      • 3) 사회적 지지 15
      • Ⅲ. 연구 방법 17
      • 1. 연구 설계 17
      • 2. 연구 대상 17
      • 3. 연구 도구 18
      • 4. 자료 수집 21
      • 5. 윤리적 고려 21
      • 6. 자료 분석 방법 22
      • Ⅳ. 연구 결과 23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3
      • 2. 대상자의 주관적 삼킴곤란, 영양상태, 사회적 지지 및 연하관련 삶의 질 25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하관련 삶의 질 27
      • 4. 대상자의 주관적 삼킴곤란, 영양상태, 사회적 지지와 연하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31
      • 5. 대상자의 연하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3
      • Ⅴ. 논의 36
      • Ⅵ. 결론 및 제언 45
      • 1. 결론 45
      • 2. 제언 46
      • 참고문헌 47
      • 부 록 61
      • 국문초록 75
      • Abstract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